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91160071245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7-03-1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창업 시장의 메가 트렌드
내추럴 혹은 진실 | 스마트 | 고객 맞춤·개인화 | 예술·문화 |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 | 윤리적 경영 - CSR을 넘어서 CSV로
Part 2 테마별로 살펴보는 2020 창업 트렌드
Chapter 1 라이프 스타일
01 공유경제·렌탈
02 경험의 가치
03 소비하는 존재, 남성
04 놀이터 사업
05 밖에서 삶과 사업을 지원하다, 대행업
06 싱글의 삶, 커플의 데이트
07 육체적·정신적 해독이 필요하다, 디톡스
08 개성과 전문성을 살린, 크리에이터
09 우아하거나 남다르거나, 예술·문화
10 펫코노미에서 발견하는 창업 기회, 반려동물 산업
11 울퉁불퉁한 게 좋아, 핸드메이드
Chapter 2 마케팅
01 디지털·뉴미디어 마케팅
02 디지털 사이니지·첨단 마케팅 기법의 도입
03 빅데이터 혹은 인공지능
04 거품을 쫙 빼다, 노브랜드·소박한 매장의 붐
05 고객 경험과 고객 관리
Chapter 3 상권
01 모던하고 시크하게 재탄생, 도심 재개발
02 창의적인 인디 점포들의 보물단지, 골목 상권
03 청춘들의 훈풍으로 부활, 재래시장 상권
04 사시사철 북적북적, 지하철역 상가
05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한 트렌드 리더 혹은 벤치마킹 대마왕, 복합 쇼핑몰 상권
06 주 7일 상권의 가치, 주거지 낀 복합 상권
07 투자비 줄이고 경쟁력은 높이다, 지방 상권·고향 회귀
08 조닝 혹은 도미넌트 전략
Chapter 4 외식·푸드
01 외식업 소비자의 세대교체, XYZ세대 르네상스
02 작은 사치 추구와 획일성 탈피, 슈퍼 푸드·로가닉
03 집밥 같은 정성을 담다, 수제 요리가 대세
04 세계 각국의 요리 경연장, 에스닉 푸드
05 커피 전문점의 변신은 무죄
06 바쁜 현대인들을 위한, 패스트 캐주얼
07 한식은 패배하지 않는다
08 매출을 배가 시키는 묘책, 술과 음료
09 새로운 조리법과 식재료의 응용
Part 3 창업, 이제 실전이다
Chapter 1 창업자
01 창업 시장 현황
02 가족 창업자
03 기업가형 창업자
04 동업자
05 오리지널 혹은 인디 창업자·오너 셰프
06 업종 변경 러시, 재창업자
07 여성 창업자
08 청년 창업자
Chapter 2 창업 전략
01 가격, 그리고 가성비
02 공간의 재해석
03 귀농·창농·도시 농업
04 기후 변화, 그리고 기후 마케팅 창업
05 문화
06 사양 사업의 부활
07 4차 산업혁명
08 재창조를 위한 업사이클링
09 업스케일
10 울트라니치
11 흥행의 비결, 작은 점포로 스몰 창업
12 커뮤니티 리더, 창업을 요리하다
13 하이브리드 방식의 도입, 컬래버레이션
Chapter 3 프랜차이즈
01 미투·카피캣 브랜드 양산 시대
02 카테고리 1위, 초우량 브랜드
03 역동적인 프랜차이즈, 프랜차이즈 다이버시티 시대 개막
04 브랜드 팩토리와 다브랜드 전략
05 금융 자금 유입과 인수 합병
06 기업형 가맹점주의 확산, 복수 점포 가맹점 시대
07 지방 브랜드의 역습
08 검증된 점포를 인수할 기회, 리프랜차이징
INDEX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트렌드의 흐름을 탄다는 것은 바로 이런 것을 의미한다. 조그맣게 시작한 사업이라고 해도 그 사업의 성장 한도는 그 사업이 속한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달려 있다. 트렌드는 순풍과 같다. 순풍을 잘 타면 시간이 흐를수록 고객이 늘어나고 사업체도 커진다. 반대로 고객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시장이 좁아진다면 그것은 역풍이다. 오프라인 미디어나 오프라인 소매 판매업은 갈수록 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동일한 노력이라면, 점점 커 가는 시장에서는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수요가 위축되는 시장에서는 제자리걸음을 유지하기도 힘들다.
트렌드는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 및 가치관의 변화와 맥을 같이하며, 소비자의 생활양식은 여러 사회·경제·문화·기술 변화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이러한 트렌드 속에는 고객의 욕구가 있고, 기업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해 줌으로써 성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렌드에 맞는 사업을 한다는 것은 고객이 원하는 사업을 한다는 의미이다.
_ 8~9쪽, 프롤로그 중에서
트렌드에도 수준이 있다. 1~2년 반짝하다가 유행처럼 사라지는 트렌드들은 파급 효과도 미미하다. 반면 전 산업을 관통하는 메가 트렌드는 지속성이나 영향력이 강하다. 세상의 모든 업종이 날실이라면 씨실은 메가 트렌드다. 어떤 업종이든지 메가 트렌드 키워드를 융합하는 순간, 사업 모델과 콘텐츠가 강해지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낼 수 있다. 낡은 업종이 새롭게 재탄생되는 것도 메가 트렌드를 통해서이다.
비즈니스에 지속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메가 트렌드의 주요 키워드는‘내추럴’, ‘스마트’, ‘고객 맞춤 및 개인화’, ‘예술과 문화’, ‘놀이’ 등이다. 일반적인 트렌드가 하위의 개념이라면 메가 트렌드 키워드는 크고 작은 트렌드의 최상위 개념이다. 라이프 스타일 트렌드나 업종별 트렌드에 앞서 메가 트렌드 개념을 먼저 이해하고 다양한 수준의 트렌드를 복합적으로 활용한다면, 당신의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은 천하무적이 될 것이다.
_ 14쪽, Part1 창업 시장의 메가 트렌드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