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총독부의 재정정책

조선총독부의 재정정책

정태헌, 박우현, 주동빈 (지은이),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000원 -10% 750원 12,750원 >

책 이미지

조선총독부의 재정정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총독부의 재정정책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71610495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3-12-27

책 소개

개발-수탈의 통일적 인식 틀을 기반으로 일제강점기 재정정책의 양상을 조선총독부특별회계와 지방재정을 망라해 정리하였다. 자본주의 확대 과정에서 국가가 행했던 역할의 총체라고 할 수 있는 재정정책에서 식민지의 특수성은 더욱 확연해진다. 본문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발간사 4
편찬사 7
서론 15

제1부 조선왕조~대한제국의 재정개혁 시도와 통감부의 재정 장악

제1장 조선왕조~대한제국의 근대적 재정 개편 시도와 한계
1. 차관 도입 시도와 재정개혁 지체 32
2. 갑오정권 이후 재정의 중앙집중화와 미흡한 재원 확보 37
3. 대한제국 시기 황실 중심의 재정 운영과 외압에 취약한 대응 44

제2장 통감부 시기 식민지 재정 기반의 구축
1. ‘고문정치’하 재정고문부의 화폐 주권 및 국고 장악 52
2. 통감부의 징세기구 장악과 세원 창출 54
3. 대한제국 황실재정 해체, 조선총독부 소유로 귀결 58

제2부 조선총독부특별회계 세출・세입 구조와 식민지적 운영

제3장 조선총독부특별회계의 일본 일반회계로의 제도적 종속
1. 일본 대장성이 장악한 조선총독부특별회계 예산결정권 64
2. 조선총독부 탁지부-재무국의 조직 변천과 탁지부장관-재무국장 76

제4장 조선총독부특별회계 세출 운영의 식민지성
1. 취약한 지배 능력, 빈약한 재정 투자 86
2. 통치비용의 증가와 군사적 성격의 재정 운영 93
3. 조세수입 전액에 이른 임시군사비특별회계 전출금의 약탈적 폭증 107
4. 일본의 중국 침략 전쟁에 따라 폭증한 공채비 지출 111

제5장 식민지자본주의 단계에 따른 조세 구조의 변화
1. 지세 중심 구조(1910~1918) 121
2. 소비세 중심 구조(1919~1933) 137
3. 전시 재정을 뒷받침한 소득세 중심 구조(1934~1945 ) 156

제6장 명목상 최대 세입원, 관업수입의 식민지성
1. 관업수입의 구성 170
2. 전매사업의 재정 기여도를 높인 연초전매제 173
3. 조선철도회계의 식민지적 운영 184

제7장 보충금 및 전년도 잉여금 운영의 식민지성
1. ‘정치적’으로 지속된 보충금 유입과 군사비 유출의 상관관계 206
2. 일본 경제 상황과 연동된 전년도 잉여금 운영의 종속성 216

제8장 조선사업공채 발행, 중국 침략을 위한 인프라 구축
1. 대륙침략용 인프라 구축에 집중된 공채 발행 226
2. 일본 경제에 종속된 공채 사업 선정과 증세로의 귀결 234
3. 병참수송 침략선 철도 부설을 위한 공채 발행의 급증 241
4. 군수용 공채 팽창, 재정 파탄으로의 귀결 249

제3부 부역과 ‘기부’를 동반한 지방재정의 중앙종속성과 식민지적 운영

제9장 지방재정(도・부・읍・면-학교비・학교조합)의 중앙종속성
1. 제도: 자체 재원 부족과 의결권 제한 262
2. 규모: 전체 규모 폭증에 대비되는 부 재정 증대 억제 277
3. 세출: 높은 교육비・토목비, 낮은 공채비 284
4. 세입: 세수입에서 보조금・기채 중심으로 288

제10장 도(道) 재정의 지방재정 중추로의 전환과 자의적 과세 폭증
1. 「지방비법」 제정(1909)과 부과금 세원(稅源) 조사 미완(1909~1919 ) 297
2. 「조선도지방비령」 시행(1920)과 세목의 제한적 다변화(1920~1930 ) 309
3. 도의 법인화 및 도채(道債)의 일시적 폭증(1931~1935 ) 320
4. 도 재정의 수직계통화와 유산층 부담 심화(1936~1945 ) 333

제11장 ‘식민도시’ 부(府) 재정의 차별적 사회개발
1. 일본인 거류민단을 계승한 부의 법인화(1910~1919 ) 353
2. 수도・전기 부영(府營) 논의와 수요자의 계층적 특징(1920~1936 ) 363
3. 전시체제기 대중과세 확대와 군사비 성격의 ‘사회개발’(1937~1945 ) 380

제12장 말단 지방단체 읍면의 사무비 증대와 읍면세・부역 증가
1. 세출: 사무비 중심 경직성과 전시동원에 따른 증액 394
2. 세입: 자체재원 부족과 읍면세 및 부역 증가 401

제13장 조선인 ‘교육열’에 반한 학교재정의 민족별 분리
1. 1910~1920년대 교육재정의 민족별 분리와 교육 격차 432
2. 1930년대 이후 조선인 교육 확대에 반한 국고보조금의 민족별 격차 확대 446

제4부 한국 재정의 식민지 유산과 냉전적 재편

제14장 중앙재정: 군사비 집중과 조세구조의 퇴행
1. 세출: 치안비・군사비 집중의 연속성 460
2. 세입: 담세력 한계에 따른 낮은 조세 비중 472

제15장 지방재정: 운영 파행과 제한된 지방자치
1. 미군정기: 중앙종속성과 대중과세의 연속성 487
2. 정부 수립 후 지방자치 제한과・516군사정변 이후 형해화 496

결론 501

참고문헌 513
찾아보기 536

저자소개

정태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과대학 학장,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한국사연구회 회장,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회장, 남북역사학자협의회 이사장을 역임했고, 현재 역사문제연구소 이사장이다. 저서로는 『일제의 경제정책과 조선사회』(역사비평사, 1996) 『한국의 식민지적 근대 성찰』(선인, 2007), 『문답으로 읽는 20세기 한국경제사』(역사비평사, 2010), 『한반도철도의 정치경제학』(선인, 2017), 『평화를 향한 근대주의 해체: 3・1운동 100주년에 식민지 ‘경제 성장’을 다시 묻다』(동북아역사재단, 2019), 『혁명과 배신의 시대: 격동의 20세기, 한・중・일의 빛과 그림자』(21세기북스,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박우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일제 시기 조선총독부의 재정 운영과 철도 등 인프라 구축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국주의와 자본이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식민지자본주의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교양대학,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강사를 거쳤다. 지은 책으로 《식민통치의 혈관을 놓다》,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2》(공저), 《조선총독부의 재정정책》(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주동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일제 시기 도시정치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 시기 민족운동과 도시정치, 도시 인프라의 삼각관계 분석을 통해 한국 민족주의의 이면을 탐색하고 있다. 육군사관학교와 중앙대학교 강사, 서울시립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쳤다. 지은 책으로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2》(공저), 《쉽게 읽는 서울사: 현대편 1》(공저), 《3·1운동 100년 3》(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1611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