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60807325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1-11-29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머리말_ 주체적.내재적 발전의 측면에서 본 한국 현대 역사학의 역사
내재적 발전이란 말의 무게
‘내재적 발전론’의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들
‘관점과 태도로서 주체적·내재적 발전’ 연구의 태동·형성·분화의 역사 연구하기
1부 ‘관점과 태도로서 주체적·내재적 발전’ 연구의 태동
1장 한국의 문헌고증사학, 관학의 지위에 오르다
학문권력으로서 이병도와 진단학회
1950년대 정체성론이란 지(知)의 식민성을 보장한 동양적 특수성론
미국과의 연계, 더욱 위상이 높아진 학문권력
2장 일본, 식민주의 역사학의 재생 속에 비판적 조선사학이 싹트다
조선학회, 식민주의 역사학의 재결집
전후 버전의 식민주의 역사학을 주조한 스에마쓰 야스카즈
조선사연구회, 조선인을 주체로 내세운 여러 성향의 결집
3장 북한, 가장 먼저 자본주의 맹아·요소를 발견하다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향한 집단적 과제와 정체성론
부르주아 민족의 형성에 주목한 자본주의적 변화
자본주의적 맹아 또는 요소 연구의 본격화
4장 한국에서 새로운 역사학이 싹트다
근대를 시야에 넣은 실학 연구
‘내면적’ 접근을 시도한 사회경제사 연구
2부 근대화론과 ’주체적·내재적 발전’ 연구의 형성
1장 북한과 일본 학계가 각자의 맥락에서 접근하다
북한 학계, 자본주의 요소 찾기
조선사연구회, 치열한 반성적 성찰과 남북한과의 내면적 교류
2장 주체적 ‘근대화’ 열망, 한국사 연구를 더 추동하다
4·19혁명의 경험과 식민주의 역사학의 역사인식 비판
로스토와 라이샤워식 근대화론의 유입과 역사인식
근대화 과정에서 민족 주체성을 말하는 수용자들
근대의 기점 논쟁과 새로운 시선들
3장 1960년대 후반, 한국사 연구에서 내재적 발전 접근의 안착
근대화의 방향, ‘산업화=공업화’인가 주체적 수용인가
일본 재침략의 위기의식과 식민주의 역사인식 비판
식민주의 역사인식 비판에 대한 거부반응과 내적 한계
시대구분 논의, 기계적 시간 관념과 발전사관의 확산
새로운 연구의 사회화로서 한국사연구회, 한국학, 역사교육
4장 일본과 북한 학계에서도 사회구성사적 연구가 안착하다
북한 학계, 주체사상의 등장과 ‘자본주의적 관계’ 연구의 마무리
조선사연구회, 발전단계설에 입각한 연구 성과들
조선사연구회의 분화, 스에마쓰 야스카즈의 거리 두기
3부 경합하는 학술장과 ’주체적·내재적 발전’ 연구의 연속 분화
1장 1970년대 들어 관제적 공공 역사인식이 등장하다
한국사 연구 성과의 응집 281
국사교육강화위원회와 ‘주체적 민족사관’의 등장
임시정부정통론의 체계화와 관제적 공공 역사인식
이선근의 관제적 민족주의 역사학과 국난극복사관
2장 민중을 재인식하고 분단을 발견하다
‘주체적 민족사관’에 대한 비판과 신채호의 민중 인식 발견
한국사연구회의 균열과 민족사의 주체로서 민중의 등장
‘분단시대’의 자각과 ‘비판적 한국학’의 제기
3장 한국사 학계의 거듭된 분화
균열 지점의 재확인, 정치성과 민중
분화의 가속화, 분단시대 국사학의 현재성 논쟁
창비와 문지, 민주적 공공성을 둘러싸고 경합하는 학술장
실천을 강조한 ‘민중적 민족주의’와 세력 배치론의 등장
4장 비판적 계승으로서 ‘민중사학’의 등장
과학으로서 역사학과 실천을 강조한 민중사학의 등장
민중사학의 근현대사 인식
맺음말_ 한국 현대사와 주체적.내재적 발전 연구사의 학술사적 의미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