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3258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5-06-30
책 소개
지하철이나 공공장소를 떠올려 보자. 거의 모든 사람이 스마트폰을 들고 있다. 드라마를 보고 게임을 하고 각종 동영상을 보고 뉴스를 본다. 종이책을 들고 읽는 사람을 최근에 본 기억이 있는가? 인터넷에 나와 있는 수많은 기사에 달린 댓글들, 그 댓글 중 정작 기사를 꼼꼼하게 읽고 진지하게 댓글을 단 사람들이 몇이나 될까? 문맹은 없지만 문해력은 낮은 지금 이 사회.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과 낮아진 문해력, 독서에 집중하는 시간이 점차로 짧아지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학생들이 책과 다시 연결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까?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교육 현장의 사람들은 국어 수업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입시에만 집중하지 않고 글을 읽는 재미와 생각의 힘을 길러주는 수업, 이 책에 그런 일들을 되살리려 노력하는 교사들의 기록이 담겨 있다.
코로나로 침체된 현장 교육 이후 훨씬 깊어진 문해력 저하와 공동체 감수성의 결핍 문제를 진단하고, 그 해결책으로 책 읽기와 질문하기, 나누기와 쓰기를 제시하는 이 책은 현장에서 직접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의 수업 방식에 관한 이야기를 나눈다. 저자들은 단순한 국어 수업을 넘어서, 학생들이 자신과 타인, 사회와 관계 맺도록 이끄는 방법들을 교육활동에 녹여냈다. 같은 교과를 가르치지만 4명의 수업은 중점, 방식, 대상에 이르도록 다양함을 지닌다. 그렇기에 국어 교과를 어떻게 가르치지 걱정하며 고민하는 교사들에겐 더없는 길잡이 도서가 될 것이다. 또한 이 책은 ‘국어 수업은 어떻게 삶과 맞닿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이며, 교사와 교육관계자, 독서코치, 부모 등 아이들의 문해력과 인문 감수성을 키우고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책이다.
2. 4인 4색 다른 국어 수업 이야기
시선이 머무는 국어 수업』은 각자의 자리에서 교육을 고민해 온 네 명의 교사가 한 권의 책을 만들어 내기 위해 모여 글을 쓰는 데에서 비롯된다. 다양한 연령대와 다른 경험을 하는 교사들은 그들의 이야기가 사화에 작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매주 고민했고 더 많은 다양성을 담기 위해 노력한 결과물을 세상에 내놓았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학생과 함께 ‘질문하고, 토론하고, 쓰는 수업’을 어떤 방식으로 진행해야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책 속에는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 독서 수업, 비경쟁 독서 토론의 실제, 시 읽기와 책 대화 활동, 소설 수업에서의 감정 이입 활동 등 수업 시간에 바로 적용해 볼 만한 구성안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독서 캠프 등의 사례를 통해 문해력을 끌어올릴 방법들을 함께 고민하도록 제시하기도 한다.
또한 이 책은 단순한 수업 사례를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왜 학생 시절의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는 독서가 중요한지, 왜 책을 함께 읽고 이야기하는 수업이 학생의 사고력과 문해력을 살리는가에 대한 교사들의 성찰을 함께 담고 있다. ‘문해력 절벽 시대’라는 표현이 더 이상 과장이 아닌 현실에서, 책 읽기의 힘은 단순한 학습을 넘어서 삶의 감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 타인과 연결되는 언어의 힘을 기르는 데 필수적인데 어느 순간 입시 문제 풀이만을 중시하는 현실에 대한 반성도 담는다.
무엇보다 이 책은 학생이 주도하고 교사는 조력자로 함께 걸어가는 수업의 감각을 전하고자 한다. 교사 중심의 지식 전달이 전부가 아닌, 학생이 질문을 만들고,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며, 삶에 적용하는 과정을 수업에 녹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업은 교사의 말이 아니라, 학생들의 말로 완성되는 공동작업이라는 믿음을 가진 이들의 이야기는 국어 수업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3. 생생하게 엿보는 국어 교육 현장
이 책의 저자들 역시 오랜 시간 교직에 몸담고 있는 분들이며, 그들만의 수업 노하우가 있다, 특히 4부는 성인 문해 교육에 관한 이야기로 현장 교사가 아니라면 담아낼 수 없는 방송중학교의 풍경을 소개해 주어 그들만의 국어 수업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엿볼 수 있다. 칠순, 팔순의 학습자가 교복을 입고 또 그림책을 읽는 순간, 문해력은 단지 시험을 위한 능력이 아니라 삶의 존엄과 연결되는 힘임을 새삼 깨닫게 된다.
『시선이 머무는 국어 수업』은 딱딱한 이론서가 아니다. 수업 중에 마주한 수많은 실패와 질문, 감동과 성찰의 순간들을 교사들이 직접 꺼내어 놓은 ‘교직의 살아 있는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교사뿐 아니라 교육 관계자, 독서 지도자, 학부모 등 학생들의 문해력과 인문 감수성을 키우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대안과 위로가 될 수 있는 책이다.
목차
들어가는 글 ━ 5
제Ⅰ부 요람에서 무덤까지 독서 코칭
Ⅰ. 독서 코칭이 대안이에요
1. 문해력 절벽의 시대 ━ 015
2. 스며드는 독서 ━ 017
3. 독서 코칭의 시작, 주도권은 독자에게 ━ 019
4. 질문의 힘은? ━ 020
5. 질문의 시작, 느낀 점을 묻는다. ━ 022
6. 질문하기, 모르는 것을 묻는다. ━ 024
7. 질문하기 - 더 알고 싶은 것을 묻는다. ━ 026
8. 질문하기 - 작가와 생각이 다른 것을 묻는다. ━ 029
9. 질문하기 - 토의하고 싶은 것을 묻는다. ━ 032
10. 토의 활동 - 경청에 주의해야 한다. ━ 036
11. 글쓰기 활동 ━ 039
12. 글쓰기 피드백 요령 ━ 041
Ⅱ. 알콩달콩 재밌는 독서 전략
1. 어떤 책을 읽을까요? ━ 043
2. 독서 과정이 모여 콘텐츠가 되어요. SNS 활용 ━ 044
3. 편식은 안 돼! 영양 균등 독서 ━ 046
4. 세대별 독서 코칭 방법 ━ 048
Ⅲ. 단계별 독서캠프 사례
1. 독서캠프와 함께한 40년 ━ 068
2. 유아기 독서캠프 ━ 071
3. 초등 저학년 독서캠프 사례 ━ 074
4. 초등 고학년 독서캠프 사례 ━ 078
5. 중학교 독서캠프 사례 ━ 081
6. 고등학교 독서캠프 사례 ━ 097
제Ⅱ부 나를 발견하고 세상을 이롭게 하는 독서 수업
Ⅰ. 문학작품으로 세상 엿보기
1. 책 고르기와 읽기 ━ 130
2. 책 대화 ━ 132
3. 책 소개와 모둠원의 대화, 실천을 담은 발표 ━ 133
4. 독서와 실천을 담은 글쓰기 ━ 135
Ⅱ. 열여섯 살 아이들과 함께한 진로 독서 수업
Ⅲ. 두 가지 방식으로 비경쟁 독서 토론하기
1. 첫 번째 방식 - 카프카의 『변신』을 읽고 ━ 147
2. 두 번째 방식 - 『팩트풀니스』를 읽고 ━ 151
3. 수업 시간에 비경쟁 독서토론을 하는 법 ━ 153
Ⅳ. 책 대화 프로젝트
1. 책 친구와 나누는 대화 ━ 157
2. 개인 글쓰기 초안을 작성하는 2시간 ━ 161
Ⅴ. 심미적 체험 문학 활동
1차시 : 소설을 왜 읽는가, 우리에게 왜 소설이 필요한가? ━ 168
2차시 : 퀴즈의 빈칸 채우며 소설 읽기 ━ 170
3차시 : 모둠별 퀴즈 대결 ━ 171
4차시 : 인물 탐구 ━ 171
5차시 ~7차시 : 비경쟁 토론 ━ 172
제Ⅲ부 고등학교 짬짬이 활동 수업
Ⅰ. 책은 사라질 것인가?
1. 봄 ━ 183
2. 여름 ━ 186
3. 가을 ━ 189
4. 겨울 ━ 192
Ⅱ. 단편소설 한 편, 한 시간 동안 읽기
1. 『땀 흘리는 소설』의 첫 번째 소설. 「어비」 (김혜진) ━ 202
2. 『땀 흘리는 소설』의 두 번째 소설. 「가만한 나날」 (김세희) ━ 206
Ⅲ. 미니 토론 시간-노약자석에 관한 의견
Ⅳ. 나만의 방법으로 시 읽기
1. 수업의 시스템화: 좋은 수행평가지 제작하기 ━ 213
2. 시집 한 권 읽기 의의와 방법 ━ 214
3. 수행평가의 실제, 그리고 의의 ━ 217
Ⅴ. 책갈피 만들기
제Ⅳ부 어른의 향기 - 방송중 성인 독서 수업
1. 빵점짜리 방송중 수업계획서 ━ 225
2. 방송중 ‘문학의 날’- 우리 반과의 마지막 수업 ━ 227
3. 성인 학습자가 교복을 입던 날 ━ 233
4. 방송중 가을 소풍 ━ 237
5. 방송중 학생회 ━ 241
6. 방송중 졸업식 - 작별 인사 ━ 244
7. 성인 학습자와 읽은 시와 소설 ━ 248
8. 칠순 학습자가 만난 그림책 ━ 251
나가는 글 ━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