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반려동물
· ISBN : 9791160022360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9-06-07
목차
지은이의 말 _ 강아지는 작은 우주입니다
1장 강아지들은 정신없이 신나게 살아요
견생이 짧아도 괜찮아요, 더 사랑하면 되죠
강아지는 초능력 코를 갖고 있어요
강아지는 친구들을 소중하게 생각해요
방귀는 우리 잘못이 아니에요
2장 강아지들은 마음을 숨기지 않아요
강아지도 삐치고 질투할 줄 알아요
귀여운 거짓말을 많이 해요
기억력 나쁜 건 타고났죠, 과거를 잊고 달려요
사실은 우리보다 사람들이 더 산책을 좋아해요
3장 강아지들은 놀라울 만큼 똑똑해요
사랑한다면 평가하지 말고 응원해주세요
강아지는 사람도, 밥도 모두 사랑해요
이미 지난 일로 야단 좀 치지 마세요
강아지들은 나쁜 사람을 알아볼 수 있어요
강아지의 슬픈 표정에는 비밀이 있어요
강아지는 사람의 시선을 이해해요
TV와 거울 앞에서 강아지들은 많은 생각을 해요
4장 강아지들에게는 따뜻한 마음이 있어요
강아지들의 눈빛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요
강아지 꿈에 보호자가 나타나요
강아지에게도 이타심이 있어요
강아지가 슬픈 사람을 위로해요
우리 강아지는 사람을 믿어요
5장 강아지들은 사랑스러운 슈퍼 히어로예요
맑고 순수한 감정, 강아지의 자랑이에요
강아지는 응가할 때 초능력을 써요
사람도 우리 표정을 읽을 수 있어요
강아지는 어떻게 시간을 알까요?
우리는 주인 성격을 닮아요
진심인지 아닌지 다 알아요
보호자와 친구가 떠나면 너무 슬퍼요
우리 강아지의 사랑을 의심하지 마세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강아지의 성격과 수명의 상관관계가 크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적이 있습니다. 2010년 캐나다 셔브룩대학교의 생물학자 빈센트 갸로Vincent Careau 박사팀은 견종 및 수명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양한 문서를 수집해서 분석했습니다. 그 중에는 학술문헌도 있었고, 강아지의 수명 통계를 정리한 스웨덴 보험회사의 자료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순종적인 강아지가 더 오래 사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잉글리쉬 스프링거 스파니엘은 바셋 하운드(허시파피)보다 34% 더 온순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수명도 길었습니다. 10살 넘게 살 확률이 바셋 하운드의 2배가 된다는 것입니다. 푸들의 경우 복서에 비해 29% 더 온순해서 10살 넘게 살 확률이 복서의 4배라는 결과도 있습니다. 즉 강아지가 순종적이고 얌전하면 오래 살고, 사람 말을 잘 듣지 않고 활달한 성향을 가진 견종은 수명이 짧다는 것이 연구팀의 결론이었습니다.
그는 강아지를 완전한 존재로 보았습니다. 귀엽고 사랑스러우며 고마운 일을 아주 많이 하는 ‘완전한 친구’로 말입니다. 그런 친구에게 단점이 딱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짧은 수명입니다. 강아지와 보호자의 이별은 과연 어떤 의미일까요? 강아지의 삶이 그렇듯이 강아지의 죽음 또한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닐까요? 미국의 시인 에리카 종Erica Jong에 따르면 이렇습니다.
“반려견들은 사랑에 대해 가르치기 위해 우리의 삶에 찾아오며, 상실을 가르치기 위해 우리의 곁을 떠납니다.”
많은 반려인들이 공감할 만한 내용입니다. 강아지의 죽음도 사람에게는 큰 교훈입니다. 상실의 슬픔과 고통을 겪으면서 더욱 성숙해질 수 있습니다. 강아지와의 이별은 사람을 더욱 깊이 있게 만드는 의미가 있습니다.
사람과 강아지는 기억하는 방법이 전혀 다릅니다. 강아지와 동물들은 연상 기억associativememory 을 합니다. 어떤 것을 보면 다른 것을 떠올리는 것입니다. 보호자가 산책을 나가려고 목줄을 준비하면 반려견들은 이미 알고 흥분합니다. 이 경우 강아지는 목줄을 보면 산책을 연상하게 됩니다. 그래서 기뻐하는 겁니다. 보호자가 스마트폰을 주머니에 넣으면 혼자 외출한다는 사실을 연상하곤 미리 불안해합니다. 비닐 봉투가 바스락거리는 소리에서는 먹을 것을 연상해서 침을 흘리며 다가옵니다.
다른 이야기를 해볼까요? 강아지가 문제적 행동을 할 때 훈련사는 강아지의 연상 기억을 교정합니다. 현관문만 열리면 시끄럽게 짖고 공격하는 강아지가 있다고 해봅시다. 이 강아지는 왜 이런 행동을 할까요? 현관문 소리에서 침입자를 연상하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훈련사가 택하는 방법은 보통 이렇습니다. 현관문을 노크하는 동시에 강아지에게 간식을 주는 것입니다. 몇 번 반복되면 강아지는 현관문 소리에서 ‘간식’을 연상하게 됩니다. 그래서 더 공격하지 않는 것입니다. 새로운 연상을 심어주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