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론의 화가, 겸재 정선

노론의 화가, 겸재 정선

(다시 읽어내는 겸재의 진경산수화)

이성현 (지은이)
들녘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2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론의 화가, 겸재 정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론의 화가, 겸재 정선 (다시 읽어내는 겸재의 진경산수화)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문화예술사
· ISBN : 9791159255274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0-04-10

책 소개

<추사코드>(2016년) <추사난화>(2018년)로 기존 미술사학의 추사 작품 해석에 대해 전복顚覆적 문제제기를 했던 화가 이성현이 이번에는 겸재 정선의 작품에 초점을 맞추었다.

목차

글을 시작하며

1부 진경眞境과 진경眞景 그리고 산수화山水畵

진경眞景과 진경眞境
산수화山水畵와 수묵풍경화水墨風景畵

2부 표암豹菴 ‘진경眞景’을 말하다

〈소의문외망도성昭義門外望都城〉
〈도화동망인왕산桃花洞望仁王山〉
겸옹최득의필謙翁最得意筆
〈피금정披襟亭〉
〈정자연亭子淵〉

3부 〈인왕제색仁王霽色〉도와 사도세자의 비극

인왕산에 비가 그치니…
옹천瓮遷
〈시화환상간詩畫換相看〉
〈인왕제색仁王霽色〉
아! 〈인왕제색仁王霽色〉
청풍계淸風溪

4부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설평기려雪坪騎驢〉
〈양천현아陽川縣衙〉
〈금성평사錦城平沙〉
〈종해평조宗海廳潮〉
〈목멱조돈木覓朝暾〉
〈소악후월小岳侯月〉
〈행호관어杏湖觀漁〉

글을 마치며

수록 도판 일람

저자소개

이성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미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저자는 23회의 국내외 개인전과 동아미술상 수상작가전을 비롯한 150여 회의 단체전 그리고 대한민국미술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현역 화가이다. 30여 년간 작가이자 교육자로 활동하면서, 지나치게 문헌 연구 중심으로 경도된 미술 이론들을 접하며 많은 문제점과 병폐를 절감하였다. 이에 화석화된 미술사 연구에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작품 중심의 연구 풍토를 환기시키고자, 정설로 자리매김된 기존 한국미술사에 화두를 던지고자 한다. 바른 미술사는 어떻게 정립되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화가의 눈으로 확인한 추사의 모습과, 그에 뒤이어 겸재를 기록하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 『추사코드』(2016 발간, 2017 세종우수교양도서), 『추사난화』(2018), 『노론의 화가, 겸재 정선』(2020)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진경眞景’이란 말은 오늘날 미술사가들이 조선후기 문예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만들어낸 신조어가 아니다.
조선후기 문예계의 영수격인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1713-1791)이 흔히 쓰던 ‘참 진眞’에 ‘지경 경境’자를 쓰는 ‘진경眞境’과 달리 ‘참 진眞’에 ‘빛 경景’자를 합한 ‘진경眞景’이란 말을 퍼트렸던 것인데… 오늘날과 달리 조선후기 문예인들에게 ‘진경眞景’이란 용어는 생소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오늘날 흔히 ‘풍경 경景’으로 읽는 경景자가 당시에는 주로 ‘빛 경景’으로 읽었던 탓에 당시 사람이 ‘진경眞景’이라 쓰인 글귀를 읽게 되었다면 십중팔구 ‘참된 빛’이란 의미를 떠올렸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표암은 여기에 한술 더 떠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라 하였으니, 당시 글줄깨나 읽은 선비들도 고개를 갸우뚱하며 ‘이게 뭐지?’ 하였을 것이다. ‘신선이 살고 있는 선계’를 뜻하는 ‘진경眞境’이야 누구나 어렵지 않게 ‘신선이 살고 있다는 선계처럼 빼어난 절경’을 떠올릴 수 있겠으나, ‘참된 빛의 산수화[眞景山水畵]’라 하였으니, 쉽게 개념이 잡히지 않는 신조어였던 셈이다. 그러나 오늘날 이 땅의 많은 미술사가들은 대체로 ‘진경眞景’과 ‘진경眞境’을 같은 뜻으로 읽고 있는 탓에 진경眞景 개념을 왜 세워야 하는지 그 필요성조차 실감하지 못하고 있으니 답답한 일이 아닐 수 없다. _ ‘글을 시작하며’


조선회화사에 겸재 정선만큼 큰 족적을 남긴 화가도 없을 것이다.
이런 까닭에서인지 조선후기 문예의 특성을 겸재의 진경산수화를 통해 규정하고, 이를 ‘진경문화’ ‘진경시대’로 확산시키는 학자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이는 조선후기 문화를 노론이 선도하였다는 주장과 다를 바 없다.
왜냐하면 겸재가 조선회화사에 등장한 것은 대표적 노론 강경파 장동 김씨 집안의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1653-1722)의 금강산 여행길에 동행하게 되면서였고, 이때 제작된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은 그의 금강산 그림의 원형이 되었으며, 이후 겸재는 평생토록 장동 김씨들과 함께하며 그들의 전폭적 후원 아래 화업을 이어갔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술사가들은 겸재의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에서 ‘진경眞景’이란 말을 차용하여 조선후기 문화를 ‘진경문화眞景文化’라고 하면서도 한사코 겸재를 노론의 화가라 부르려 들지 않는다.
그러나 미술사가들 스스로 ‘진경문화는 조선중화사상에서 비롯된 것’이란 주장을 펼쳐왔고, 그 중심에 겸재를 두었다는 것 자체가 이미 겸재를 노론의 화가로 인정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냉정히 생각해볼 일이다. _ ‘글을 시작하며’


‘동양화는 보는 것이 아니라 읽는 것’이란 말은 당연히 진경산수화에도 적용되는 부분이다. 아니 진경산수화는 그림으로 엮어낸 문장이라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표현이라 하겠다. 그러나 어찌된 영문인지 이 땅의 미술사가들은 진경산수화를 박물관에 모시는 일에 급급할 뿐, 그 대단한 진경산수화에 내포된 이야기를 실감나게 풀어내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일엔 적극적으로 나서려 들지 않는다. 한마디로 ‘동양화는 보는 것이 아니라 읽는 것’이라 훈수 두던 학자들도 진경산수화를 읽는 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러한 탓에 큰맘 먹고 박물관을 찾은 관객들이 교과서에서 봤던 낯익은 진경산수화를 발견하고 반갑게 다가서도 오래 머물지 못하는 안타까운 일이 오늘도 계속 반복되고 있다. _ ‘산수화와 수묵풍경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