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0133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7-05-15
책 소개
목차
서론
1. 왜 통일을 이야기해야 하는가?
2. 왜 여성 담론을 이야기해야 하는가?
3. 왜 한국교회의 현상을 이야기해야 하는가?
1부 통일 한국을 위한 신학적 기반
1장 통일에 대한 기독교적인 관점과 통일신학의 중요성
1. 반공 기독교 사상의 발생 배경
2. 1960년대 분단신학의 발전
3. 1970년대 통일신학의 등장
4. 1980년대 교회의 선교 과제로서의 통일
5. 1990년대 진보와 보수의 협력
2장 한국 통일신학자들의 반응
1. 함석헌의 통일신학
2. 노정선의 통일신학
3. 김용복의 통일신학
4. 통일신학에 대한 여성신학의 비판
2부 통일 한국을 위한 정치적 기반
1장 독일의 통일 사례 연구
1. 통일 후 독일의 가족 정책 및 동독 여성의 사회적 위치
2. 동/서독의 정치/경제/사회적 상황 속에서 여성의 위치
3. 통일이 독일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2장 통일 독일 여성의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와 종교
1. 여성의 일차적인 역할: 어머니
2. 정치 문화 속에서의 여성
3. 독일인의 신념과 삶의 방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의 종교
3장 통일 한국의 여성 정책 방향 제안
1. 한반도 분단이 한국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2. 여성의 관점을 담은 통일 정책의 필요성
3부 통일 한국을 위한 문화적 기반
1장 유교가 한국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1. 유교 문화 속 한국 여성의 이해: 어머니와 아내
2. 한국 여성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유교의 영향
3. 가족 정책 속 여성의 지위 및 사회 활동
2장 유교가 북한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1. 북한의 여성 정책
2. 북한 여성의 경제적 상황
3. 북한 여성의 정치적 지위
4. 출산과 육아, 집안일의 사회화
5. 가정에서 북한 여성의 역할
6. 북한 여성과 유교
3장 유교가 남한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1. 남한 여성의 경제적 지위
2. 남한 여성의 정치적 지위
3. 남한의 가족 정책 및 여성 지원 시스템
4. 가정에서 남한 여성의 위치
4부 여성통일신학 담론
1장 기독교가 한국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1. 긍정적 영향
2. 부정적 영향
3. 한국 기독교 속의 성차별주의
2장 평화와 평등 공동체를 추구하는 여성통일신학적 모델
1. 쉬슬러 피오렌자의 “하나님 나라”
2. 이사시 디아즈의 “공동체로서의 하나님 나라”
3. 민경석의 “타자들의 연대”
3장 이상적인 여성통일신학 공동체의 기초
1. 상한 마음의 치유
2. 용서의 표현
3. 타자들의 연대
4. 사랑과 섬김의 실천
4장 새로운 공동체의 “공동 설립자”로서 여성의 위치
1. 교회의 공동 지도자로서의 여성
2. 민족의 공동 지도자로서의 여성
결론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통일은 단지 정치적ㆍ지리적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두 쪽으로 나뉘어 반목한 결과 상처투성이가 되어버린 한민족이 어떻게 다시 회복되어 하나의 국가 공동체가 될 수 있을지 고려해야 한다. 이 점에서 생명을 잉태하고 돌보는 품성과 경험을 가진 한국 여성들의 마음과 생각은 우리 민족의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산이기에 여성은 새로운 가족으로서의 새로운 민족 건설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신학과 정책에 여성의 관점이 포함된다면 통일 한국은 더욱 조화롭고 정의로운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미래의 한국 사회를 위해 여성 관점의 신학과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_서론
신학의 사명은 그 시대의 고통과 아픔의 문제에 대한 답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남성 신학자들은 그동안 기독교의 전통 신학이 여성의 삶에 부과한 아픔의 역사를 보며 함께 울고, 더 나아가 “반쪽의 신학”에 머물렀던 신학의 “완성”을 위해 여성의 자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여성 담론”이 통일신학에 포함될 때 실질적 평화와 평등이 도래할 수 있다. 진정한 통일이란 단지 정치적ㆍ경제적ㆍ사회적 통합만이 아니라 억압과 착취와 부정의 없이 진정으로 평화로운 사회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평화로운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통일신학은 여성의 목소리와 경험, 여성의 특성과 함께 발전되어야 한다.
_1부 2장 한국 통일신학자들의 반응
나는 그 근본적인 원인이 “종교”라고 본다. 이분법적인 성별 구분에 따르면 여성의 일차적인 책임은 어머니로서의 임무다. 정치, 문화, 가족 정책 기관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고용을 결정하는 요소다. 이때 사람들의 생각과 신념, 삶의 방식 그리고 사회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 문화와 가족 정책 기관을 좌지우지하는 보다 중요한 요소가 바로 “종교”다.
_2부 2장 통일 독일 여성의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와 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