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67352646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5-10-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할머니와 할아버지, 미래사회의 문화적 스승 _윤용섭
100세 시대의 도래와 노인이라는 존재 │ 노인의 사회문화적 의미 │ 노인의 사회문화적 역할 │ 미래사회와 노인
제2장 조손관계, 그 친밀함의 오래된 전통 _김미영
“군자라면 손자는 안아도 아들은 안지 않는다” │ 조부와 손자, 생과 사를 함께하다 │ 격대교육, 연륜으로 쌓은 생활 밀착형 가르침
제3장 퇴계, 손자에게 편지를 쓰다 _장윤수
삶 속에 뿌리 내린 가학 │ 권유·격려·안타까움·책망이 담긴 할아버지의 편지 │ 그 할아버지에 그 손자
제4장 노인에게 가르침을 청하는 사회 _정재걸
‘무릎학교’와 ‘견문학교’가 필요한 시대 │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인가 │ 맹자가 자식을 서로 바꿔 가르치라고 한 까닭 │ 한계효용 제로 사회에서 격대교육이 갖는 의미 │ ‘양로원 속의 유아원’이라는 발상
제5장 서구의 격대교육, 명문가로 거듭나다 _최효찬
세계적 인물은 할아버지, 할머니가 만든다? │ 부모 교육보다 빛난 격대교육의 사례들 │ ‘이기적 육아’와 ‘실존적 공허’를 넘어
제6장 손자를 위한 육아일기: 이문건의 『양아록』을 읽다 _장정호
손자 양육의 생생한 기록 │ 일기 구석구석에 스민 할아비의 마음 │ 이문건, 조선시대 격대교육의 전범
제7장 변화하는 가족 형태, 조부모의 역할은 무엇인가 _이창기
가정이라는 가장 중요한 타자 │ 전통사회의 가족은 어떤 모습일까? │ 한국 가족제도 속의 할아버지와 할머니 │ 산업화는 가족도 변화시킨다 │ 편리하지만 문제가 많은 핵가족 │ 가족공동체의 복원을 위한 할아버지 할머니의 역할 │ 적응과 관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