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기획/보고 > 보고
· ISBN : 9791157848225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25-08-0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일머리가 끝내주는 사람은 생성형 AI와 프롬프트도 전략적입니다
1장 생성형 AI로 지금 당장 시작하는 보고서 기획서 자료 수집 5단계
#챗GPT #젠스파크 #제미나이 #퍼플렉시티 #클로드
STEP0 보고서의 “목적”을 생성형 AI와 함께 학습하라
달인의 킥_마인드맵까지 척척 “젠스파크”로 아이디어 구체화하기
STEP1 어떤 “자료”가 필요한지 정리해줘
STEP2 “최신 정보”를 대신 검색해줘
STEP3 “사례”를 분석해서 정리해줘
STEP4 정보를 “교차 검증”해줘
STEP5 자료를 “구조화”해서 요약해줘
달인의 킥_요약 전문 AI “릴스AI”로 요약하기
한 걸음 더_나만의 AI 챗봇 비서 만드는 법
2장 생성형 AI로 1분 만에 끝내는 보고서 기획서 기획과 구성 7단계
#챗GPT #퍼플렉시티 #딥시크 #코파일럿 #클로바X #클로드 #제미나이 #뤼튼
STEP1 “아이디어”를 알려줘
STEP2 “최신 트렌드”와 “사례”를 제시해줘
STEP3 아이디어를 “구조화”해줘
STEP4 “MECE”하게 분류해줘
STEP5 “로직트리”를 만들어줘
달인의 킥_범용 AI 에이전트 “마누스”로 로직트리 만들기
STEP6 하나의 “트리 구조”를 만들어줘
STEP7 목차를 OO 순서로 “구성”해줘
달인의 킥_마인드맵 AI “윔지컬”로 보고서 뼈대 만들기
한 걸음 더_마인드맵부터 보고서 작성까지 한 번에 만드는 “펠로”
3장 생성형 AI로 30분 만에 완성하는 보고서 기획서 스토리 구성과 문서 작성 5단계
#챗GPT #클로드 #제미나이 #젠스파크 #그록 #코파일럿 #퍼플렉시티
STEP1 “파리미드 구조”를 만들어줘
달인의 킥_“감마”로 PPT 보고서 초안 만들기
STEP2 “심층 리서치”를 실행해줘
달인의 킥_기본 구조부터 인포그래픽까지 다 잘하는 “슬라이드고”로 PPT 만들기
STEP3 문장을 “수정”해줘
STEP4 보고서에 대해 “피드백”해줘
STEP5 1분 스피치 “스크립트”를 작성해줘
달인의 킥_텍스트 시각화 AI “냅킨AI”로 디자이너 되기
한 걸음 더_“펠로”로 시장보고서 작성하기
부록
기본 팁. PDF 파일 한글 깨짐 문제
부록1. 골치 아픈 설문조사 설계 끝내주는 프롬프트
부록2. 복잡한 데이터 분석 끝내주는 프롬프트
부록3. 차별화된 차트 말아주는 프롬프트
부록4. 워드 클라우드 말아주는 프롬프트
부록5. 이미지 말아주는 프롬프트
부록6. 인포그래픽 말아주는 프롬프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생성형 AI는 결국 사용자가 얼마나 똑똑하게 명령하는지에 따라 활용성이 극대화됩니다. 실제로 심층연구 기능만 잘 활용하면 20페이지짜리 보고서를 30분도 채 안 되는 시간에 완성할 수 있답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생성형 AI와 끝내주는 프롬프트를 통해 정말 30분 만에 보고를 끝내보세요. 생성형 AI가 돌려준 시간은 우리를 더 중요한 것에 집중하게 만들어줄 것입니다.
젠스파크는 ‘SMART(구체적, 측정 가능, 달성 가능, 관련성, 시간제한)’,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네트워크 분석’ 등 구체적인 방법론이나 툴을 알려준다. 또한 젠스파크는 다른 생성형 AI가 텍스트를 나열하는 데 그치는 것과 달리 마인드맵을 통해 답변 내용을 구조화하는데, 이를 기반으로 생각을 확장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조직문화와 관련해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도 함께 제공한다(퍼플렉시티나 코파일럿도 마찬가지다). 이와 함께 국내외 자료도 함께 제공하는데, 블로그, 티스토리, DBR, 브런치, HR 블레틴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경우 가장 쉬운 프롬프트는 “○○○와 관련된 우수 사례를 알려줘”다. 하지만 이렇게 질문하면, 실무에서 활용 가능한 답변보다는 “아, 이런 사례들이 있구나” 정도의 답을 얻을 뿐이다. 이 질문 후에는 답변을 보고 우리 회사와 상황이 비슷한 혹은 벤치마킹하고 싶은 기업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물어보는 게 좋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어떤 질문을 할 수 있을까? 다양한 국내외 기업의 사례를 분석해 조직문화 혁신의 핵심 성공요인을 도출하거나, 우리 회사의 적용 방안을 마련해볼 수 있지 않을까? 처음부터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기보다는 단계적으로 접근하면 내 업무 지식도 쌓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