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8801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4-02-29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제4부 조선 여성의 식민지 경험과 기억
12. 의학과 여성의 사회적 지위: 근대 한국 여의사 전문직의 형성을 중심으로(1876~1945) _황영원
1. 머리말
2. 전근대 한국 여성 의료인력의 안과 밖
3. 근대 한국 여의사 양성과 전문직 형성
4. 여의사의 정체성과 사회적 지위
5. 맺음말
13. 일제 말기 관변잡지 家庭の友(가데이노도모)(1936.12~1941.3)와 ‘새로운 부인(婦人)’ _문영주
1. 머리말
2. 관변 농촌가정잡지의 탄생
3. 근대지식의 계몽과 ‘새로운 부인(婦人)-총후부인(銃後婦人)’의 창출
4. ‘가정지우독서회(家庭之友讀書會)’와 전쟁선전선동
5. 맺음말
14. 드라마 ‘파친코’에 재현된 재일조선인(1세대)의 여성상 _김미정
1. 머리말
2. 인고와 희생, 노동의 상징
3. 성역할 규범 속 분투하는 여성
4. 맺음말
15. 근대 중국 사회의 ‘위안부’ 제도 인식과 서사 _황영원
1. 머리말
2. 근대 중국 사회의 일본군 ‘위안부’ 제도 인식
3. 반일 선전의 관점에서 본 ‘위안부’ 서사
4. 맺음말
제5부 식민지 문화에 맞선 지식층의 조선 추구
16. 1920년대 초반 조선 지식인의 ‘조선 미술’ 규정과 서술: 잡지 동명을 중심으로 _류시현
1. 머리말
2. 조선 문화의 가치에 대한 주목
3. 일본인의 조선 연구와의 대결
4. 민족사의 일환인 미술사 서술
5. 맺음말
17. 1930년대 조선 역사과학의 연구방법론 _조형열
1. 머리말
2. 세계사적 보편성론의 방법
3. 아시아적 특수성론의 방법
4. 맺음말
18. 전석담 역사학의 숨은 ‘발원지’와 해방 전후 한국 사회경제사 인식: 도호쿠제국대학 경제학과와 ‘시대구분론’을 중심으로 _주동빈
1. 머리말
2. 전석담 역사학의 숨은 ‘발원지’, 도호쿠제국대학 경제학과
3. 주요 교수들의 방법론
4. 해방 전후 전석담의 통사(通史) 구성
5. 맺음말: 숨은 ‘발원지’와 ‘각주의 정치학’
제6부 반(反)식민지 민족운동 전선의 여러 단면
19. 국제공산당과 국제공산청년회 속의 한인 혁명가: 박진순과 조훈의 활동 비교 _윤상원
1. 머리말
2. 디아스포라 지식인에서 혁명가로: 박진순
3. 망명 독립운동가에서 혁명가로: 조훈
4. 국제공산당 집행위원회 위원 박진순
5. 국제공산청년회 집행위원회 집행위원 조훈
6. 맺음말
20. 신간회 인천지회와 지역유지 _윤효정
1. 머리말
2. 지역 사회 활동가층과 지역유지층의 신간회 인천지회 설립
3. 인천지회의 활동
4. 해소운동과 지역유지층의 민족·사회운동 이탈
5. 맺음말
21. 1920년대 후반 국제반제동맹의 출범과 조선인 민족주의자들의 대응 _박한용
1. 머리말
2. 반제국주의 식민지 억압 반대 국제대회와 ‘조선대표’
3. 국제반제동맹 「총평의원회」와 최린의 활동
4. 국제반제동맹 제2회 대회와 조선대표
5. 맺음말
엮은이/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