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세금
· ISBN : 9791160073942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22-06-2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복잡하고 어려워질수록 더욱 절실한 부동산 절세의 비법
1장 왜 부동산 절세법을 알아야 할까?
부동산은 한국인 재산목록 1순위
부동산 가격의 급등으로 세부담 증가
부동산 시장과 정부에 따라 달라지는 세법
문재인 정권의 부동산 세법 개정
세금 폭탄 피하기
새로운 투자 기회의 파악
정리 문제
2장 이것만은 알고 갑시다
주택 관련 세금 요약
증여세와 상속세
탈세와 절세
국세와 지방세
본세와 부가세
누진세율과 비례세율
실거래가, 시가, 공시가격, 기준시가, 시가표준액
〈한 꼭지 더!〉 - 증여로 인한 취득세 개정(2023년 시행)
1세대 1주택과 다주택자
가족, 세대 및 특수관계자
거주자와 비거주자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
정리 문제
3장 부동산 살 때 세금 아끼는 법
취득세의 기본 구조
취득세의 신고와 납부
취득세의 1세대
〈한 꼭지 더!〉 - 30세 미만 소득 기준
〈한 꼭지 더!〉 - 양도소득세의 동거봉양합가
취득세의 주택
주택을 매매로 취득 시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 중과
취득세가 중과되지 않는 주택
〈한 꼭지 더!〉 - 양도소득세의 공시가격 1억 이하 주택
중과세율 적용 시 주택수 계산
일시적 2주택 중과배제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주택을 증여와 상속 취득 시
〈한 꼭지 더!〉 - 부가세를 포함한 취득세율
취득세 절세 비법
정리 문제
4장 부동산 팔 때 세금 아끼는 법
양도소득세의 기본구조
양도소득세의 신고와 납부
양도소득세의 1세대
양도소득세의 주택
주택의 보유기간 계산 방법
1세대 1주택 비과세 받는 방법
1세대 2주택 비과세 받는 방법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
양도소득세가 중과되지 않는 주택
이월과세와 우회양도
양도소득세 절세 비법
정리 문제
5장 부동산 갖고 있을 때 세금 아끼는 법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기본구조
〈한 꼭지 더!〉 - 재산세의 토지 과세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신고와 납부
종합부동산세의 1세대 1주택자
종합부동산세의 주택수 계산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종합부동산세의 다주택자 중과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절세 비법
정리 문제
6장 전월세 및 주택임대사업자가알아야 할 절세법
주택임대소득의 기본 구조
주택임대소득의 신고와 납부
주택임대소득의 총수입금액
주택임대소득의 필요경비
사업자등록 및 사업장현황 신고
지자체 민간임대주택 등록
주택임대소득과 건강보험료
주택임대사업 절세 비법
정리 문제
7장 조합원입주권과 분양권 보유 시세금 아끼는 법
조합원입주권과 분양권의 개념
조합원입주권과 분양권의 기본구조
취득과 보유 관련 고려 사항
조합원입주권과 분양권의 양도
완공 이후 신축 주택을 양도
주택과 조합원입주권 또는 분양권을 보유한 경우
조합원입주권과 분양권 절세 비법
정리 문제
8장 증여와 상속할 때 세금 아끼는 법
증여세의 기본구조
〈한 꼭지 더!〉 - 취득세의 증여 취소
증여세의 신고와 납부
증여 및 상속재산의 평가
〈한 꼭지 더!〉 - 재산평가심의위원회로 평가기간 연장
증여재산 가산액
증여재산 공제액
채무인수 부담부증여
배우자 등과의 거래 증여추정
저가양수와 고가양도로 인한 증여
부동산의 무상사용으로 인한 증여
부동산의 담보제공으로 인한 증여
재산취득 자금 증여추정
금전 대여로 인한 증여
상속세의 기본구조
상속세의 신고와 납부
〈한 꼭지 더!〉 - 상속재산의 재분할
사전증여재산 가산
추정상속재산 가산
상속공제액 계산
증여세와 상속세 절세 비법
정리 문제
9장 세금 문제가 생겼을 때 대처법
사고 팔기전에 미리 세금 문제를 확인하자
세금 문제 상담을 받는 법
세금을 안 내거나 잘못 낸 경우
세무조사를 받는 경우
조세불복을 진행하는 경우
정리 문제
부록 - ① 한눈에 보는 향후 부동산 세법 개정 방향
부록 - ② 부동산 세금 관련 연간 주요 일정 & 주요 부동산 세금의 신고납부 기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지난 2013년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현재는 2~3배씩 오른 곳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무주택자에겐 매우 힘든 상황이지만, 유주택자의 경우에도 마냥 행복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부동산 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보유세인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가 기존보다 대폭 올랐고, 더군다나 정부의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정책들로 인해 세부담이 더욱 증가하였습니다. 그렇다고 보유 주택을 팔자니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 대상이라도 매매가액이 12억 원을 넘는 경우에는 고가주택으로 분류되어 전액 비과세를 받지 못하여 1주택을 팔고 세금 내고 나면 더 싼 집으로 이사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다주택자인 경우, 보유세가 부담되어 주택을 일부 처분하려고 해도 다주택자에 대한 중과로 양도소득세가 대폭 늘어나 차익의 상당 부분을 세금으로 내야 할 판국이라 팔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유세와 양도소득 세 중과세율을 피해 자녀나 배우자에게 증여를 하려니, 증여세도 만만치 않고 증여로 인한 취득세도 세법의 개정으로 대폭 인상되어 증여도 쉽게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부동산 절세에 대한 지식이 더욱 중요해진 이유입니다. -<1장 왜 부동산 절세법을 알아야 할까?> 중에서
매년 6월 1일에 보유 중인 주택은 재산세가 나옵니다. 재산세는 주택공 시가격에 60%를 곱한 금액에 대해 구간별 누진세율을 적용하는데 세율은 0.1~0.4%로 비교적 낮은 수준입니다. 종합부동산세도 6월 1일을 기준의 소유주에 대해 과세하지만, 개인별로 전국에 보유한 주택의 공시가격을 합산하여 해당 금액이 6억 원을 넘는 경우에만 과세가 됩니다. 만약 1세대 1주택자인 경우에는 공시가격이 11억 원(시가 15억 수준)을 넘어야 종합부동산세 대상이 됩니다. 재산세는 주택을 보유하면 누구나 내야 하지만 종합부동산세는 보유 주택의 공시가격이 미달하면 납부 대상이 아닙니다. - <2장 이것만은 알고 갑시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