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0851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9-01-31
책 소개
목차
머리글
서론
제1부 인류 문명과 미래교육
제1장 우울 사회
1. 고통 속의 한국 사회
2. 출구 없는 방
3. 새로운 문명의 조건
제2장 셀프의 문명론
1. 기존 문명론의 검토
2. 에고와 셀프의 문명론
3. 에고와 주체의 문명
4. 셀프의 문명
제3장 셀프의 문명과 미래교육
1. 창의인성교육의 헛발질
2. 본성의 회복
3. 공감과 거울뉴런
4. 극기와 무아의 교육
제2부 동양 고전 속의 미래교육
제4장 『논어』와 사랑교육
1. 진정한 공부-위기지학
2. 무아지애(無我之愛)-내가 없는 사랑
3. 성선(性善)의 이해와 탈현대
4. 사물(四勿) 프로그램
제5장 『주역』과 마음교육
1. 마음의 본성
2. 마음의 속성
3. 멈춤과 바라봄의 도
4. 수용성의 도
5. 위기의 도
6. 깨달음의 도
제6장 『노자』와 무위교육
1. 수레를 헤아리는 교육
2. 경계의 해체
3. 본성의 발현
4. 무위(無爲)의 교육
5. 무지(無知)에 이르는 교육
제7장 『금강경』과 무아교육
1. 『금강경』의 구성
2. 무아(無我)와 공(空)
3. 슬픈 눈물
4. 관종
5. 영성의 개발
제3부 미래교육의 교육과정
제8장 미래교육 교육과정의 원리
1. 무아교육의 두 가지 길
2. 나는 누구인가?
3. 명상과 알아차림
4. 위탁받은 삶
5. 무아교육 프로그램
제9장 인성교육-무아지애
1. 두 가지 마음
2. 지켜봄의 방법
3. 무아지애의 탄생
4. 실천이성과 도덕적 선의지의 극복
제10장 죽음교육
1. 죽음교육의 두 가지 목표
2. 죽음의 연습
3. 죽음 이해의 네 단계
4. 매 순간의 죽음 체험
제11장 평화교육
1. 부동심(不動心)과 평화
2. 자각과 현존
3. 평화교육의 실제
4. 평화, 그 본래의 상태
제12장 인공지능 시대와 마음교육
1. 인공지능과 핵심역량교육
2. 사지(食志) 노동과 사공(食功) 노동
3. 수행과 낙도-미래의 삶
4. 가상현실과 깨달음
5. 탈현대의 여가와 에고의 소멸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대 학문은 인간을 이기심을 가진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에 현대 학문을 연구하거나 공부하면 할수록 학자들과 학생들은 더욱 이기적인 존재가 된다. 경제학뿐만 아니라 정치학을 비롯한 모든 현대 사회과학 역시 인간을 이기심에 따라 움직이는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에 그것을 연구하거나 공부하면 할수록 더욱 이기적인 존재가 된다. 우리가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현대 학문이 아이들의 이타적 본성을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사실은 매우 슬픈 일이다.
-<제3장 셀프의 문명과 미래교육>에서
근대 학문을 단순화시켜 말하면 연구 대상에 대한 관찰과 실험을 통해 입증된 주장들을 모아놓은 객관적 자료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 내용은 이러한 객관적인 자료들 중 중요한 것들을 선별하여 모아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삶의 목표와 가치관을 변화시키리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나의 공부가 위기지학인지 위인지학인지 구별하는 한 가지 방법이 있다. 그것은 공부를 한 뒤 나의 삶과 가치관이 변화했는지 확인하면 된다. 공부를 했는데도 나의 삶이나 가치관에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다면 그것은 위인지학일 뿐이다.
-<제4장 『논어』와 사랑교육>에서
에고는 세상의 씨앗이다. 하나의 작은 씨앗이 세상 전체를 담고 있다. 단지 ‘나는 존재한다’는 생각 하나만 일어나도 즉시 온 세상이 뒤따라 일어난다. 아무것도 하지 말고 조용히 앉아 보라. 그냥 방안에, 나무 곁에, 풀밭에 누워 있어 보라. 그냥 그 자리에 존재하라. 그러면 순간적으로 어떤 느낌이 우리에게 밀려오기 시작할 것이다. 우리는 분명히 그 자리에 존재한다. 그렇지만 우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존재하지 않음과 동시에 난생 처음으로 존재한다. 깨달음은 죽음인 동시에 부활이다.
-<제7장 『금강경』과 무아교육>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