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용구 연구회고록

김용구 연구회고록

(한국 국제정치학 발전을 위한 60년의 사색)

김용구 (지은이)
연암서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8,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용구 연구회고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용구 연구회고록 (한국 국제정치학 발전을 위한 60년의 사색)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60870848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08-20

목차

머리말

제1장 스승
동주東洲 이용희李用熙
기당箕堂 이한기李漢基
청명靑溟 임창순任昌淳
방은放隱 성낙훈成樂熏
방휘제方暉濟
길영희吉瑛羲
농석濃石 이해영李海英
백사白史 전광용全光鏞

제2장 외교사
중국 외교문서 색인 작업
습작 시절의 글들
한국 관련 일본 미간 외교문서
일본 외교문서 현황, 학계에 알리다
세계외교사

제3장 『세계외교사』(2006) 내용에 관한 새로운 생각들

제4장 국제정치학
호프만과 아롱
장 자크 루소
민족개념
외교개념
동·서양의 충돌과 국제정치학

제5장 국제법
소련 국제법
소련 대외정책사 연구 계획
러시아 국제법
중국 국제법
만국공법

제6장 강연록

제7장 강연 및 연구 노트
일본에서 연구를 위한 연구계획서
국제법의 조선 전래에 관한 문제들
19세기 유럽 공법의 동양 전파자들
외교사란 무엇인가?
『만국공법』 초판본과 『공법신편』에 관하여
국제정치와 오해
‘창조’의 국제정치학-한국외교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위하여
거문도 점령과 유럽 공법
국제질서와 동북아의 미래
한국 인문·사회과학의 개념사 연구, 왜 필요한가?
조선·이질 문명권의 충돌과 열강의 외교문서
용재 백낙준 박사와 대외관계사
유럽의 외교 용어와 동북아 3국
영국의 거문도 점령 재고
1793년 중국 파견 매카트니 사절단

제8장 저술과 논문 목록

해제: 담여 김용구 교수와 한국외교사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용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나왔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를 거쳐 같은 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02년 정년퇴임했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한국국제정치학회장,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학민국학술원 회원이다. 저서로는 『소련국제법이론연구』(1979), 『세계관 충돌과 국제정치학』(1997), 『장 자크 루소와 국제정치학』(2001), 『세계관 충돌과 한국외교사, 1866~1882』(2001), The Five Years Crisis: Korea in the Maelstrom of Western Imperialism(2001), 『외교사란 무엇인가』(2002),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사대질서의 변형과 한국 외교사』(2004), Korea and Japan: The Clash of Worldviews, 1868~1876(2006), 『세계외교사』(1988, 2006), 『만국공법』(2008), 『거문도와 블라디보스토크-19세기 한반도의 파행적 세계화 과정』(2009), 『근대한국외교문서』 1~5(공편, 2009~2012), 『약탈제국주의와 한반도』(2013), 『러시아의 만주·한반도 정책사, 17~19세기』(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 국제정치학 발전을 위한 60년의 사색

김용구 교수의 연구방법론의 특징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일본·미국·영국·러시아·독일·프랑스 등 주요 열강의 외교문서와 미간문서를 종횡으로 구사하는 사료의 방대한 인용과 그러면서도 특정 강대국의 시각에 매몰되지 않는 균형 있고 객관적인 서술에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그가 단순히 역사의 객관적 재구성이라는 실증사학의 대의大義를 추구하는 데 머물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외교문서에 응축된 한 민족의 대외인식의 고유한 정신적 구조를 해명할 것을 주장한 사실이다. -「해제: 담여 김용구 교수와 한국외교사」 중에서


60여 년 동안 한국 국제정치학에 관한 글을 쓰고 국제정치학 발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다면 그것은 모두 스승들의 영향이었다. “셋이 걸어가면 그중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三人行必有我師.”라는 공자의 말씀을 다시 생각한다.


학생들은 내가 1950년대 대학생 시절 교재로 사용했던 200페이지 내외의 간략한 지침서를 아직도 교재로 사용하고 있었다. 자괴감에 큰 충격을 받고 세계외교사 교재 집필을 다짐하게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