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북한사
· ISBN : 9791160681062
· 쪽수 : 573쪽
· 출판일 : 2017-06-30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 론
1절 문제의 제기와 연구목적
2절 기존 연구 검토
3절 연구방법
1. 북한연구의 내·외재적 시각과 국가체제 특수성 고려
2. 신제도주의 이론과 분석의 틀
3. 북한문헌 활용 및 인터뷰
4절 북한의 대미 불신의 개념과 구조
1. ‘북한의 대미 불신’의 개념
2. 북한의 대미 불신의 내면화 구조: 국가안보, 체제안보, 정권안보
5절 연구범위 및 구성
제2장 북한의 대미 불신의 기원
1절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과 반제국주의
1.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과 정통성
2.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의 실제와 신화(神話)
3.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의 통치이념화와 반제반미로의 확장
2절 김일성 독재권력 구축과 반미 역사의식의 형성
1. 김일성의 권력투쟁과 한국전쟁
2. ‘정의의 전쟁’: 한국전쟁의 상흔(trauma)과 반미상징의 고착화
3. 김일성의 권력 독점과 북한의 반미 역사의식 형성
제3장 북한의 대미 불신의 내면화 구조
1절 국가안보 차원
1. 한국전쟁과 북한의 피해의식 확대
2. 미국의 한반도 핵정책과 북한의 인식
2절 북한의 체제안보 차원
1. 주체사상과 자주성
2. 북한의 반외세 저항 민족주의
3절 정권안보 차원
1. 미국의 위협 조작·과장을 통한 정권안보 강화
2. 원로우대 간부정책과 선군정치
제4장 부시행정부 시기 북한의 대미 불신과 제네바합의의 붕괴
1절 부시행정부의 국가·체제·정권안보 차원의 대북 강경책
1. 미 정권교체에 따른 급격한 대북정책 선회
2. 국가안보차원의 대북 강경책: 핵태세검토보고서와 선제공격독트린
3. 체제·정권안보 차원의 대북 강경책
2절 제네바합의 이행을 둘러싼 북한의 대미 불신과 대응
1. 기본합의 위반 책임 전가와 경수로 지원 의사 불신
2. 북한의 우라늄농축 프로그램
3. 조기 핵사찰 vs. 경수로 제공
4. 소결: 북미 상호불신과 제네바 기본합의의 붕괴
제5장 부시행정부 시기 북한의 대미 비난 레토릭 분석
1절 북한의 국가안보 차원의 대미 비난 레토릭
1. 미국의 군사·핵위협 비난
2. 미국의 일본 및 남한과의 ‘군사공모’ 비난
3. 한국전쟁 ‘북침’ 도발과 전쟁기 미군 ‘만행’ 비난
2절 북한의 체제안보 차원의 대미 비난 레토릭
1. 반제반미 민족주의와 자주권 수호를 위한 민족의 단결 촉구
2. 북한의 체제·이념과 제국주의 속성과의 정체성 충돌
3절 북한의 정권안보 차원의 대미 비난 레토릭
1. 체제전복과 정권교체 위협관련 북한의 대미 비난
2. 체제전복을 위한 ‘내정간섭’ 의제 비난
제6장 맺음말
부 록
북한 정치사 주요 연표/ 해방 전후 김일성 연보/
보천보전투의 포고문/ 주요 북핵문제 연표/
부시행정부·김정은 시기 북한의 대미 비난 레토릭 분류
영문요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