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0843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8-12-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시편 연구 방법
1. 텍스트 배후에 관한 연구
2. 텍스트 내의 연구
3. 텍스트 전의 연구
4. 결론
2장 정경비평 학자들과 견해
1. 조셉 P. 브레넌
2. 브레버드 S. 차일즈
3. 제랄드 H. 윌슨
4. 월터 브루그만
5. 낸시 L. 디클레세-왈포드
6. 클린턴 맥칸
7. 데이비드 M. 하워드
8. 제롬 F. D. 크리취
3장 시편의 전체 구성: 오중 구조
1. 오중 구조(다섯 권)의 형성 과정
2. 다섯 권으로 구성된 시편의 특징
3. 시편 전체 구성을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
4장 시편의 서론(시 1, 2편):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시온의 인간-왕
1. 표제어 부재
2. 어휘의 공유
3. 주제의 유사성: 의인과 악인의 대조
4. 시편 1, 2편의 핵심 메시지
5. 결론
5장 시편 제1권(시 1-41편)의 이야기: 인간-왕과 율법 I
1. 다윗 이야기
2. 시편 제1권의 구성적 특징
3. 제1권의 서론과 결론: 시편 1, 2편과 41편
4. 시편 제1권의 전체 구조
5. 시편 제1권의 첫 번째 단락: 시편 3 -14편
6. 시편 제1권의 두 번째 단락: 시편 1 5-24편
7. 시편 제1권의 세 번째 단락: 시편 2 5-34편
8. 시편 제1권의 네 번째 단락: 시편 3 5-41편
9. 결론
6장 시편 제2권(시 42-72편)의 이야기: 인간-왕과 율법 II
1. 시편 제2권의 구성적 특징
2. 고라는 누구인가?
3. 시편 제2권의 내용 개관
4. 시편 제2권의 시작: 시편 42-43, 44, 45편
5. 시편 제2권의 마지막: 시편 72편(제왕시)
6. 시편 제2권의 가운데: 시편 50편
7. 결론
7장 시편 제3권(시 73-89편)의 이야기: 하나님은 과연 공의로우신가?
1. 시편 제3권의 구성적 특징
2. 시편 제3권의 전체적인 내용
3. 시편 제3권의 구체적인 내용
4. 시편 제3권의 시작: 시편 73, 74편
5. 시편 제3권의 마지막: 시편 88, 89편
6. 시편 제3권의 가운데: 시편 78, 79편
7. 시편 제1-3권의 결론
8장 시편 제4권(시 90-106편)의 이야기: 영원한 피난처요 왕이신 하나님
1. 시편 제4권의 구성적 특징
2. 시편 제4권의 전체 구조
3. 시편 제4권의 시작: 시편 90편
4. 시편 제4권의 마지막: 시편 105, 106편
5. 시편 제4권의 가운데: “여호와 말라크” 시편(시 93-99편)
6. 다윗의 재등장: 시편 101, 103편
7. 결론
9장 시편 제5권(시 107-150편)의 이야기: 위대하신 하나님-왕
1. 시편 제5권의 구성적 특징
3. 시편 제5권의 전체 구조
4. 시편 제5권의 시작: 시편 107편
5. 시편 제5권의 마지막: 시편 145편
6. 시편 제5권의 가운데: 시편 111-118, 119, 120-134편
7. 결론 439
10장 시편의 결론(시 146-150편): 여호와를 찬양하라!
1. 시편 146-150편의 특징과 구조
2. 시편 146-150편의 찬양 주체와 내용
3. 결론
나가는 말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시편에는 인간의 다양한 감정과 정서가 녹아 있고, 인간의 심연 깊숙한 곳을 들여다보게 하는 성찰이 담겨 있다. 탄식 가운데서 절절한 울부짖음이 울려 퍼지고, 구원의 기쁨으로 인한 환희의 찬양이 드려지며, 교훈이 담긴 지혜의 물줄기가 흘러나오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칼뱅이 시편을 가리켜 “영혼의 해부학”이라고 한 말은 매우 적절하다. _들어가는 말
성경에 관한 이러한 해석학적 패러다임의 변화는 시편 연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1970년대 이전에는 시편을 연구할 때 양식비평과 역사비평을 활용해 개별 시편에 집중할 뿐이었다. 하지만 1970, 80년대를 거치면서 시편 전체를 하나의 긴 이야기(텍스트)로 보는 흐름이 생겨났다. 즉 예전에는 시편 1편, 시편 18편, 혹은 시편 90편 등 개별 시편의 구성과 내용을 따로 연구했다면, 1970년대 이후에는 그 개별적인 시편들이 150개의 시로 구성된 한 권의 책 안에서 어떤 신학적인 의미와 기능을 가지는지, 또한 그것이 시편 전체가 전달하는 신학적 메시지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등의 질문에 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된 것이다. _1장. 시편 연구 방법
시편의 핵심 메시지에 관해서 정경비평 학자 모두가 똑같은 입장을 보인 것은 아니지만, 시편이 “한 권의 책”이라는 시각에는 목소리를 같이했다. 이런 합의점이 도출된 배경에는 각자 조금씩 다르더라도 학자들이 공통으로 합의하는 내용이 있으며, 그것은 시편 전체의 구성에 관한 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번 장에서는 시편 전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_3장. 시편의 전체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