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재 디자인 핸드북

식재 디자인 핸드북

닉 로빈슨 (지은이), 전승훈 (옮긴이)
도서출판조경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식재 디자인 핸드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재 디자인 핸드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조경학
· ISBN : 9791160280098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8-08-30

책 소개

저자는 경관에서 식재가 차지하는 역할에 대한 분석적 이해가 필요하고 식물을 소재로 한 식재 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가시적, 비가시적 측면의 기본적 특성을 분명히 함과 동시에 이를 제대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힘주어 강조하고 있다.

목차

제1부: 기본 원리

1. 디자인의 효용과 가치 25
식재 디자인 – 기능의 표현 26
생태적 과정의 중개로서의 식재 디자인 30
심미적 즐거움을 위한 식재 디자인 32
성공적인 식재 디자인은 무엇인가? 34
서식처 감소와 기후 변화 35

2. 디자인 매체로서의 식물 37
살아 있는 소재로서의 식물 37
환경의 영향 38
식물의 성장과 발달 주기 40
창의적 관리 42
식물에 대한 경관 디자이너의 관점 44
공간 요소로서의 식물 44
식물의 관상적 가치 53
식물 선정 54
디자인 시 고려되는 기능성과 심미성 55
디자인의 자연성과 인위성 57

3. 식물의 공간적 특성 59
인간을 위한 경관에서 식물이 지닌
공간적 기능 59
지표면 식재 (융단 식물) 60
무릎 높이 아래의 관목과 초본식물
(저층 식재) 62
무릎에서 눈높이까지의 식재 (중층 식재) 62
눈높이 이상의 식재 (고관목 식재) 64
교목 식재 69

4. 식물에 의한 공간의 형성 75

공간 체험 75
공간의 용도 77
공간 구성 요소 77
위요 78
역동성 84
초점 91

5. 경관 구성 99
공간의 조직들 101
공간의 위계 111
전이 114

6. 식물의 시각적 속성들 121
식물에 대한 주관적 반응과 객관적 반응 121
시각적 특성 123
형태 123
선과 패턴 138
질감 143
색 146
시각적 에너지 151

7. 시각적 구성 153
시각적 구성의 다섯 가지 원리 153
식재 디자인의 통일성과 다양성 166
식재 아이디어와 주제 166
영감 176

8. 식물 집합체 179
식물 군집 179
두 가지 기본원리- 지피식물과 다양성 183
디자인 모델로서의 전형적인 수관 구조 183
냉온대 낙엽수림 군집 (북서유럽과 북미) 186
온대 상록/아열대 군집 (뉴질랜드) 197
자연 생태에 대한 디자인 해석 200
매트릭스 식재 205

9. 생태적 요인과 원예적 요인 207
식물 소재와 디자인 과정 207
식물 생장 요건들과 환경 내성 210
경쟁과 공존 211
재생과 번식 215
생장형 217
생애주기와 천이 219
식물 지식 220

제2부: 디자인 과정

10. 디자인 방법론 223
착수 단계
이해 단계 - 정보의 수집과 조직화 226
종합 단계
실행 단계 – 설계안의 개선 및 적용 264
디자인 과정을 통한 학습 266

제3부: 실제 적용

11. 대규모 식재 269
서론 269
대규모 식재와 소규모 식재 269
숲과 소림 270숲과 소림의 디자인 272
식재 혼합체 275
교림/고층 수관 소림 275
저층림/저층 소림 294
관목 밀생지 298
소림 덤불지대 301
고층 관목림 302
주연부 302
고층 주연부 305
저층 주연부 305
외곽 그룹 308
덤불지와 잡목림 309
소림과 숲의 띠녹지 309
생울타리와 자연풍 생울타리 311
가로수 식재 318
습지 식재 323

12. 소규모 식재 325
식재 지역의 배치 326
도심지 식재의 다양성 329
소규모 식재의 수관 층위 329
계절 층위 332
구성과 규모 333
생태적 관상용 식재 337
식재 패턴 344식재 간격 347
시작하기 350
도심지와 정원의 생울타리 352
돋운 화단 식재와 컨테이너 식재 356
유인형 교목과 덩굴식물 358
벽, 퍼걸러, 트렐리스 그리고 기타 덩굴식물과 착생식물을 위한 지지체 359
특수한 서식처를 위한 관상용 식재 364

결론 367

저자소개

닉 로빈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거주하는 조경가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영국의 셰필드 대학교와 글로우체스터셔 대학교, 뉴질랜드의 링컨 대학교와 유니텍 대학교 그리고 미국의 캘리포니아 폴리텍 대학교Cal Poly에서 강의를 해오고 있다. 그는 영국과 뉴질랜드의 여러 조경 프로젝트에 공동으로 참여하여 영국의 시빅 트러스트Civic Trust와 뉴질랜드의 도심 환경 개선 부문에서 수상한 경력을 지니고 있다. 그는 영국과 뉴질랜드의 공인 조경가이며 뉴질랜드의 정원디자인협회 공식회원이다.
펼치기
전승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임학과 및 동 대학원에서 수목학 전공으로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신갈나무 투쟁기』(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식재 디자인이 추구하는 세 가지 목적―유용성, 생태성, 심미성―은 서로 떨어져 있는 독립적 요소가 아니다. 우선 경작과 농사 목적으로 토지 공간을 기본적인 질서에 맞추어 나눔으로써 생겨난 경관을 살펴보기로 하자. 이와 같은 경관의 고전적인 사례는 생울타리로 구성된 영국의 교외지역인데, 이는 개방지에 울타리를 치는 위요를 통해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발생했다. 이와 같이 구획된 경관 틀은 단지 가축을 돌보는 장소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하면서 광대한 범위에 걸쳐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처 또한 제공하게 되었다. 그리고 영농과 야생동물을 위한 기능에 덧붙여서 이와 같은 교외 경관은 전 세계 여행객들을 끌어 모으면서 한 국가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핵심 부분으로 기능했고 그 결과 이는 중요한 국가 자산 중 하나가 되었다. 그것은 생산 활동과 자연 그리고 아름다움 사이에 맺어진, 서로가 서로를 해치지 않는 조화를 뜻하는 상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합성은 현대적인 농업 기술과 도시 개발을 추구하는 극심한 사회적 압박 속에서 현재 급속히 자취를 감추고 있는 중이다.


식물 지식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문제들을 보여주는 식재 디자인 사례가 많이 있다. 많은 경우 식물 조합은 디자이너의 의도에 충실할 뿐이고 이러한 디자인은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집약적 관리 없이는 달성되기 어렵다. 어쩌면 선정된 식물들 다수가 습성, 성장률, 성장 요건 등이 서로 달라서 공존할 수 없는 것이 가장 흔한 문제일 수 있다. 균형이 부족한 식재는 솎아내기, 가지치기, 토양 개량 등에 의해 유지될 수 있겠지만 이것은 결코 좋게 보이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보완을 하기 위하여 많은 자원을 낭비하게 될 것이다. 식재 계획의 모든 부분들로부터 최대의 이득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창의적이고 비용 효율이 높은 관리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만약 서로 경쟁하는 식물들을 돌보는 데 관리 시간을 허비하거나 이웃하는 식물들의 성장을 위협하는 식물의 활력을 억제하기 위하여 애써야 한다면 이것은 잘못된 디자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