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60684070
· 쪽수 : 415쪽
· 출판일 : 2020-08-31
책 소개
목차
『한국 지역사회와 기독교』를 펴내며
『한국 지역사회와 기독교』에 관하여
❙제1부 민주주의 교육의 전개와 민주국가건설의 구상❙
제2차세계대전 직후 한반도와 동유럽에서 미국의 민주주의 교육 구상 | 양준석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에서 민주주의 교육의 가동
Ⅲ. 동유럽에서 민주주의 교육의 지탱과 소멸
Ⅳ. 맺는말
미군정기 국정 공민교과서의 성격과 집필진의 구성 | 김동선
Ⅰ. 서론
Ⅱ. 미군정기 국정공민교과서 편찬정책과 편수관
Ⅲ. 미군정기 국정공민교과서 편찬위원의 구성과 성격
Ⅳ. 미군정기 국정공민교과서의 목차구성과 내용
Ⅴ. 결론
일제 강점기 미국유학생의 기독교 인식과 학습 | 장경호
Ⅰ. 머리말
Ⅱ. 기독교와 선교 인식
Ⅲ. 신앙생활과 기독교 학습
Ⅳ. 맺음말
❙제2부 기독교 학교의 모색과 제안-성경구락부, 기독교대안학교의 운영과 활동❙
프란시스 킨슬러(Francis Kinsler)와 성경구락부(Bible Club) 운동 | 장금현
Ⅰ. 들어가는 말
Ⅱ. 킨슬러의 생애
Ⅲ. 성경구락부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Ⅳ. 킨슬러와 성경구락부
Ⅴ. 나가는 말: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 기독교의 성경구락부 운동 전개와 학교로의 전환 | 윤은순
Ⅰ. 들어가는 말
Ⅱ. 성경구락부의 설립과 전개
Ⅲ. 성경구락부의 교육내용과 운영방식
Ⅳ. 학교로의 전환 양상
Ⅴ. 나오는 말
웨슬레 구락부의 발전과 특징: 지역사회 교육과 개척 교회 | 윤은석
Ⅰ. 서론
Ⅱ. 웨슬레 구락부의 발전과정과 선교부의 후원
Ⅲ. 웨슬레 구락부와 개척교회
Ⅳ. 웨슬레 구락부와 지역사회 교육
Ⅴ. 웨슬레 구락부의 정규 학교로의 발전
Ⅵ. 결론
한국 기독교 대안학교의 발전과 전망 | 박창훈
Ⅰ. 글을 시작하며
Ⅱ. 대안학교의 발생배경과 그 유형
Ⅲ. 기독교 대안학교의 발생과 유형
Ⅳ. 기독교 대안학교의 전망과 과제
Ⅴ. 글을 마치며
❙제3부 기독교 학교의 발전과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강홍모와 전주 영생학원의 설립과 운영의 역사적 의의 | 이은선
Ⅰ. 들어가는 말
Ⅱ. 해방 이후 1950년대까지 전주의 초중등 교육기관의 발전 과정
Ⅲ. 강홍모의 교육관과 영생학원 설립
Ⅳ. 영생중학교와 영생여자중학교의 설립과 폐교
Ⅴ. 영생고등학교와 영생여자실업학교의 설립과 발전
Ⅵ. 영생대학 설립의 역사적인 의의
Ⅶ. 영생전문대학의 설립
Ⅷ. 영생교회의 설립과 역할
Ⅸ. 나가는 말
해방 이후 개신교 학교와 사회적 영향력: 대전 대성학원을 중심으로 | 윤은석
Ⅰ. 들어가는 말
Ⅱ. 대성학원의 설립 배경: 6·25전쟁과 교육 수요의 증가
Ⅲ. 대성학원의 발전과 지역사회의 교육 분담
Ⅳ. 개신교 신앙을 통한 인성교육
V. 나가는 말
해방 후 경북지역 성경구락부(Bible Club)의 변화: 경북 경안노회를 중심으로 | 장금현
Ⅰ. 들어가는 말
Ⅱ. 해방 후 성경구락부 재건과 변화
Ⅲ. 경북 경안노회와 성경구락부
Ⅳ. 경안노회 지역의 성경구락부 정규학교
Ⅴ. 마무리하는 말
개신교 계통 중등학교 연구: 인천과 서부 경기 지역(부천/시흥/안산)을 중심으로 | 최현종
Ⅰ. 들어가는 말
Ⅱ. 개신교 계통 학교 현황
Ⅲ. 인천의 개신교 계통 중등학교
Ⅳ. 서부 경기 지역(부천/시흥/안산)의 개신교 계통 중등학교
Ⅴ. 나가는 글: 개신교 계통 학교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