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생화학
· ISBN : 9791159431555
· 쪽수 : 146쪽
· 출판일 : 2019-04-18
책 소개
목차
서문 ix
감사의 말 x
1부 에너지 대사 Energy metabolism
1 대사 경로의 개요 2
2 ATP 생합성 I: 대사의 동력 분자인 ATP 4
3 ATP 생합성 II: 사립체의 호흡 사슬 6
4 세포질 NADH의 산화: 말산/아스파트산 왕복과 인산 글리세롤 왕복 8
5 에너지를 제공하는 글루코스 대사 10
6 글루코스 1분자의 대사는 ATP 31분자(또는 38분자?)를 생성한다 12
7 ATP로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글루코스와 글라이코젠의 혐기성 대사 14
8 2,3-양인산글리세르산(2,3-BPG)과 적혈구 16
9 ATP로서 에너지를 제공하는 트라이아실글리세롤의 대사 18
2부 탄수화물 대사 Carbohydrate metabolism
10 글루코스가 글라이코젠으로 전환되는 대사 20
11 글라이코젠 대사 I 22
12 글라이코젠 대사 II 24
13 글라이코젠 대사 III : 글라이코젠분해의 조절 26
14 글라이코젠 대사 IV: 글라이코젠 합성의 조절 28
15 인산 오탄당 경로: NADPH과 환원형 글루타티온의 생성 30
16 당분해의 조절: 심장근육에서의 당분해를 예로 든 개관 32
17 뼈대근육에서의 당분해: 스포츠와 운동의 생화학 34
18 글루코스신합성의 조절 36
19 크렙스 회로의 조절 38
20 포유류는 지방산에서 글루코스를 합성할 수 없다 40
21 슈퍼마우스: 뼈대근육에서 세포질 PEPCK의 과발현은 슈퍼운동능력을 유도한다 42
22 소비톨, 갈락티톨, 글루큐론산, 그리고 자일리톨 44
23 프락토스 대사 46
24 에탄올 대사 48
3부 지방 대사 Fat metabolism
25 파이루브산/말산 회로와 NADPH의 합성 50
26 글루코스가 지방(트라이아실글리세롤)으로 전환되는 대사 52
27 글루코스가 지방산과 트라이아실글리세롤로 전환되는 대사 54
28 당분해와 인산 오탄당 경로는 협동하여 간에서 지방을 만든다 56
29 간과 백색 지방조직에서 트라이아실글리세롤을 만드는 지방산의 에스터화 58
30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산의 동원 I: 지질분해의 조절 60
31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산의 이동 II: 트라이아실글리세롤/지방산 회로 62
32 글리세롤신합성 64
33 섭식 후 지방을 만드는 단백질 대사 66
34 지방산의 연장과 불포화 반응 68
35 지방산 산화와 카니틴 왕복 70
36 케톤체 72
37 케톤체 이용 74
38 불포화 지방산의 β-산화 76
39 과산화소체의 β-산화 78
40 α?산화와 β?산화 80
41 ω-산화 82
4부 스테로이드 대사 Steroid metabolism
42 콜레스테롤 84
43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담즙산염 86
5부 아미노산 대사 Amino acid metabolism
44 비필수 아미노산의 생합성 88
45 아미노산 이화 I 90
46 아미노산 이화 II 92
47 기아 상태와 재급식 직후의 기간 동안 글루코스로 되는 아미노산 대사 94
48 아미노산 대사의 장애 96
49 페닐알라닌과 타이로신의 대사 98
50 트립토판 대사: NAD+, 세로토닌, 그리고 멜라토닌의 생합성 100
51 요소 합성을 위한 오니틴 회로: ‘요소 회로’’ 102
6부 대사경로화 Metabolic channelling
52 대사의 채널링 I: 효소는 대사 중간물질의 채널링이 가능하도록 조직화된다 104
53 대사의 채널링 II: 지방산 합성 106
7부 퓨린, 피리미딘과 포피린 Purines, pyrimidines and porphyrins
54 아미노산 대사, 폴산 대사, 그리고 ‘일탄소 웅덩이’ I: 퓨린 생합성 108
55 아미노산 대사, 폴산 대사, 그리고 ‘일탄소 웅덩이’ II: 피리미딘 생합성 110
56 질소 노폐물을 폐기하기 위한 크렙스 요산 회로 112
57 포피린 대사, 헴과 담즙 색소 114
8부 대사경로와 당뇨의 해석 Integration of metabolic pathways and diabetes
58 공복 상태에서의 간의 대사 경로와 라이 증후군에서의 대사 이상 116
59 당뇨병 I: 당뇨병에서 일어나는 대사 변화 118
60 당뇨병 II: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 MODY, 그리고 이자 β?세포의 대사 120
61 당뇨병 III: 제2형 당뇨병과 간 대사의 기능부전 122
찾아보기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