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2831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24-05-11
책 소개
목차
1. 학교가 추구해야 할 교육목표는 무엇인가?
(1) 학생에 대한 연구
가. 학생의 필요
나. 학생의 흥미
다. 학생에 대한 연구 방법
(2) 현대 사회에 대한 연구
가. 현대 사회를 연구하는 이유
나. 현대 사회에 대한 연구 분야
다. 연구 절차 및 해석
(3) 교과 전문가의 제안
가. 전통적인 교과 교육목표
나. 질문의 전환
다. 새로운 교과 교육목표
(4) 교육철학의 활용
가. 교육철학이 필요한 이유
나. 교육철학이 답해야 할 질문
(5) 학습심리학의 활용
가. 학습심리학이 필요한 이유
나. 학습심리학의 활용 사례
(6) 교육목표 진술 방식
가. 바람직하지 않은 진술 방식
나. 바람직한 진술 방식
다. 교육목표 이원분류표 활용 사례
2. 교육목표를 달성하려면 어떤 학습경험을 선정해야 하는가?
(1) 학습경험의 의미
(2) 학습경험 선정의 원리
(3)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학습경험의 예
가. 사고력 계발에 도움이 되는 학습경험
나. 정보 습득에 도움이 되는 학습경험
다. 사회적 태도 계발에 도움이 되는 학습경험
라. 흥미 계발에 도움이 되는 학습경험
마. 결론
3. 학습경험을 효과적으로 조직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 조직의 의미
(2) 효과적인 조직의 원리
(3) 조직에 필요한 요소
(4) 조직의 구성 원리
(5) 조직의 구조
(6) 조직 설계의 방법
4. 교육목표에 도달했는지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1) 평가의 필요성
(2) 평가의 기본 개념
(3) 평가의 절차
가. 교육목표의 확인
나. 평가 상황 형성
다. 평가 도구 개발
라. 증거 수집
마. 평가 결과 기록
바. 평가 단위 결정
사. 평가 결과 분석
아. 평가의 객관성, 신뢰도, 타당도 검증
(4) 평가 결과의 활용
(5) 평가의 또 다른 가치
5. 교사는 교육과정 개발에 어떻게 참여해야 하는가?
옮긴이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