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002340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7-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한국경제의 미래를 말한다
PART1 코로나19 이후 마주하게 될 위기와 기회
PART1 Preview Summary
1장 코로나19 이후 한국경제가 직면하게 될 위기와 기회
한국경제와 세계경제, 이젠 회복기로 접어든다
인플레이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회복국면 진입 후 또 다른 10년의 상승기가 온다
다가올 10년, 세계경제의 큰 그림은?
2장 코로나19 이후 기업이 마주하게 될 기회와 위기
리더가 던지는 비전과 직관
정치와 기업의 공동 이해관계
코로나19 이후 기업이 처한 환경이 변하다
기업에 주어진 기회는 무엇인가
사례로 본 기업의 위기와 기회
돈을 빌리기 쉬워졌다(Easy Money)
빨리 움직여라(Moving Faster)
디지털 시대에 적응하라(Going Digital)
중심을 잡아라(Need to Pivot)
새로운 수요 창출(Surprising Demand)
원격근무, 근무 형태의 변화(Remote Work)
3장 코로나19 이후 다시 쓰는 경제노트
코로나19 이후 세계경제를 말한다
이제 한국경제는 어디로 향할 것인가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질서와 패러다임의 변화
다가올 5년, 세계경제의 중요한 다섯 가지 변화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경제 패러다임 변화
4장 코로나19 이후 투자와 산업의 미래
경기 불확실성과 자산시장의 버블
주식투자, 어떻게 해야 할까
부동산 시장, 언제까지 오르기만 할 것인가
코로나19 이후 미국 가정의 변화사례
바이오 및 에너지 관련 산업의 미래는 밝다
안보산업의 미래는 밝다
스마트 안보(Smart Intelligence)
사이버 안보(Cyber Security)
PART2 변화의 본질을 이해하면 경제의 미래가 보인다
PART2 Preview Summary
1장 생산 도구의 변화는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돌과 쇠의 등장과 경제
왕경(王經)유착과 경제
시민사회와 경제
기아, 질병, 전쟁 = 사람
산업혁명의 진화, 도구에서 기술로
1차 산업혁명이 불러온 시대변화
2차 산업혁명이 가지는 의미
3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정보산업
4차 산업혁명의 시작은 호기심
2장 미국의 변화를 보면 한국이 보인다
우리는 왜 미국을 알아야 하는가
1800년 미국, Wild Wild West
대양개척의 시대, 1900년 태평양 시대를 열다
1950년 미국, 고속도로를 건설하다
미국의 관심, 이제는 우주다
바이든 정부의 주요정책 다섯 가지
3장 일본의 변화를 통해 한국을 유추한다
쇄국을 건너 번과 막부의 시대로
바람에 맞선 사자, 메이지 유신
부국강병의 민족국가
자부심과 자긍심은 다르다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모방하는 한국
4장 뉴질랜드의 농촌개혁에서 우리의 모델을 배우자
배고픈 자에게는 철학을 기대할 수 없다
뉴질랜드 개혁의 역사적 배경
노동당의 경제개혁
뉴질랜드의 개혁과 리더십
뉴질랜드 개혁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21년 이후 세계경제가 회복기에 접어들 것은 분명하다. 다만, 미 증시의 최고치 경신 기록은 지극히 정상적이라 할 수 없다. 미국 수출, 제조업 및 서비스업 경기가 주가를 최고치로 갈아 치울 만큼 강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2021년 하반기 또는 2022년 상반기 증시와 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가치 조정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즉, 미국 실업률이 크게 개선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은 미국경제가 급격히 개선되고 있다는 지표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2008년 미국 발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0년 유럽 국가부채 위기에 따른 급락 이후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 때문에 세계경제가 다시 한 번 큰 폭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이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산업구조 조정이 본격화되었다.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위기와 기회를 보려면 크게 다음 세 가지를 생각해야 한다. 첫째, 대면 대 비대면, 둘째, 정보통신, 디지털 및 빅데이터 산업, 셋째, 양자컴퓨터와 AI다.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등은 아마존, 구글, 애플, 줌, 페이스북 등의 기능을 융복합화한 것이다. 즉 전기자동차 기술과 판매에 따른 부가가치를 이야기하려면 그 국가경제 혹은 기업경제에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연관산업의 분포와 기업층이 두꺼워야 한다.
어쩌면 코로나19는 기업과 개인에게 21세기 초입에 맞닥뜨린 위기이자 기회일 듯하다. 생존하면 기회일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경제 생태계에서 도태된다. 여기에서는 기업이 맞이할 코로나19 이후 환경으로 먼저 세계경제 환경의 변화 추세를 전망하고, 그다음 한국경제와 기업의 위기와 기회요인을 정리한다. 먼저 주목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코로나19 세상이 갑자기 퀀텀점프라도 하듯 지금과는 완전히 별다른 세상이 될 것이라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