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0071887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7-09-27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읽기 전에 ┃ 멈추지 않는 생산 가능 인구의 축소
머리말 ┃ 인구는 우리의 미래다
1장 세계 경제, 무엇이 문제인가
세계 경제, 무엇이 문제인가
세계 경제 침체의 본질
대형 은행의 추락과 마이너스 금리
세계 공통의 경제 현상
2장 문제는 인구다
우리나라의 인구 축소 현상
세계 인구의 축소 현상
3장 세계 각국의 인구 문제와 경제: 일본
일본 경제 침체의 원인
일본 경제 침체의 핵심
4장 세계 각국의 인구 문제와 경제: 중국
중국 경제 침체의 원인
중국 경제 침체의 핵심
5장 세계 각국의 인구 문제와 경제: 한국
재앙 수준의 출산율
한국 경제 침체의 원인
한국 경제 침체의 핵심
1. 우리나라의 인구 동향
2. 인구의 총체적 위기
3. 지방 소멸
6장 세계 각국의 인구 문제와 경제: 미국
미국 경제 활황의 원인
미국 경제 활황의 핵심
7장 위기 해결, 지금의 방법으로는 불가능하다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경제 성장은 해답이 될 수 있는가
소비 촉진 정책은 해답이 될 수 있는가
외국인 노동자는 해답이 될 수 있는가
남북 통일은 해답이 될 수 있는가
4차 산업혁명은 해답이 될 수 있는가
8장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정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브릿지 플랜 2020’을 초과 달성하라
2. 고령 인구를 일하게 하라
3. 기업 소득 환류 세제를 강화하라
4. 국가 차원의 다운사이징을 실시하라
사회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백만장자 출산 공헌세’를 도입하라
2. 비혼모를 적극 지원하라
기업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혁명적 재택 근무제를 도입하라
2. 인공지능(A.I.) 기반 CR3R을 시행하라
3. 세계적 틈새시장을 창조하라
개인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개인형 퇴직연금(IRP)을 활용하라
2. 금융 문맹(Financial Illiteracy)을 극복하라
참고 문헌
책속에서
지금 각국의 대처로는 인구가 팽창하여 시장이 팽창하던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있는 인구를 채우는 데 수십 수백 년이 걸릴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 이유를 한마디로 말하자면 달나라나 화성에서 인구를 수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 번 더 강조하지만 ‘인구 축소 = 시장 축소’, 이 공식은 불행히도 분명한 사실이다. 미국을 제외한 OECD 국가들 중 대부분이 인구 축소가 심화되어 축소의 경제가 진행 중인데도, 아직 팽창의 경제 시대에 통용되던 경제학적?정치학적 논리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다 보니 정답을 찾지 못한 채 시간만 계속 흘려보내고 있는 것이다. 2010년대 이후 세계 경제 교역은 줄어들고 있으며 미국을 제외하고는 경제 상황이 좋아졌다는 나라 이야기는 들리지 않는다. 이는 시장이 사라져가기 때문이다. 조금 물러서서 말하자면 시장이 점진적으로 축소되어가기 때문이다ㄴ. _ <1장 세계 경제, 무엇이 문제인가> 중에서
명제 I : 시장 없는 인구(원시 경제)는 있어도, 인구 없는 시장은 없다.
당연한 말이다. 인구가 없는데 시장이 어떻게 있겠는가? 따라서 ‘인구 축소 = 시장 축소’, 나아가 ‘생산 가능 인구 축소 = 소비 시장 축소’라는 불행한 방정식에 도달하게 된다. 생산 가능 인구가 축소된다는 것은 이들이 바로 핵심 소비자들이기 때문에 소비 시장이 축소되기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들이 가족이나 다른 인구들의 주 소득원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축소의 여파는 더 커지는 것이다. 저출산이 시장 축소의 근본 원인이고, 세계가 저출산의 벽을 넘지 못한다면 계속 경기 침체의 길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흔히 전문가들이나 사람들이 저출산 고령화 등을 심각한 문제라고 말하지만, 이 중 대부분은 저출산이 고령화에 우선한다는 점을 이해하지 못한다. 물론 의학 기술의 발달과 충분한 음식 섭취로 인한 수명 연장도 한몫하지만, 고령화의 본질은 저출산에서 시작된다. 왜냐하면 전체 인구에서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로 고령화율을 산출하기 때문에 당연히 저출산이면 고령화율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의 미래나 복지 정책이 거의 대부분 고령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이다. _ <2장 문제는 인구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