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60683004
· 쪽수 : 413쪽
· 출판일 : 2019-08-3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책 소개
Ⅰ부 해방 후 기독교인들의 활동
최매지의 민족운동과 사회참여 | 윤은순
1. 시작하는 말
2. 대한애국부인회 활동과 계몽운동
3. 해방 후 정치활동과 사회사업
4. 맺는 말
김병연의 애국운동과 통일관 | 정교진
1. 시작하는 말
2. 월남 이전, 북한지역에서의 정치활동
3. 월남과 그 후, 정치활동 및 재야운동 주요행보
4. 김병연의 애국·애족운동 방식 및 대북관·통일관
5. 맺는 말
1948년 5·10총선과 이윤영 | 양준석
1. 시작하는 말
2. 해방공간에서 이북인들의 월남 배경
3. 특별선거구 설치를 둘러싼 유엔한국임시위원단과 월남인들의 대립
4. 특별선거구 설치 무산과 월남인의 제헌국회 입성 시도
5. 이윤영의 제헌의원 당선과 국무총리 선임
6. 맺는 말
Ⅱ부 해방 후 한국사회의 정치변화
해방 직후 기독교세력의 정치단체 참여와 활동 | 김권정
1. 시작하는 말
2. 조선건국준비위원회와 한국민주당 활동
3. 미군정 참여와 정당통합운동 전개
4. 기독교계 통합단체 결성과 독립촉성 활동
5. 맺는 말
해방 후 정치단체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인들의 정치활동 | 장금현
1. 시작하는 말
2. 해방 후의 정치상황
3. 기독교인이 조직한 단체 및 정당
4. 기독교인이 참여한 단체 및 정당
5. 맺는 말
해방정국 자유민주주의 국가건설과정에서의 독립전취국민대회 | 이영식
1. 시작하는 말
2. 해방정국과 ‘자유민주주의’
3. 독립전취국민대회의 배경 및 주요요인
4. 독립전취국민대회 개회, 확산 그리고 영향
5. 맺는 말
해방 후 북한의 3·1절과 기독교 | 박명수
1. 시작하는 말
2. 해방 후 소련군의 진주와 기독교 민족주의와의 갈등
3. 기독교의 1946년 3·1절 기념예배와 북한 공산세력
4.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3·1절 기념행사와 김일성 저격사건
5. 3·1절 기념행사를 둘러싼 공산주의자들과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의 인식
6. 맺는 말
미군정기 관료채용과 사회자본으로서의 종교 | 최현종
1. 시작하는 말
2. 이론적 배경: 부르디외와 그라노베터
3. 미 군정의 전반적 상황과 행정 관료 등용
4. 개신교 인사 등용의 결절점(node)으로서의 선교사 2세들의 역할
5. 개신교 인사 등용의 2차 결절점(node)으로서의 1차 등용 관료들의 역할과 영향
6. 맺는 말
1948년 헌법 경제조항 형성의 맥락과 의미 | 최 선
1. 시작하는 말
2. 1948년 헌법의 경제조항을 둘러싼 논란
3. 헌법 제정기의 정치사회적 환경
4. 5·10 총선이 규정한 제헌공간에서의 헌법논의
5. 맺는 말
6·25전쟁 시기 군 관련 민간교회의 역할 | 윤은석
1. 시작하는 말
2. 6·25전쟁 개요와 한국 개신교의 전쟁 이해
3. 민간 교회의 역할: 일선 군인 위문 활동
4. 민간 교회의 역할: 상이군인 위로와 재활
5. 위문활동의 결과
6. 일반 신문과 그 외의 기록들
7.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