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60542875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9-06-12
책 소개
목차
머리글 004
제1장 서설 011
01. 우리는 왜 역사를 배우는가? 011
02. 인류는 호모 사피엔스 이래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았다 012
03. 역사는 반복된다 014
제2장 한국의 지리와 기후 017
01. 한국의 지리 017
02. 한국의 기후 019
제3장 한국의 민족과 언어 021
01. 한민족의 이동 경로 022
02. 한민족의 문자 025
제4장 고조선 027
01. 단군신화 027
02. 고조선의 사회와 문화 029
03. 고조선의 멸망과 한민족 초기 국가들의 형성 031
제5장 부여 037
제6장 삼국 시대 039
01. 고구려(高句麗) 039
02. 백제(百濟) 041
03. 가야(伽倻)와 신라(新羅) 044
04. 삼국 시대의 정치와 사회 044
05. 불교의 전래 045
06. 삼국 시대의 예술 047
제7장 삼국 통일 051
01. 통일신라 시대의 정치와 사회 053
02. 통일신라의 불교와 유교 053
제8장 발해의 건국과 멸망 059
제9장 통일신라의 멸망 061
제10장 고려의 후삼국 통일 063
01. 고려의 정치와 사회 066
02. 고려 사회의 다양한 종교 067
03. 요(遼)나라의 침입과 고려의 승리 068
04. 고려의 외교 070
05. 고려의 무인정권 시대 071
06. 몽고의 침입 073
07. 원나라에 항거하는 개혁파의 등장과 개혁의 실패 076
제11장 조선의 건국 081
01. 개혁파의 정권 장악 081
02. 불교에서 유교로 전환 082
03. 조선의 외교관계와 영토 확장 083
04. 세종대왕 085
05. 일본의 조선 침략 086
06. 조선 사회의 사림(士林) 090
07. 후금(後金 : 淸)의 침략 093
08. 조선 사회의 가부장(家父長)적 가족제도 094
09. 조선 사회, 다양한 세계를 보다 095
10. 조선을 개혁하려는 새로운 시도와 좌절 096
11. 민중의 반발과 동학(東學)의 창시 097
12. 조선과 서구 열강과의 분쟁 099
13. 조선의 문호 개방 100
14. 급진적인 개혁의 시도 103
15. 동학농민전쟁(東學農民戰爭) 106
16. 갑오개혁과 을미사변 108
17. 대한제국의 수립 108
제12장 일본제국의 속국이 된 대한제국 111
01. 반일투쟁의 발발(勃發) 112
02. 일제의 식민지가 된 대한제국 113
03. 일제에 대한 투쟁과 3·1 운동 114
04. 제2차 세계대전과 독립운동 117
제13장 대한민국의 수립과 분단 123
01. 냉전(冷戰)의 시작 123
02. 건국의 과정 124
03. 대한민국의 수립 125
04. 한국전쟁의 발발 127
05. 분단된 두 개의 나라 130
제14장 발전하는 한국 133
01. 4·19 혁명과 5·16 군사혁명 133
02.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과 한강의 기적 134
03. 산업화와 민주화의 달성 135
제15장 북한의 경제 139
제16장 변화하는 한반도 143
01. ‘햇볕정책’과 남북정상회담 144
02. 한국의 현재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과제 146
<부록>
한국과 중국의 역사 연대표 150
참고문헌 160
그림 출처 162
주석 165
前言 174
第1章 序言 181
01. 我们为什么要学习历史呢? 181
02. 人类从智人时代到现在本质上没有改变 182
03. 历史的反复交替 184
第2章 韩国的地理和气候 187
01. 韩国的地理 187
02. 韩国的气候 189
第3章 韩国的民族和语言 191
01. 韩民族的迁移路径 192
02. 韩民族的文字 196
第4章 古朝鲜 199
01. 檀君神话 199
02. 古朝鲜的社会和文化 201
03. 古朝鲜的灭亡和初期韩民族国家的形成 203
第5章 扶余 209
第6章 三国时代 213
01. 高句丽 213
02. 百济 215
03. 伽倻和新罗 218
04. 三国时代的政治和社会 219
05. 佛教的传入 220
06. 三国时代的艺术 222
第7章 三国统一 227
01. 统一新罗时代的政治和社会 229
02. 统一新罗时代的佛教和儒教 229
第8章 渤海的建国和灭亡 235
第9章 统一新罗的灭亡 237
第10章 高丽的后三国统一 239
01. 高丽的政治和社会 242
02. 高丽社会中存在的各种宗教 243
03. 辽国的入侵和高丽的胜利 245
04. 高丽的外交 247
05. 高丽的武人掌权时代 248
06. 蒙古的入侵 250
07. 抵抗元朝改革派的登场和改革的失败 253
第11章 朝鲜的建国 259
01. 改革派掌权 259
02. 由佛教转变为儒教 260
03. 朝鲜的外交关系和领土的确定 261
04. 世宗大王 263
05. 日本对朝鲜的侵略 264
06. 朝鲜社会的士林 269
07. 后金 (后金:清) 的侵略 272
08. 朝鲜社会父权制的家族制度 273
09. 朝鲜社会, 看多姿多彩的世界 274
10. 朝鲜改革的新尝试和挫折 275
11. 民众的反抗和东学的创立 277
12. 朝鲜和西方列强之间的冲突 279
13. 朝鲜的门户开放 280
14. 激进地尝试改革 283
15. 东学农民战争 286
16. 甲午改革和乙未事变 288
17. 大韩帝国的建立 289
第12章 成为日本帝国附属国的大韩帝国 291
01. 反日斗争的爆发 292
02. 成为日本帝国主义殖民地的大韩帝国 293
03. 与日本帝国主义的斗争和3.1运动 295
04. 第二次世界大战和独立运动 297
第13章 大韩民国的建立和分裂 305
01. 冷战的开始 305
02. 建国的过程 306
03. 大韩民国的建立 308
04. 韩国战争的爆发 309
05. 分裂成两个国家 314
第14章 发展的韩国 317
01. 4.19革命和5.16军事革命 317
02. 经济开发计划的推进和汉江的奇迹 318
03. 实现工业化和民主化 320
第15章 北朝鲜的经济 323
第16章 变化中的韩半岛 327
01. ‘阳光政策’和南北首脑会谈 328
02. 韩国的现在和为了持续性发展的课题 330
<附录>
韩国和中国的历史年代表 336
参考文献 346
图出處 348
註釋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