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 성리학의 서신논변 (퇴계와 고봉, 율곡과 우계)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퇴계/율곡
· ISBN : 9791160037029
· 쪽수 : 149쪽
· 출판일 : 2024-02-2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퇴계/율곡
· ISBN : 9791160037029
· 쪽수 : 149쪽
· 출판일 : 2024-02-22
책 소개
조선 성리학자인 퇴계와 고봉, 율곡과 우계간에 성리학의 중심사상중에 하나인 사단칠정과 도심과 인심에 대해 서신으로 벌인 논변에 대해 소개한 책이다.
목차
책머리 1
목차 4
1부 논변의 예비 고찰 6
1. 맹자의 사단 6
2. 예기의 칠정과 중용의 희로애락 22
3. 주희의 사단칠정 26
2부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 논변 29
1. 논변의 발단과 전개 29
2. 소취이언과 소종래 43
3. 사단칠정의 선악 52
3부 율곡과 우계의 논변 60
1. 인심도심논변의 발단과 전개 60
2. 인심과 도심의 규정 67
3. 율곡과 우계의 이기론 76
4부 사단칠정과 인심도심논변 분석 84
1. 이기선후의 개념 84
2. 이기의 호발 91
부록
1.조선 후기 실학파의 태극론100
2.중국 명(明)의 태극론 117
1) 조단 120
2) 설선 129
3) 왕수인 139
저자소개
책속에서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 논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퇴계는 ‘소취이언 (所就而言)’이라 하여 리와 기가 실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개념적으 로 구분된다고 말하고 있는데 반해, 고봉은 ‘소종래(所從來)’라는 표현을 강조함으로써 퇴계가 그것들을 실제로 분리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들 의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 것을 이해 할 수 있다.
퇴계와 고봉과의 논변 은 성리학의 용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理), 기(氣)와 같은 개념을 심도 있게 살펴 그들이 벌이는 양자의 논변을 이해하고자 한다.
그리고 율곡과 우계의 도심과 인심의 관계가 사단과 칠정이나 본연지 성과 기질지성의 관계에도 그대로 적용되는가, 그리고 이황의 ‘리기호발 설(理氣互發說)’이승인 될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