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와 고정관념

역사와 고정관념

박재영 (지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000원 -0% 0원
0원
3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사와 고정관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와 고정관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60684636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1-03-08

책 소개

인지사학의 가능성과 전망을 다룬 책. 이론 및 연구 방법론적 측면에서 독일의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시작으로 스테레오타입 인덱스를 활용한 텍스트분석의 사례를 통하여 고정관념도 수치화하여 상호 비교분석이 가능함을 논증하였다.

목차

프롤로그: 역사인식의 작용기제

1부 고정관념에 대한 역사적 접근과 연구방법론

제1장 역사적 스테레오타입연구란 무엇인가
1. 역사와 고정관념의 상관관계
2. 스테레오타입(Stereotype)이란 무엇인가
3.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연구 현황: 독일을 중심으로
4. 역사적 스테레오타입연구 지평의 확대를 위하여

제2장 역사교과서 분석의 새로운 대안
1. 역사교과서의 의미
2. 역사교과서 분석방법
3. 스테레오타입 인덱스(stereotype index)를 활용한 교과서분석
4. 스테레오타입 분석 대상의 확대: 텍스트·교과서 집필자·교사·학생

2부 영화와 역사 그리고 고정관념

제1장 영화 <300>에 나타난 서구중심주의: 왜곡된 역사적 사실의 스테레오타입화(Stereotypisierung)
1. 영화 <300>, 무엇이 문제인가
2. 페르시아 전쟁(Greco-Persian Wars)의 역사적 고찰
3. 영화 <300>에 나타난 역사왜곡
4. 왜곡된 역사적 사실의 스테레오타입화(Stereotypisierung)
5. 영화비평의 지평 확대: 관객의 의식세계 분석

제2장 영화 에 나타난 프랑스 다문화사회의 문제점
1. 16세 시리아 청년 마코메의 죽음
2. 프랑스 이민의 역사와 다문화사회의 도래
3. 영화 에 나타난 이주민의 표상
4. 프랑스 다문화사회의 문제점
5. 다문화사회 통합을 위한 노력

3부 구한말 한국을 바라본 독일인의 시선

제1장 구한말 독일인 의사 분쉬(R. Wunsch)의 조선이미지
1. 고종 황제의 시의(侍醫) 분쉬(R. Wunsch) 박사
2. 고종 황제에 대한 이미지
3. 조선 정부에 대한 이미지
4. 조선 민중에 대한 이미지
5. 제국주의와 오리엔탈리즘 사이에서

제2장 구한말 독일인 신문기자 지그프리트 겐테(G. Gente)의 조선 이미지
1. 겐테의 조선여행기 Korea-Reiseschilderungen
2. 겐테(G. Genthe)는 누구인가?
3. 조선인에 대한 이미지
4. 조선의 자연경관에 대한 이미지
5. 조선의 정세에 대한 인식
6. 겐테가 본 조선: ‘신선한 아침의 나라’

4부 동·서독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 이미지

제1장 냉전시대 서독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이미지(1950-1990)
1. 냉전체제와 분단국가: 동·서독과 남·북한 203
2. 서독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205
3. 서독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남한 이미지 209
4. 서독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북한 이미지 228
5. 한국 관련 서독 역사교과서 서술의 특징 240

제2장 냉전시대 동독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이미지(1950-1989)
1. 냉전 이데올로기와 동독의 역사교과서 245
2. 동독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247
3. 동독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남한 이미지 251
4. 동독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북한 이미지 266
5. 냉전 이데올로기라는 ‘프리즘’ 276

5부 동·서독 외교관의 남·북한에 대한 표상

제1장 냉전시대 주한 독일대사 위르겐 클라이너(Jürgen Kleiner)의 한국 이미지
1. 위르겐 클라이너 “Korea: Auf steinigem Pfad”
2. 한국 최근세의 표상
3. 해방과 분단 그리고 전쟁
4. 이승만에서 신군부까지
5. 한강의 기적
6. 일반화의 오류: 반도국가의 타율적 역사 전개

제2장 냉전시대 주북한 동독대사 한스 마레츠키(H. Maretzki)의 북한 이미지
1. 북한과 동독: 사회주의 형제국
2. 북한의 정치체제
3. 북한의 주민생활
4. 북한의 경제현실
5. 북한사회의 특징
6. 냉전 이데올로기의 극복을 위하여

에필로그: 인지사학의 가능성과 전망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연구분야: 독일현대사, 한독관계사, 역사교육 [학력]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문학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문학석사) 독일 Oldenburg 대학 사학과(철학박사) [약력]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연구전담교수 역임 한국독일사학회 편집이사, 총무이사 역임 대구사학회 편집이사 역임 역사와교육학회 편집위원장 대구대학교 성산교양대학 자유전공학부 교수 [대표 저서] 『세계의 역 사교과서 협의(공저)』, 백산자료원, 2008. 『타자 인식과 상호 소통의 역사(공저)』, 신서원, 2011. 『서양 사람 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생활문화로 보는 서양사(공저)』, 푸른역사, 2012. 『동서양 역사 속의 다문화적 전개양상 1, 2(공저)』, 경진출판, 2012. 『한국 역사 속의 문화적 다양성(공저)』, 경진출판, 2016. 『한국사 속의 다문화(공저)』, 도서출판 선인, 2016. 『역사교육과 국가이미지(공저)』, 도서출판 선인, 2018 외 다수. [대표 논문]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사례연구: 구한말 독일인 의사 분쉬(R. Wunsch)의 조선이미지」, 『서양사론』 제93호, 2007. 「Das Bild Nordkoreas in den ostdeutschen Reiseberichten waehrend des Kalten Krieges」, 『독일언어문학』 37집 2호, 2007. 「역사적 스테레오타입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학보』 198집, 2008. 「韓末 西歐文物의 受容과 獨逸人 - P. G. von Moellendorff·Antoinette Sontag·Emma Kroebel -」, 『독일연구-역사·사회·문화』 제23집, 2012. 「오데르-나이세 국경문제와 독일 역사교과서」, 『중앙사론』 제40집, 2014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