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60683240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19-12-15
책 소개
목차
지역민주화운동사 연구총서 발간에 부쳐 / 5
감사 말씀 / 7
서문 / 9
총론 / 19
제1부 1950~1960년대 인천의 민주화운동
제1장 1950년대 인천과 민주화운동의 맹아 / 43
제1절 전후 재건기의 인천과 노동운동 / 43
제2절 인천외국기관노동조합의 출현 / 48
제3절 이승만의 맥아더 동상 건립과 조봉암 처형 / 51
제2장 인천지역의 4월혁명 / 56
제1절 3·15부정선거와 학생시위 / 56
제2절 인천에서의 4월혁명 / 59
제3절 4월혁명의 여파와 인천의 민주화 움직임 / 64
제3장 5·16쿠데타와 1960년대 민주화운동 / 68
제1절 박정희 군사정권의 등장과 인천 / 68
제2절 1960년대 인천의 노동운동 / 73
제3절 인천지역 가톨릭노동청년회와 도시산업선교회 / 77
제4장 1950~1960년대 인천지역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의의 / 81
제2부 1970년대 유신독재 치하의 민주화운동
제1장 유신독재와 인천 / 87
제1절 유신체제의 출현과 인천의 변화상 / 87
제2절 독재정권의 인천 지역신문 강제통폐합 / 93
제2장 인천 종교계의 민주화운동 / 97
제1절 기독교계의 인천지역 도시산업선교 / 97
제2절 가톨릭교회의 사회사목과 김병상 신부 / 100
제3장 유신정권의 압제와 반독재 민주화투쟁 / 105
제1절 대학생들의 유신독재 반대운동 / 105
제2절 유신체제하 노동운동의 성장 / 109
제4장 1970년대 인천지역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의의 / 116
제3부 1980년대 전반기 민주화운동
제1장 ‘민주화의 봄’과 인천 / 121
제1절 박정희 피살과 인천 ‘민주화의 봄’ / 121
제2절 5·17비상계엄 전국 확대에 대한 저항 / 128
제2장 전두환정권 초기의 민주화운동 / 131
제1절 제5공화국 출범과 학생들의 도전 / 131
제2절 유화국면과 민주화운동 진영의 재구축 / 135
제3절 재야전선운동과 노동운동 등 부문운동단체의 등장 / 140
제3장 인천5·3민주항쟁 / 145
제1절 2·12총선과 민주화운동의 가열화 / 145
제2절 변혁이론의 분화와 운동노선의 분열 / 157
제3절 인천5·3민주항쟁과 군부독재의 폭압 / 163
제4장 1980년대 전반 인천지역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의의 / 180
제4부 6월항쟁과 노태우정권하의 민주화운동
제1장 6월항쟁과 인천의 노동자대투쟁 / 185
제1절 1987년 6월항쟁과 13대 대통령선거 / 185
제2절 인천의 7~8월 노동자대투쟁 / 197
제2장 노태우정권 전기 인천의 민주화운동 / 207
제1절 부문운동단체의 정립과 인천지역민족민주운동연합 결성 / 207
제2절 5공 비리 청산투쟁과 공안통치 분쇄투쟁 / 214
제3장 노태우정권 후기 인천의 민주화운동 / 219
제1절 3당 합당과 민자당 분쇄투쟁 / 219
제2절 민주주의민족통일인천연합의 결성과 14대 총선 / 226
제3절 시민운동의 출현과 정착 / 229
제4장 노태우정권 시기 인천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의의 / 235
제5부 부문별 민주화운동
제1장 노동운동 / 241
제1절 1950년대 인천의 노동운동 / 241
제2절 1960년대 인천의 노동운동 / 256
제3절 1970년대 민주노조운동의 태동과 고난 / 274
제4절 1980년대 노동운동의 급진화 / 284
제5절 1987년 노동자대투쟁과 노동정치의 발원 / 296
제6절 1990년대 민주노조운동의 성장과 진통 / 317
제7절 인천 노동운동의 특징과 의의 / 328
제2장 학생운동 / 334
제1절 1970년 이전의 학생운동 / 336
제2절 1970년부터 1975년 긴급조치9호 선포까지 / 341
제3절 1975년부터 1979년까지의 긴급조치9호 시기 / 345
제4절 1980년 광주민주항쟁부터 1986년까지 / 350
제5절 1987년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의 학생운동 / 374
제6절 인천지역 학생운동의 특징과 의의 / 384
제3장 여성운동 / 386
제1절 여성단체의 활동과 진보적 여성운동의 등장 배경 / 386
제2절 인천 여성노동자들의 민주노조운동 / 389
제3절 여성노동운동단체의 등장과 활동 / 402
제4절 인천 진보적 여성운동의 특징과 의의 / 407
제4장 문화운동 / 410
제1절 인천문화운동의 맹아기 / 411
제2절 인천문화운동의 모색기 / 412
제3절 인천문화운동의 도약기-인천민중문화운동연합의 창립 / 418
제4절 인천문화운동의 확산기 / 424
제5절 인천 문화예술운동의 특징과 의의 / 435
제5장 교육운동 / 448
제1절 교육민주화운동의 태동 / 438
제2절 교육민주화운동의 성장 / 442
제3절 교육민주화운동의 발전 / 449
제4절 인천 교육민주화운동의 특징과 의의 / 459
제6장 빈민운동 / 461
제1절 빈민운동의 태동-빈민지역센터 / 461
제2절 빈민운동의 도약 / 473
제3절 빈민운동의 확산(1980년 말~1990년 초) / 478
제4절 인천빈민운동의 특징과 의의 / 484
제7장 종교운동 / 486
제1절 유신 이전 인천지역 종교계의 민주화운동 -JOC와 인천도시산업선교회 / 486
제2절 유신 시기 인천지역 종교계의 민주화운동 / 490
제3절 제5공화국 시기 인천지역 종교계의 민주화운동 / 496
제4절 6월항쟁과 인천지역 종교계의 민주화운동 / 504
제5절 노태우정권 하의 인천지역 종교계의 민주화운동 / 511
제6절 인천지역 종교계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의의 / 515
제8장 재야전선운동 / 519
제1절 재야전선운동의 모색 / 519
제2절 재야전선운동의 등장 -인천지역사회운동연합의 결성과 활동 / 524
제3절 재야전선운동의 재편-인천지역민족민주운동연합의 결성과 민주주의민족통일인천연합으로의 재편 / 538
제4절 시민운동의 등장 / 547
제5절 인천지역 재야전선운동의 특징과 의의 / 549
참고문헌 / 553
찾아보기 /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