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9116002401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3-06-05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_챗GPT 시대, AI 리터러시가 미래를 결정지어요!
1장 챗GPT가 십대들에게 보여주는 미래
너도나도 챗GPT, 도대체 뭐지?
챗GPT 하나로 세상이 바뀔 수 있다고?
구글과 네이버보다 더 강력한 챗GPT
챗GPT가 여는 미래의 교육혁명
챗GPT는 선생님의 경쟁자가 될까요?
아직은 불완전한, 그러나 가능성은 무한한 챗GPT
2장 챗GPT와 함께 공부하기
[국어] 챗GPT가 말하는 국어 공부 잘하는 방법
[국어] 어휘: 단어의 뜻을 파악하고 적용한 문장 만들기
[국어] 독해: 글의 구조 파악하고 독해 지문 만들기
[국어] 글쓰기: 주제 설정부터 챗GPT 피드백 받기
[국어] 토론: 주제 설정해 실제 토론 방법 파악하기
[영어] 챗GPT가 말하는 영어 공부 잘하는 방법
[영어] 단어: 단어의 뉘앙스 파악하고 예문 만들기
[영어] 독해: 다양한 유형의 독해 문제 만들고 풀기
[영어] 작문: 챗GPT 네이티브에게 영작문 첨삭받기
[영어] 번역: 챗GPT와 딥엘을 활용해 번역하기
[영어] 스피킹: 떨지 말고 편하게 챗GPT와 대화하기
챗GPT로 다른 과목도 공부할 수 있나요?
3장 챗GPT로 사라지는 직업과 새로 생기는 직업
챗GPT, 현재 직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흔히 말하는 ‘사’자 직업은 어떻게 될까요?
챗GPT는 창의적인 작가가 될 수 있을까요?
이제는 AI가 그림도 그릴 수 있을까요?
챗GPT 때문에 새롭게 생기는 직업도 있을까요?
챗GPT가 말하는 ‘AI 시대 유망 직업 10선’
4장 챗GPT 시대, 십대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 5가지
[질문력] 질문하는 사람이 세상을 이끌어요
[창의력] 다양한 경험과 공감력이 창의력을 높여요
[인문학] 인문 교육으로 AI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키워요
[문해력] 문해력 기르고 ‘쓰는 사람’이 되세요
[메타인지] 미래에는 주체적인 사람을 원해요
미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현재 AI(인공지능)는 일상의 모든 영역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부터 쇼핑몰, 금융, 의료, 교육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죠. 예를 들면, 의학 분야에서는 AI를 적용해 질병을 진단하고 예측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에는 AI가 운전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고 있죠. 이처럼 AI는 우리의 삶을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AI 리터러시(AI literacy)는 필수 역량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AI 리터러시가 뭐냐고요? AI 리터러시는 ‘AI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을 말합니다. AI 리터러시를 가진 사람은 AI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미래 대처도 가능하죠.
오픈AI(2015년 12월 11일 설립된 AI 개발사)에서 선보인 챗GPT가 세상을 정말 바꿀 것 같습니다. 두바이처럼 사막이 갑자기 도시가 되는 변혁보다는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그걸 직접 이용하는 세상이 되고 있기 때문이죠. 챗GPT는 생성AI의 대표적인 모델인데요, 생성AI라고 하니 기존 AI와 뭐가 다른지 이해하기가 어렵죠? 생성AI는 스스로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하고 분석해서 누군가의 질문에 맥락에 맞는 답변을 해줍니다. 그래서 챗GPT는 영어로 하면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입니다. 사전에 뭔가를 학습해서 맥락을 이용해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해주는 기술입니다.
우린 지금 궁금한 걸 네이버 지식인에 묻고, 네이버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합니다. 전문 자료가 필요하면 구글 검색창에 키워드나 키워드와 함께 파일확장자명을 입력하죠. 구글링을 통해 자료를 본 다음 부족한 자료를 또 찾기 위해 반복해서 또 다른 키워드를 넣고 자료를 찾죠. 굉장히 반복된 작업을 기계적으로 합니다. 그런데 챗GPT는 어떤가요? 챗GPT 사이트에 내가 원하는 걸 얻기 위한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받는 걸로 끝나지 않습니다. 끝말잇기처럼 답변을 보곤 또 다른 질문을 합니다. 그러다 보니 어떤 사람들은 챗GPT를 단순 자료 찾기만을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지 않죠. 계속 궁금한 사항을 물어보고 어떤 대답이 나오는지 보고, 또 그 답변을 보면서 곰곰이 생각하죠. 지금의 구글과 네이버가 단발성 키워드가 중심이라면, 앞으로는 끝말잇기와 대화의 시대가 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