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0023831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2-10-05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 _ 엄혹한 현실, 돈의 흐름을 타고 가야 한다
PART 1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
1장 다가올 미래, 우리는 어떤 길을 가고 있는가?
우리 시대 변화의 본질은 무엇인가?
위험을 얼마나 감수하느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진다
국가, 기업, 개인은 모두 이해관계로 얽혀 있다
부의 분배는 자본의 크기에 따라 움직인다
신자본주의의 등장은 결국 양극화의 정점을 이끈다
변화의 핵심은 힘을 갖기 위한 투쟁이다
지금 우리는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
2장 지금 겪고 있는 위기의 발단과 원인은 무엇인가?
현재 위기의 4가지 변수 _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고유가
요인 1 _ 돈이 너무 풀리며 미국을 필두로 ‘돈줄’난 세계경제
‘버블’은 마냥 팽창하지 못하기에 언젠가는 터진다
요인 2 _ 사람과 물류의 이동에 제약이 생겼다
요인 3 _ 위기상황을 더욱 악화시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독일의 원전 의존도 감소와 재생에너지 의존도 확대 정책
3장 이제 경기침체와 경제위기는 어떻게 진행될까?
다가올 미래, 경제위기는 이렇게 진행된다
팬데믹은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중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언제 끝날 것인가?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에 주목하자
인플레이션은 언제 멈출 것인가?
현재 경제위기의 속내는 미중 간의 경쟁이다
4장 세계 주요 투자기관과 전문가들이 보는 향후 경기 전망
세계 주요 투자기관들은 앞으로의 상황을 어떻게 볼까?
글로벌 주요 투자기관은 유럽과 중국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
전문가들이 보는 미국경제 전망과 인플레이션 영향
투자기관이 주목하는 국가별 경제위기 대응방식
5장 미국 연준과 세계 주요 금융기관이 보는 향후 경기
IMF와 미국 연준은 이렇게 세계경제를 전망한다
세계 주요 금융기관이 보는 향후 세계경제 전망
본격화되는 경제위기에서 기회를 찾다
PART 2 다가올 미래, 돈의 흐름
1장 다가올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당신이 그렇게 똑똑하다면, 왜 부자가 아닌가?
'죽음의 턱'이 예측하는 다가올 미래
세계 자본시장의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지고 있다
2장 다가올 미래, 돈의 흐름을 아는 사람이 승자다
돈의 흐름은 어디로 갈까?
돈의 흐름은 고기압과 저기압의 원리와 같다
돈의 흐름을 아는 사람 vs. 돈의 흐름을 모르는 사람
어떻게 하면 돈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을까?
3장 다가올 미래, 돈은 이렇게 흘러갈 것이다
10년 주기로 돈의 흐름을 예측해보자
21세기 들어 돈은 어떻게 흘러가는가?
2020년 이후 나타난 경제위기는 예전과는 양상이 다르다
가까운 미래, 돈의 흐름은 어떻게 될 것인가?
향후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돈의 흐름은?
외국인 직접투자 규모로 돈의 흐름을 파악하자
4장 금값은 돈 가치의 변화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금값의 변화로 돈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
금값을 알면 자산시장 변화의 방향도 알 수 있다
금값의 변화는 새로운 지정학적 질서를 보여준다
5장 다가올 미래, 주식시장의 흐름
돈줄이 영원히 말라 자산시장이 사라진 적은 없다
시장에 공포가 만연할 때가 절호의 매수시점이다
돈의 흐름을 좌지우지하는 큰손들의 움직임에 주목하자
2023년 하반기까지 세계 증시 조정은 이어진다
미국 주요 기업 CFO들의 경제전망 및 투자계획에 주목하자
경제의 불확실성이 이보다 심각한 적은 없었다
2023년 하반기가 가장 중요한 시기다
6장 다가올 미래, 부동산시장의 흐름
다가올 미래, 부동산시장은 어떨까?
뉴욕 주의 부동산을 알면 서울의 부동산이 보인다
LA의 부동산을 보면 부동산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다
일리노이 주와 시카고 일대의 부동산시장 현황
미국 주요 도시 부동산시장의 5가지 공통점
다가올 미래, 한국 부동산시장의 흐름
대한민국에서 사야 할 부동산 vs. 팔아야 할 부동산
7장 다가올 미래, 가상화폐의 흐름
가상화폐 투자는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하다
가상화폐 투자의 장점과 단점
다가올 미래, 가상화폐의 미래가 궁금하다면?
8장 다가올 미래, 산업에서 돈은 어떻게 흐를 것인가?
전기차에 돈이 몰린다
전기차 산업과 콘텐츠 산업이 뜬다
로보틱스에 주목하자
e-커머스는 여전히 대세다
우주항공은 새로운 블루오션이다
바이오 의약품이 미래의 돈이다
9장 다가올 미래, 위기의 실체들을 다시 한 번 면밀히 살펴보자
세계경제 위기와 한국경제 위기의 실체
인플레이션의 위협은 앞으로도 지속된다
미중 갈등과 신냉전이라는 큰 그림으로 돈의 흐름을 파악하자
경제적 갈등이 아닌 이념적 갈등이 지배하는 세상이 시작되다
부록 1 _ 에너지 부족에 직면한 독일의 단계적 조치, 그리고 러시아의 의도
부록 2 _ 가상화폐, 이보다 쉬울 수 없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경제, 사회, 문화 등 대부분의 인간의 삶과 관련된 변화를 유심히 살펴보면 일정한 주기가 있다. 예를 들어 주역이나 명리학과 같은 분야에서는 대운이 10년마다 돌아온다고 한다. 경제학에서도 이른바 10년 주기설이 있다. 길게는 50년까지 보는 경기 사이클 이론도
있다. 1998년 아시아 외환위기, 2008년 미국발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2019년 말의 예상치 못했던 코로나19 팬데믹 등 대개 10년을 단위로 벌어진 세계의 질서 변화를 보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1991년 구소련의 붕괴, 2001년 월드트레이드센터 붕괴, 2011년 EU 재정위기에 따른 유럽경제 붕괴, 2021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정치사회적인 변화도 10년을 주기로 한다.
국가는 패권이, 기업은 수익과 시장 점유가, 개인은 부의 축적 등이 주된 관심사다. 세계 패권을 거머쥔 국가와 마찬가지로, 기업이나 개인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지위를 갖길 원한다. 하지만 누구나 다 패권을 거머쥘 수는 없다. 전 세계 287개국이 있다면, 그중 10%의 나라가 패권을 선점한다 해도 틀리지 않다. G20이 그렇다. 하지만 이 국가들도 패권을 서로 나눠가질 생각은 없다. 기업과 개인도 크게 다르지 않다. 상위 10%의 기업과 개인이 전 세계 물류와 수익 및 부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가는 세계 리더로서의 힘을 가질 때 대부분의 기술문명을 선도한다. 이때 글로벌 표준화와 룰세팅에서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강하게 대변할 수 있다. 국가와 국가의 구성원인 기업과 개인의 자산축적도 늘어간다. 국가는 기업의 이해관계를 지원한다. 유럽 중상주의 시대와 식민지 시대, 제국주의 시대가 그랬었다. 물론 그다음 질문이 있다. “영원한 패권국가가 있는가?
앞으로 경제위기가 어떻게 진행될까? 시나리오를 만들어본다면 확률적으로 가장 높은 것에 주목한다. 확률 계산은 과거 데이터를 통해 추정한다. 예를 들어 세계 대공황 및 불황이 인류 역사에서 17번이 있었다면 그 가운데 11번이 전쟁이라는 수단으로 해결되었다. 대부분 불황이나 대공황의 트리거는 ‘부동산 버블’이었다. 그렇다면 모든 경제위기의 끝은 부동산시장의 급락 혹은 버블 붕괴로 나타난다. 확률적으로 부동산시장에 빨간불이 켜지면 이를 경제위기의 신호로 봐도 무방하다. 그렇다면 부동산시장의 대공황이나 대불황의 조짐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에도 위기의 조짐은 2006년 이전부터 있었다. 시나리오를 만드는 가정을 위한 요건은크게 4가지다. 첫째, 팬데믹 사태, 둘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셋째, 미국 금리인상 속도, 다섯째, 세계 물가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