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91159678370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8-05-16
책 소개
목차
제1부 서 론 1
1. 「천부경」에서 우리의 주체적 사유체계를 찾기 위하여 2
2. 「천부경」과 고 조선 사람들의 사유체계 5
(초판본에 없는 부분을 개정판에서 추가) 5
1) 한국철학韓国哲学19) 정립定立의 필요성 5
2) 한국철학 「천부경」에 기초하여 파생派生한 한국사상韓国思想23)의 필요성 5
3. 「천부경」적 사유체계에서 발생하는 한국사상을 필요로 하는 대상 6
1) 한국 역사철학歷史哲学31)의 정립 6
2) 우리역사의 정통성39)을 세우는 문제 6
3) 국가 정체성의 확립50) 7
4) 국호国号의 수호守護51) 7
5) 국가 정체성正体性 및 국가체제国家体制56)의 수호 8
4. 集団無意識57)에 내재한 数字的 원리58)인 「천부경」의 수리체계 도출 8
1) 2와 3 수리체계에서 사유체계 형성. 8
2) 의식의 통일장이 보편성을 가진 통일장으로 발전하기 위한 전제조건 9
3) 사유체계론의 체계화 9
5. 『단군세기』79)에 나타난 「천부경」적 사유 10
6. 『태백일사』 「삼한관경본기」에 나타난 「천부경」적 사유 15
7. 「천부경」의 역사 19
8. 「천부경」 이설異説 21
9. 문장의 해석 27
1) 주제 27
(1) 一을 주제로 하는 경우 28
(2) 三을 주제로 하는 경우 30
(3) 天地人을 주제로 하는 경우 31
2) 다양한 문장구분 32
(1) 해석 1 32
(2) 해석 2 35
(3) 해석 3 37
(4) 해석 4 38
3) 천부의 원리를 도출하기 위한 문장구분의 실익 39
4) 원리 도출을 위한 해석의 단서 40
제2부 81
1. 「천부경」을 배워야 하는 이유 82
1) 인식의 문제 82
2) 본모습과 헛것 85
3) 동이가 택한 수 3과 화하가 택한 수 2 87
(1) 동이와 화하 87
(2) 동이의 3수 우주관38)과 화하의 2수 우주관 89
(3) 동이적인 사고와 화하적인 사고 100
(4) 동이의 종교사상과 화하의 종교사상 102
2. 「천부경」에서 의미성 도출 105
1) 정체성 확인 105
(1) 天(우주)的 자아 105
(2) 地(지구)的 자아 108
(3) 人(인간)的 자아 109
(4) 天地人 109
2) 사유체계의 주체성 확인 111
(1) 생성과 존재의 수 1, 3의 확대 111
(2) 운행 운34성환 112
(3) 剛과 柔와 삼태극 113
3. 한국적 논리 도출 114
1) 삼신 119
2) 원형이정 120
3) 생성과 소멸의 균형 121
제3부 본 론 209
1. 동이문명 여명기의 천문 210
1) 蘇씨의 제사와 천문 211
2) 蘇塗의 蘇라는 문자 213
3) ‘소’씨가 해맞이를 하였음을 밝혀주는 문자들 219
2. 소도 221
1) 기풍의 정착지 숙신은 珠申에서 나와 223
2)기풍은 희화 주씨와 희씨의 후예 223
3)기성과 소성의 유사점 224
4)문자학에서 단군왕검을 중심으로 밝혀지는 소성과 곤의 관계 225
3. 화이의 祭와 소풍의 祀 228
1) 적자의 祭 230
2) 풍이족을 뜻하는 모계족성 巳의 장자가 아닌 자가 올리는 제사 祀 230
3) 巳에서 밝혀지는 한인천제 231
4. 「천부경」과 天中煞 237
1) 천중살풀이, 시간마지 굿 238
2) 천중살풀이, 공간마지 굿 239
5. 『蘇塗経典本訓』의 내용 240
6. 천부와 천상 240
1) 天과 顛과 하늘 240
2) 符와 象 241
3) 天의 体와 用 242
제4부 299
1. 「천부경」과 「천상열차분야지도」 300
1) 「천부경」과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논리구조 300
2) 「천부경」의 수리와 운동의 논리구조 301
(1) 天地人의 理는 数理 1 301
(2) 운동의 원리 始와 析 302
(3) 有를 전제로 한 無存在의 無 302
(4) 음양의 축소와 소멸 尽 303
(5) 極의 造化와 調和로서의 合 304
(6) 陽의 축적 積 305
(7) 成数를 生하는 6의 生 305
(8) 천도와 백도의 운행 運 305
(9) 확대와 축소 衍 306
(10) 확대하는 往 축소하는 来 306
(11) 수리대로 쓰이는 用 307
(12) 理가 気가 되게 하는 変 307
(13) 始.析.無.尽.積.生.合.運.衍.往.来.用.変은 動 307
(14) 人에 천지가 있으므로 받들어 모시는 昂 307
(15) 인에 천지가 있음을 밝히는 明 307
2.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논리구조 308
3. 天象의 구성 311
1) 동이가 발생하는 角宿 312
2) 한국의 정착지 태미원 312
(1) 한인천제가 오는 天帝星 316
3) 한웅천왕이 세운 배달나라의 정착지 천시원 318
(1) 한웅천왕이 온 곳 서자성 319
4) 조선을 완성한 곳 자미원 320
4. 수리체계와 方位 320
1) 수리체계 321
2) 북방과 「천부경」의 수 1의 결합으로 子井이란 의미가 생김 321
3) 남방과 「천부경」의 수 2의 결합으로 女井이라는 의미가 생김 322
4) 동방과 「천부경」의 수 3의 결합으로 桓 蘇木 솟대라는 의미가 생김 325
5) 서방과 「천부경」의 수 4의 결합으로 遷과 僊이 생김 326
6) 중앙과 「천부경」의 수 5의 결합으로 죽음과 블랙홀이 생겨 326
7) 方位의 位는 공간의 전후좌우와 상하, 그 수는 6 327
8) 「천부경」의 수 5에서 나온 五帝座 327
9) 태미원의 신장들 329
5. 천시원의 세계 332
6. 자미원의 세계 336
7. 한국의 역사를 반영한 四神 345
1) 4보성과 28수 345
2) 「천부경」의 1과 28수의 논리적 관계 348
3) 1과 북극성 349
4) 사신 28수에서 동평국의 별인 동방창룡칠수 349
(1) 각수는 한국의 초대 천제 桓因 350
(2) 항수는 한국의 제2대 천제 赫胥 352
(3) 저수는 한국의 제3대 천제 古是利 355
(4) 방수는 한국의 제4대 천제 朱于襄 356
(5) 심수는 한국의 제5대 천제 釈帝壬 356
(6) 미수는 한국의 제6대 천제 邱乙利 357
(7) 기수는 한국의 제7대 천제 智為利 358
5) 사신에서 배달나라의 문명개화가 반영된 서방백호칠수 359
(1) 배달나라를 따른 번조선 359
(2) 번조선의 국도 서울에서 바라본 서방백호칠수 361
(3) 규수-배달나라 천왕의 생활 362
(4) 루수-여신이 관장하는 배달나라의 종교 364
(5) 위수-배달나라 백성들의 풍족한 살림 366
(6) 묘수-동이를 탄생케 한 ‘춘분의 기’의 발생장치 368
(7) 필수-배달나라 14 先帝를 모신 神輿 369
(8) 자수-각수에 비견한 별자리 372
(9) 삼수-배달나라의 군대편제 372
6) 태고의 모계사회가 반영된 남방주작칠수 375
(1) 신시제도가 반영된 남방주작칠수 375
(2) 정수-신시의 운영체제 377
(3) 귀수-임금의 장례와 사직 382
(4) 유수-단군왕검의 궁궐 384
(5) 성수-여인국 마고지나의 내각구성 385
(6) 장수-조선에서 모신 배달나라의 종묘 387
(7) 익수-존경과 권위의 남방신 주작 387
(8) 진수-청구의 별, 치우천왕의 별 388
7) 인류시조신화가 반영된 북방현무칠수 390
(1) 나반의 집이 있는 실수 390
(2) 남두-인류의 시조 나반과 아만의 廟堂 391
(3) 우수-인류의 조상 나반 393
(4) 여수-견우의 측실 수녀 397
(5) 허수-측실의 통곡 397
(6) 위수-견우 돌아오다 399
(7) 실수-견우가 돌아오는 곳 번조선의 땅 牟国 401
(8) 벽수-동벽으로 견우가 내려오다 403
8. 천문으로 읽는 「천부경」 404
1) 「천부경」을 천문으로 읽기 404
2) 해석 407
9. 「천부경」의 속성 422
1) 역을 만든 한웅천왕을 위한 변명 422
2) 「천부경」에 나오는 숫자의 의미 431
3) 묘수에 태양이 들어가 춘분이 된다는 뜻의 夷 433
4) 우주의 원주율과 지름의 3:1 비율에서 도출한 3 435
5) 동이의 효와 쾌 437
6) 복희의 쾌 438
7) 「천부경」의 원리와 『역경』의 원리 438
(1) 「천부경」에 감추어진 지구의 자전축 438
(2) 6이라는 수는 어디에서 나오는가? 441
(3) 『역경』에 감추어진 「천부경」의 원리 442
10. 「천부경」으로 『역』을 해석하기 451
1) 『역』으로 들어가기 1 451
2) 『역』으로 들어가기 2 452
3) 『역』을 「천부경」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455
4)쾌를 「천부경」으로 해석 455
(1) 乾為天卦 455
(2) 火水未済濟卦 460
(3) 「繋辞伝」 461
(4) 乾為天卦 ┼ 坤為地卦 464
(1 태초의 힘인 건과 곤의 역할 468
(2 건과 곤에서 창조된 제2의 건과 곤인 건위천쾌와 곤위지쾌 468
(3 효는 스스로 동한다 470
(5) 坤為地卦 472
(6) 地天泰卦 472
(7) 화수미제쾌와 수화기제쾌 472
(8) 화수미제쾌가 혁명의 수 6을 생성 475
(9) 水火既済卦, 火水未済卦, 乾為天卦, 坤為地卦 475
(10) 沢火革卦 477
(11) 64卦 478
제5부 483
1. 원리로서의 「천부경」 484
1) 『한단고기』에 반영된 「천부경」의 원리 484
(1) 동이의 역사관과 역사원리 484
(1 신생의 원리 ------- 492
(2 신수의 원리 --------493
(3 선인합일의 원리 ----- 494
(4 태양탄생의 원리 ----- 495
(5 명두로 표현한 민족 정체성의 원리 ----- 497
(2) 철학에서 동이의 천지인삼신과 화하의 천지인삼재의 구별 498
(1 천지인 삼신과 천지인 삼제 ------- 499
(2 천부경에서 본 천지인 ---------- 502
(3) 「천부경」에서 수축하는 신의 능력을 나타내는 수 2 504
(4) 천지인의 생성 506
(1 천의 생성 ------------ 507
(2 지의 생성 ------------ 508
(3 인의 생성 ------------ 509
(5) 천지인의 완성을 돕는 제 3의 힘과 작용 510
(6) 천지인신 사극이 운행하게 되는 이유 512
(7) 사극을 완성하여 다가서는 블랙홀 5와 행운의 수 7 513
(8) 일석삼극 안에 존재하는 신 516
(1 신의 속성 ---------------- 519
(2 지의 속성 ---------------- 519
(3 인의 속성 ---------------- 519
제6부 맺는 말 523
(1 천문의 현현화 -------------- 532
(2 빛의 존재 ---------------- 533
인용 및 참고 문헌 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