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6007484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0-04-27
책 소개
목차
PART1. 제로금리 시대가 온다
제로금리 시대, 아직 가보지 못한 길
금리는 어떻게 움직여 왔을까?
- ‘뮤티드(Muted)’ 이코노미, 금리를 낮춘다
- 금리는 줄곧 하락해왔다
- 금리의 보다 긴 역사
금리가 하는 일
- 금리의 경제적 역할
- 금리와 은행
- 마이너스 금리는 중앙은행의 디마케팅
- 제로금리 시대의 정의
제로금리 시대 TIP: 중앙은행이 하는 일
10년 당겨진 인구절벽
- 통계청의 인구추계는 얼마나 정확할까?
- 인구구조 변화로 성장률 하락은 필연적이다
- 인구구조 선행지표는 일본, 동행지표는 태국
물가는 왜?
- 소비자 물가지수의 탄생
-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
- 헤드라인 물가와 근원물가
- 주택가격과 물가
- 저물가 상황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한국의 금리, 앞으로의 예상
- 앞으로의 상황 전개는?
- 현 수준에서 금리가 더 낮아질까?
제로금리 시대 TIP: 안전통화와 위험통화
PART2. 제로금리를 먼저 경험한 나라들
일본_잃어버린 시간들
- 버블의 형성과 붕괴
- 잃어버린 20년
- 과감해진 통화정책
미국_제로금리 탈출과 회귀
- 경제 대공황기의 교훈
- 금융위기와 부활, 그리고 제로금리로의 회귀
- 미국의 금융위기와 일본의 부동산 버블 붕괴 비교
제로금리 시대 TIP: 트럼프는 재선에 성공할 수 있을까?
유럽_가늠하기 힘든 출구
- 유로화로 묶인 경제
- ECB의 금리정책
이스라엘_한국이 참고하기에 흥미로운 사례
- 디플레이션과 0.1%의 기준금리
- 환율 문제는 없었나
스웨덴_마이너스 금리정책을 포기한 이유는?
제로금리 시대 TIP: 수익률 곡선 역전에 대한 이해
PART3. 제로금리 시대에 우리에게 생기는 일들
우리가 접하는 금리는 얼마나 달라질까?
- 일본의 경우
- 이스라엘의 경우
- 유럽의 경우
- 한국의 상황과 예상
실물화폐에 생기는 일
- 금고를 마련해야 하는 세상이 올까?
- 고액권 지폐 퇴출과 CBDC
양극화되는 부동산
- 저금리와 양극화
- 한국의 주택시장 양극화는 이미 진행 중이다
환율에 미칠 부작용은 없을까?
PART4. 제로금리 시대, 이렇게 투자해라
지켜야 할 원칙들
- 투자에 나서면 안 되는 경우
- 어디서 어떻게 살(Buy) 것인가?
- 장기분할 투자와 이평선 아이디어
- 매번 일정 주식 수/ 일정 금액, 뭐가 나을까?
- ‘언제나 유망한 자산’은 없다
5% 적금 접근법
- 반쪽짜리 고금리
- 위험과 성과
주식투자에 대한 생각
- 저금리와 주식 시장
- 최상위 종목 투자가 유리한 이유
- 주식투자에 있어서의 다양한 개념들
채권투자, 이렇게 하자
- 채권이란 무엇인가?
- 채권은 누가 발행할까?
- 채권의 특징
- 채권투자는 매력적일까?
제로금리 시대 TIP: 주식과 채권은 반대로 움직일까?
증가하는 해외투자, 조심할 점은?
- 증가하는 해외투자
- 해외투자에서 유의할 점은?
- 유망한 해외 투자처는?
- 해외채권형 ETF
- 자산배분형 ETF
부동산, 이건 꼭 알고 가자
- 우리가 일본과 다른 이유
- 20년은 끄떡없다
세금가이드
- 예·적금의 세금
- 채권투자의 세금
- 국내주식
- 해외주식
제로금리 시대 TIP: 채권의 관점으로 본 월급의 가치
부록_5개의 사이트를 활용한 금융, 경제지표 활용팁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금리에 대해서는 각자 여러 가지 생각들이 있을 것이다. 이 책이 주제로 삼고 있는 제로금리 시대에 대해서도 저마다 의견이 다양할 것이다. 금리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 아니냐고 할 수 있을 것이고, 다른 한편에서는 금리가 계속 하락만 할 것이라고 섣부르게 예상해서는 예상치 못한 금리 상승에 크게 당할 수 있다는 우려를 얘기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 동안의 금리 변화를 살펴보면 하락하기도 상승하기도 했다. 필자가 금융권에서 일하면서 인상 깊게 남아있는 한마디는 ‘요즘 세대는 금리상승을 경험해 보지 못했다’는 말이다. 언젠가 해외 언론에서 월스트리트의 채권 트레이더 대다수가 금리상승을 경험해 보지 못했다는 것을 기사로 다룬 적이 있다. 대체로 이런 얘기들이 틀린 말은 아니다.
_<PART1. 제로금리 시대가 온다> 중에서
이런 가정 아래, 국내총생산과 경제성장률을 계산해 보자. 시점별로 각 연령대별로 가정한 1인당 평균 생산량에 연령대별 인구를 곱해서 국내 총생산과 경제성장률을 계산했다. 이렇게 하면, 다음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출생아 수가 증가하면서 경제성장률은 높아지고 출생아 수가 정체되거나 감소하면 경제성장률이 감소하게 된다. 기술의 혁신이 일어나면 상황이 변할 수 있겠지만 혁신의 정도가 상황을 크게 반전시킬 정도가 아니라면 인구구조의 변화가 성장률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_<PART1. 제로금리 시대가 온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