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91159059070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4-07-20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들어가며_양탄자의 무늬
제1부 문학 세계
제1장 세계문학사의 원칙
1. 문학적 가치의 거래소
2. 문학과 민족 그리고 정치
제2장 문학의 창안
1. 어떻게 라틴어를 “집어삼킬” 것인가
2. 프랑스어의 싸움
3. 언어 숭배
4. 프랑스어의 절대적 권위
5. 헤르더의 혁명
제3장 세계문학의 공간
1. 자유의 길
2. 그리니치 자오선 또는 문학의 시간
3. 문학의 민족주의
4. 민족 작가와 국제 작가
5. 문학에 대한 지배의 형태
제4장 보편의 제조
1. 수도와 수도의 분신
2. 문학화로서의 번역
3. 언어 게임
4. 보편에 대한 상
5. 자민족중심주의
6. 영국과 프랑스에서의 입센
제5장 문학의 국제주의에서 상업의 세계화로?
제2부 문학의 반란과 혁명
제1장 작은 문학들
1. 문학의 궁핍
2. 정치에 대한 종속
3. 민족 미학
4. 카프카 또는 “정치와의 관련성”
제2장 동화된 이들
1. 네이폴, 보수적 동일화
2. 앙리 미쇼, 외국인이란 무엇인가?
3. 시오랑, 루마니아 태생이라는 불이익
4. 라뮈, 불가능한 동화
제3장 반란자들
1. 문학을 위한 민중의 용도
2. 민족의 설화, 전설, 연극
3. 유산 탈취
4. 텍스트 수입
5. 수도들의 형성
6. 작은 민족들의 국제 조직
제4장 “번역된 이들”의 비극
1. “불 도둑들”
2. “어둠으로부터 번역된”
3. 왕복
4. 카프카, 이디시어 번역
5. 언어 창시자들
6. 문학의 구비전승
7. 『마쿠나이마』, 반-카몽에스
8. 스위스의 크레올성
제5장 아일랜드 패러다임
1. 예이츠, 전통의 발견
2. 게일어 연맹, 겨레말의 재창조
3. J. M. 싱, 기술된 구어
4. 오케이시, 현실주의의 저항
5. G. B. 쇼, 런던으로의 동화
6. 제임스 조이스와 사무엘 베케트 또는 자율성
7. 문학 공간의 생성과 구조
제6장 혁명가들
1. 단테와 아일랜드 작가들
2. 조이스 계열, 아르노 슈미트와 헬리 로스
3. 포크너 혁명, 베네트, 부제드라, 야신, 바르가스 요사, 샤무아조
4. 문학 언어의 창시를 향하여
나가며_ 세계와 문학이라는 바지
역자 후기
책속에서
전세계의 문학을 지배하는 문학의 “그리니치 자오선”
유일한 가치와 유일한 방편이 문학인 나라, 암묵적이지만 세계에서 쓰이고 오가는 텍스트들의 형식을 좌우할 세력 관계가 지배하는 공간, 스스로 수도와 지방 그리고 변방을 구성했을 것이고 언어가 권력 수단이 될 중앙집권 세계. 이 장소들에서는 각자가 작가로 공인되기 위해 투쟁할 것이고, 특유한 규범이 만들어졌을 것이며, 적어도 가장 독립적인 영역들에서는 문학이 이처럼 정치와 국가의 독단으로부터 풀려날 것이다. 경쟁하는 언어들 사이에 대결이 벌어질 것이며, 혁명이 언제나 문학적이고 동시에 정치적일 것이다. 이런 이야기는 문학과 관련된 시간의 척도, 문학 세계에 고유한 “속도”뿐만 아니라 특수한 현재의 위치 결정, 즉 문학의 “그리니치 자오선”에 입각해서만 해독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