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리게네스 기도론

오리게네스 기도론

오리게네스 (지은이), 이두희 (옮긴이), 장용재 (주해)
새물결플러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오리게네스 기도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오리게네스 기도론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예배/기도/묵상(QT)
· ISBN : 9791161290614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18-04-30

책 소개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주님의 기도를 학문적으로 해설한 최초의 작품. 이 작품은 하나의 필사본으로 존재하며, 1899년에 출판된 쾻샤우의 비평본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서에서는 쾻샤우의 본문을 저본으로 삼고, 최근에 나온 스트리츠키의 “개선된 본문”을 참조하여 최대한 번역에 반영하고 각주로 해설을 달았다.

목차

발간에 즈음하여
역자서문
일러두기

제1부 작품 해제

오리게네스의 기도 이해 ( 장용재)
기도와 섭리 (장용재)

제2부 오리게네스 기도론 원문-번역

도입: I-II

기도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 III-XVII
Euche와 Proseuche 의 개념 정립(III-IV)
기도에 대한 반론 논박: 기도와 섭리(V-VII)
기도의 유익(VIII-XIII)
하늘에 속한 것과 큰 것을 구하는 기도(XIV-XVII)

주님의 기도 주해(XVIII-XXX)
주님의 기도 본문: 마태복음과 누가복음(XVIII)
올바른 기도에 대한 주님의 가르침: 마태복음 6:5-9 주해(XIX-XXI)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XXII-XXIII)
당신의 이름이 거룩하게 하소서(XXIV)
당신의 나라가 오게 하소서(XXV)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당신의 뜻이 이루어지게 하소서(XXVI)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양식을 주소서(XXVII)
우리가 우리에게 빚진 자를 용서하여 준 것 같이 우리의 빚도 용서하여 주소서(XXVIII)
우리를 시험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우리를 악한 자로부터 구하소서(XXIX-XXX)

후기(XXXI-XXXIV)
기도의 마음가짐과 몸의 자세(XXXI.1-3).
기도의 장소(XXXI.4)
신자들의 집회(XXXI.5-7)
기도의 방향(XXXII)
공중 기도의 네 주제: 영광송, 감사, 고백, 간구(XXXIII)
나가는 말(XXXIV)

저자소개

오리게네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니케아 공의회 이전 시대의 가장 위대한 신학자로 손꼽히는 오리게네스는 185년경 알렉산드리아에서 유복한 그리스도교 가정의 일곱 남매 가운데 장남으로 태어났다. 철저히 금욕적인 신앙을 견지하고 성경과 교육에 몰두했으며 막대한 분량의 책을 저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저작으로 『원리론』을 비롯해 『켈수스 반박』, 『육중역본(헥사플라)』 등이 있다. 무엇보다도 『켈수스 반박』은 오리게네스의 만년의 저작 중 하나로서, 그 이전 저작인 『원리론』 같은 작품보다 여러 가지 점에서 더 원숙하고 균형 잡힌 판단이 엿보인다. 초기 그리스도교 전체에서 가장 완벽하고 힘 있는 호교서인 이 작품은 다루는 주제의 풍부함과 복잡함을 고려하면 오리게네스의 사상을 밝히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출전이며, 또한 그의 방대한 저작 중 그리스어 원문이 온전히 보존되어 있는 유일한 책이다.
펼치기
이두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B.A. & M.A.),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미국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Th.M.), 미국 Graduate Theological Union(Ph. D.)에서 공부한 후,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약학과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대한성서공회 번역담당 부총무로 재직하면서 장로회신학대학교 객원교수로 있다. 신약과 서양 고전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저서로는 Luke-Acts and 'Tragic History': Communicating Gospel with the World, WUNT II 346 (Mohr Siebeck, 2013), 역서로는 <앵커바이블 누가복음I>(기독교문서선교회, 2014), <오리게네스의 기도론>(새물결플러스, 2018)이 있다.
펼치기
장용재 (주해)    정보 더보기
서울신학대학교(B.A. & M.A.)를 나와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오리게네스의 기도론-초대교회의 신학과 경건에 관한 연구”(Origenes. Uber das Gebet-Studien zur Theologie und Frommigkeit in der fruhen Kirche)로 신학박사학위(Dr.Theol.)를 받았다. 현재 독일에 체류하며 초대교회 교부들의 신학과 경건에 관해 깊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총서는 지난 몇 년간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을 중심으로 진행된 동?서양 그리스도교 문헌 강독 모임의 자그마한 결실이다. 그리스어, 라틴어, 한자어로 쓰인 문헌을 지속적으로 강독하면서 연구진이 절실히 깨닫게 된 사실은, 교회사 연구가 일차문헌에 의존해야 함에도 우리 글로 번역, 소개된 그리스도교 문헌이 일천하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원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서양을 망라하여 중요한 그리스도교 문헌을 원문 대역본으로 출판하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그리스도교문헌총서 편찬위원회를 구성했다......총서 편찬위원회에서는 크게 두 가지 원칙을 세웠다. 우선 원문 대역본으로 간행하되,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본문을 원문으로 소개하고 이를 저본으로 삼아 충실하게 번역하고 독자를 위한 주해를 덧붙이는 것이다. 다음으로 해당 작품과 관련된 기존 번역 및 연구를 참조하고 재해석하여, 작품의 구조와 중심 사상,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 등을 역자 서문 혹은 주해자의 해제에 담아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는 것이다.
_ <그리스도교문헌총서> 발간사 중에서


오리게네스의 『기도론』 번역은 2010년 8월 1일에 출발한 강독 모임에서 출발했다. 이 모임은 서원모 교수
의 제안으로 장시은 박사의 집에서 시작되었다. 서양 고전 강독 모임은 많이 있는데 그리스도교 고전을 원어로 읽고 공부하는 모임이 필요하다는 사명감 아래 출발하였고, 처음에는 서원모, 이두희, 장시은, 곽문석, 네 사람이 참여하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지금은 하나님 곁에 있는 도진해 선생을 비롯해서 장로회신학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우경윤, 심에스더 학생이 함께 강독에 참여하였다. 모임 장소는 장시은 박사의 집에서 용산의 정선심리치료연구소를 거쳐 새문안교회로 옮겨졌다.
초반부에는 오리게네스의 사상이나 표현이 낯설어 해독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한 단어와 표현을 두고 오랜 시간 토론을 갖고, 더 분명하게 이해할 때까지 잠정적으로 넘어간 부분도 많이 있었다. 하지만 오리게네스의 사상에 친숙해지면서, 비록 그가 주장한 모든 내용에 다 동의할 수는 없을지라도, 그의 깊은 영성과 해박한 지식과 철저한 신학에 점점 더 매료되었다.
_역자 서문 중에서


고대 기독교는 다양한 종류의 기도문을 남겼으며, 현대 전례갱신운동에도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대 교회는 기도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신학적으로 해설하고 풀이하려고 노력했다. 3세기의 대표적인 교부 오리게네스의 『기도론』은 기도를 학문적으로 규명한 최초의 기독교 신학서라고 말할 수 있다. 물론 오리게네스 이전에도 기도에 관하여 저술한 교부들이 있었다. 라틴 교부 중 테르툴리아누스는 『기도론』(De oratione)을 저술하였고, 오리네게스와 동시대인인 키프리아누스는 『주님의 기도』(De dominica oratione)를 남겼다. 또 그리스 교부로 오리게네스 이전에 활동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는 자신이 쓴 『양탄자』(Stromata)의 곳곳에 진정한 기독교인의 기도에 대해서 언급했다. 하지만 오리게네스의 『기도론』은 기도의 용어, 정의, 형태, 필요성, 유익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한편, 주님의 기도에 대한 세밀한 주해를 제시하며, 기도자의 마음가짐, 몸의 자세, 장소, 주제 등에 대한 실천적인 지침까지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도의 이론과 실천을 총망라한, 기독교 공인 이전 시기 기도 신학의 결정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오리게네스의 『기도론』은 3세기 기독교인이 기도를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실천했는지, 즉 당시의 기도의 이론과 실천을 들여다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뿐만 아니라 『기도론』은 많은 언어로 번역되어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의 기도에 관한 외침은 당대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 기독교인의 기도 생활에 관한 이론적이고 실질적인 기반으로 독자들에게 신선한 자극과 영감을 준다.
_제1부 “작품 해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