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59255083
· 쪽수 : 162쪽
· 출판일 : 2019-12-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유토피아 논의와 농촌 정책
유토피아 논의와 주요 실천 사례
균형발전 정책의 변화와 농촌의 위상
농촌 정책과 균형발전 정책의 성과 및 한계
농촌 유토피아의 구상을 위하여
2장 사회경제의 변화 트렌드와 농촌의 미래 전망
한국의 사회경제 변화 및 불균형 실태
농촌의 새로운 변화
농촌의 미래 전망
농촌의 실태와 미래 전망을 통해 본 시사점
3장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 만족도, 희망사항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 만족도
국민이 생각하는 유토피아와 농촌
버킷리스트 실현 장소로서 농촌이 지닌 잠재력
국민 행복도와 버킷리스트에서 알 수 있는 점
4장 농촌 사회혁신 사례와 실천 가능한 모델
유형별 사례
주민이 희망하는 농촌 유토피아 구상: 충남 홍성군 사례
실천 가능성 확보를 위한 모델 도출
5장 균형발전의 과제와 농촌 유토피아 구상의 실천 전략
농촌 유토피아의 기본 방향
농촌 유토피아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과제
농촌 유토피아에 대한 후속 연구과제
마치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귀농·귀촌인의 농촌 정착을 돕고 시행착오를 줄이려면 영농 지원 이외에 다양한 유형의 정책 수단이 필요하지만, 지금까지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시책은 대체로 귀농 지원에만 집중되어 귀농·귀촌인의 정책 수요를 충족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일부 지역에서 농촌 인구를 늘리기 위해 초기 정착 지원 및 숙소, 주택 등 물리적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시책이 추진되었지만, 일자리 등 귀농·귀촌인의 완전한 지역사회 정착 프로그램이 시행된 경우는 드물었다.
무엇보다 농촌 유토피아 구상은 농촌 마을이 직면한 여러 문제를 푸는 새로운 방식이란 의미가 있다. 마을 활동과 농업 현장에서 경험적으로 전수되는 학습과 협동, 조직의 문화는 지역의 큰 자산이 된다. 하지만 일정 부분에서, 특히 환경이나 농업 같이 그 문제가 다루는 범위가 넓고 장기적일 때는 지역 경험의 한계가 나타나 개별 조직이나 지역의 실천으로 접근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감자꽃 스튜디오와 가시리 창작지원센터, 간디 숲속마을의 사례는 농촌에서 새로운 삶의 가치를 추구하는 이주민의 수요와 농촌 주민의 이해관계가 조화를 이루면서 이주민의 안정적인 정착과 마을 활성화를 달성한 사례다. 이는 농촌 생활에서 기대하는 다양한 가치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지역사회 활동을 통해 이주민이 보람을 느낄 수 있고, 주민의 복지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는 활동을 발굴하는 것이 농촌 유토피아 프로그램의 중요한 내용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