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88963243429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3-06-25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추천 및 감수의 말
역자 서문
한국어판 서문: 한국 독자들에게 밝히는 한국 기독교와 나의 특별한 인연
감사의 글
서언: ‘잊힌 전쟁’의 잊힌 영웅들
제1부 한국 기독교와 6·25전쟁 이전의 한미관계
제1장 기독교와 한국 근대 민족주의의 발흥
한국과 동아시아의 인접 국가들
일본에 의한 조선의 문호 개방
개신교 선교사들의 초기 한국 활동
국내의 불만과 외세의 개입
기독교와 한국의 독립투쟁
제2장 북한의 종교적인 요소들
식민지 시대의 가장 암울한 시기(1931~1945)
북한의 해방
해방 후 북한에서 종교 단체와 공산주의가 벌인 정치 경쟁
공산 혁명에 대한 종교계의 저항
제3장 남한의 종교적인 요소들
미군정의 구성에 기여한 조지 Z. 윌리엄스의 역할
미국 선교사와 그들의 미군정 내 영향력
남한 교회들의 상황
이승만과 단독 정부 구성
제4장 종교적 반공주의와 미국의 외교 정책
미국의 승리 1945-1948
핵 공포와 종교 부흥
남한에 대한 미국의 정책
제2부 6·25전쟁 중 한국 기독교와 한미관계
제5장 6·25전쟁의 발발
남한에 대한 비밀 군사 공격 계획
전쟁 직전 남한의 부흥
전쟁의 발발과 초기 대응
제6장 전쟁터의 선교사들과 기독교인들
전장에 남은 선교사들
피난민 문제와 기독교 구호 활동
서울의 함락과 수복
제7장 점령과 철수
북한 점령
선교사들과 하트브레이크 작전
철수 작전을 통한 역설적 승리
제8장 휴전 회담과 전쟁 포로 논란
휴전 협정 테이블로 가는 길
전쟁 포로 문제에 관여하는 기독교
휴전 협정의 최종 결론
결언
참고문헌
책속에서
미션 스쿨은 한국의 청년들에게 민족의식을 기를 수 있는 임시 피난처가 되어주었고, 교회는 민족 구원의 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는 편리한 장소이자 항일 민족주의자들의 밀회 장소로서 역할을 했다.
- (제1장. 기독교와 한국 근대 민족주의의 발흥 中)
한국인들에게 개인과 국가의 구원이라는 약속을 깊이 심어준 장본인은 바로 선교사들이었다. … 또한 고군분투하는 한국이라는 나라에 결정적인 변화를 일으킨 것도 선교사들이 행한 복음주의적 가르침, 교육 사업, 의료 활동 전반이었다.
- (제1장. 기독교와 한국 근대 민족주의의 발흥 中)
미군이 한국에서 철수를 시도할 무렵, 미국 선교사들은 정반대로 한국에 가기를 열망했다. 미국의 모든 민간단체들 중에서 교회는 한국과 가장 강한 유대관계를 지녔고, 한국을 가장 잘 알고, 한국에 대한 관심이 제일 컸다.
- (제4장. 종교적 반공주의와 미국의 외교 정책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