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88934114307
· 쪽수 : 1344쪽
· 출판일 : 2015-02-23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장흥길 박사: 장로회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한국성서학연구소 소장)/5
추천사 2(정연락 박사: 안양대학교 신약학 교수)/8
서문/11
역자 서문/15
약어표/24
서론
1장. 누가복음 연구 현황/35
1. 누가행전의 목적/43
2. 누가행전과 케리그마/47
3. 누가문헌의 역사적 가치/51
4. 누가의 구원사와 종말론/57
5. 십자가 신학과 영광의 신학/62
6. 누가행전에 나타난 초기 가톨릭주의/65
7. 누가와 바울/70
2장. 누가, 그의 시대 및 독자·79
1. 누가/79
1) 누가의 인종적 배경
2) 바울의 동역자 누가
3) 의사 누가
2. 누가복음의 구성 연대 및 기록 장소/105
3. 누가의 독자/111
3장. 누가복음의 구성/117
1. 누가복음의 자료/120
2. 누가복음의 마가복음에 대한 의존/121
3. 누가의 마가 자료에 대한 전치/129
4.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은 일치하고 마가복음은 다른 경우/131
5. 누가의 마태복음에 대한 의존/132
6. 누가의 “Q” 자료에 대한 의존/135
7. 누가의 중복구/142
8. 누가의 특별 자료에 대한 의존/145
9. 누가복음과 도마복음/149
10. 누가복음과 요한복음(또는 다른 자료)/152
11. 원 누가복음 가설/155
12. 누가복음의 문학적 구성/158
4장. 누가의 언어 및 문체/177
1. 누가의 마가 자료에 대한 활용/177
2. 누가 문체의 영역/180
3. 누가의 특징적 어휘 및 원천/181
4. 누가의 헬라어에 나타난 70인역 중시주의/191
5. 아라마이즘, 헤브라이즘 및 세미티즘/194
1) 누가복음 1:32-35과 아람어 사본 4Q246의 비교
2) 누가의 표현과 쿰란의 아람어 구절과의 평행
3) 아람어 영향을 보여 주는 어휘
4) 아라마이즘
5장. 누가복음 사본/211
6장. 누가복음 개요/219
1. 전체 개요/219
2. 내용 분해/221
7장. 누가신학에 대한 요약/231
1. 누가의 케리그마/235
1) 선포 행위로서의 케리그마
2) 선포된 내용으로서의 케리그마
2. 누가복음의 구조/259
3. 누가의 지리적 관점/261
4. 누가의 역사적 관점/271
1) 그리스도 사건에 대한 역사적 묘사
2) 구원사
5. 누가의 기독론/300
1) 기독론
2) 기독론적 호칭
3) 구원론
6. 성령/351
7. 종말론/357
8. 제자도/362
1) 기독교 케리그마에 대한 반응
2) 그리스도인에게 요구되는 삶
3) 그리스도인의 공동체적인 삶
9. 누가의 예수님에 대한 묘사/393
8장. 참고문헌/407
I. 서문
1장. 데오빌로에게 보내는 진실된 이야기(1:1-4)/423
II. 유아기 내러티브
|제1부| 세례 요한과 예수님 이전 사건들
2장.세례 요한의 출생이 예고됨(1:5-25)/453
3장.예수님의 탄생이 예고됨(1:26-38)/501
4장.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함(1:39-56)/537
|제2부| 탄생 그리고 요한과 예수님의 어린 시절
5장.세례 요한의 출생(1:57-58)/567
6장.세례 요한의 할례 및 등장(1:59-80)/571
7장.예수님의 탄생(2:1-20)/601
8장.예수님의 할례 및 등장(2:21-40)/645
9장.예수님을 성전에서 찾음(2:41-52)/673
III.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을 위한 준비
|제1부| 요한의 경력, 그리고 예수님의 세례, 족보, 시험 받으심
10장.세례 요한(3:1-6)/699
11장.세례 요한의 선포(3:7-18)/723
12장.세례 요한의 투옥(3:19-20)/747
13장.예수님의 세례(3:21-22)/751
14장.예수님의 족보(3:23-38)/765
15장.광야에서의 시험(4:1-13)/793
IV. 예수님의 갈릴리 사역
|제1부| 나사렛과 가버나움 사역의 시작
16장.요약: 사역의 시작(4:14-15)/819
17장.예수님의 나사렛 방문(4:16-30)/825
18장.가버나움 회당에서의 가르침과 치유(4:31-37)/851
19장.시몬의 장모(4:38-39)/863
20장.해질 무렵의 치유 사역(4:40-41)/869
21장.가버나움을 떠남(4:42-44)/873
22장.어부 시몬의 역할: 고기를 잡음(5:1-11)/881
23장.나병 환자를 고치심(5:12-16)/903
|제2부| 바리새인들과의 첫 번째 논쟁
24장.중풍병자를 고치심(5:17-26)/915
25장.레위를 부르심, 잔치(5:27-32)/931
26장.금식에 관한 논쟁, 비유(5:33-39)/941
27장.안식일 논쟁(6:1-11)/955
|제3부| 예수님의 설교
28장.열두 제자를 택하심(6:12-16)/971
29장.무리가 예수님을 좇음(6:17-19)/985
30장.평지 설교(6:20-49)/991
|제4부| 예수님의 사역에 대한 수용
31장.백부장의 하인을 고치심(7:1-10)/1027
32장.나인성 과부의 아들을 살리심(7:11-17)/1039
33장.세례 요한의 질문, 예수님의 대답(7:18-23)/1051
34장.세례 요한에 대한 예수님의 증거(7:24-30)/1063
35장.이 세대를 향한 예수님의 책망(7:31-35)/1075
36장.죄를 지은 여자를 용서하심(7:36-50)/1085
37장.갈릴리의 여자들이 예수님을 따름(8:1-3)/1103
|제5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선포 및 영접
38장.뿌려진 씨에 대한 비유(8:4-8)/1111
39장.예수님이 비유로 말씀하시는 이유(8:9-10)/1121
40장.비유에 대한 설명(8:11-15)/1129
41장.등불 비유(8:16-18)/1139
42장.말씀을 듣고 행하는 자가 예수님의 어머니와 형제들임 (8:19-21)/1147
|제6부| 예수님의 권능에 대한 점진적 계시
43장.광풍을 잔잔케 하심(8:22-25)/1155
44장.거라사의 귀신 들린 자(8:26-39)/1163
45장.혈루증 앓는 여자를 고치심(8:40-48)/1179
46장.야이로의 딸을 살리심(8:49-56)/1189
47장.열두 제자의 전도(9:1-6)/1195
|제7부| 이 사람이 누군가
48장.예수님의 명성에 대한 헤롯의 반응(9:7-9)/1205
49장.사도들이 돌아옴: 오천 명을 먹이심(9:10-17)/1213
50장.베드로의 고백(9:18-21)/1229
51장.수난에 대한 첫 번째 예고(9:22)/1241
52장.예수님을 따름(9:23-27)/1249
53장.예수님의 변화(9:28-36)/1263
|제8부| 계속되는 표적 및 예수님의 말씀
54장.귀신 들린 아이를 고치심(9:37-43a)/1287
55장.수난에 대한 두 번째 예고(9:43b-45)/1297
56장.제자들 간의 경쟁(9:46-48)/1303
57장.귀신을 쫓아내는 외부인(9:49-50)/1309
V. 예루살렘 여정: 예수께서 예루살렘을 향해 가심
|제1부| 누가의 여행 기사
58장.예루살렘을 향한 출발 및 사마리아의 영접(9:51-56)/1317
59장.예수님의 제자가 되려는 세 부류의 사람(9:57-62)/1331
책속에서
성경의 영감에 관한 교회의 교리 문헌이나 이러한 가르침을 설명하려 했던 신학자들의 논쟁 어디에도 영감의 필수적인 외형적 결과가 역사성이라는 주장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성경의 영감은 역사가아닌 것을 역사로 만들거나 역사가 되게 하지 않는다. -56p-
누가의 문학적 묘사에 나타나는 수많은 특징들에는 누가신학의 독특성을 보여 주는 증거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233p-
고난에 관한 이 문제는 앞서 언급한 고난 받는 메시아 개념과 연결된다. 누가가 두 개념을 묶어 자신만의 신학적 술어로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은 이사야의 종에 관한 본문에 대한 암시와 인용 때문임이 분명하다.-330p-
마태와 누가의 족보를 비교함으로써 발생하는 많은 어려움들로 인해 오늘날 대부분의 주석가들은 우리가 그 족보들 안에서 공신력 있는 공식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가족의 계보를 간직하고 있지 못함을 깨달았다. 그렇다면 결국 두 족보는 아마도 그 당시 현존하던 서로 다른 다윗 혈통의 계보에 의존한 복음서 저자들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우리는 이미 족보들이 종종 특별한 목적이나 기능을 위해활용된 사실을 설명했다.-778p-
예수님은 암시적으로 그들과 비교가 되고 있다. 옛 이스라엘이 실패했던 것에서 예수님은 성공을 거두신다. 이 비교는 마태와 누가 모두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강조점은 다르다. 마태에서 그것은 전체 복음서에서 상세하게 다루어진 주제의 한 부분인 반면 누가에서는 이 에피소드 외에서는 별 주목을 받지 못한다. 특별히 여기서 그것은 대조적으로 아들로서의 예수님의 신실하심을 강조한다.-80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