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성경 무오성 논쟁

성경 무오성 논쟁

케빈 밴후저, 피터 엔즈, R. 알버트 몰러 주니어, 마이클 F. 버드, 존 R. 프랭키 (지은이), 제임스 메릭 (엮은이), 방정열 (옮긴이)
새물결플러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성경 무오성 논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성경 무오성 논쟁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6409855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6-11-22

책 소개

스펙트럼 시리즈 5권. 성경 무오성에 대한 이해에는 신론과 인간론의 일부 및 성령론, 기독론의 근본적 질문들이 관련된다. 복음주의 계열의 다섯 학자의 의견 개진과 거기에 대한 논평으로 촘촘히 짜인 이 책은 이 논의의 스펙트럼이 얼마나 광활한지를 잘 보여준다.

목차

서론_성경의 무오성에 관한 논쟁

1부_무오성의 관점들과 과거
1장_성경이 말할 때 하나님이 말씀하신다: 성경 무오성의 고전전 교리_알버트 몰러
논평_피터 엔즈, 마이클 버드, 케빈 밴후저, 존 프랭키

2장_어떻게 정의되든지, 무오성은 성경이 행하는 바를 설명하지 않는다_피터 엔즈
논평_알버트 몰러, 마이클 버드, 케빈 밴후저, 존 프랭키

2부_무오성에 대한 국제적인 시각
3장_미국 바깥에서는 무오성이 불필요하다_마이클 버드
논평_알버트 몰러, 피터 엔즈, 케빈 밴후저, 존 프랭키

3부_오늘날 무오성의 갱신과 재구성에 대한 시각들
4장_아우구스티누스적 무오성: 성경 담화의 유기적 통일성 속에서 문학적 의미·축어적 진리·문해에 정통한 해석_케빈 밴후저
논평_알버트 몰러, 피터 엔즈, 마이클 버드, 존 프랭키

5장_무오성 개정하기: 선교적 복수성에 대한 증거로서의 성경_존 프랭키
논평_알버트 몰러, 피터 엔즈, 마이클 버드, 케빈 밴후저

결론_의사소통 채널 열기

저자소개

케빈 밴후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늘날 가장 주목받는 조직신학자이자 교회를 위한 신학자이다.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M. Div.)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신학(PH. D.)을 전공했다.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에든버러 대학교 뉴 칼리지와 휘튼 칼리지 등에서 가르쳤다. 현재는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개혁주의 신학 전통에 토대를 둔 그는 조직신학 방법론, 성경의 권위, 포스트모던 신학, 해석학, 신학과 문화 등의 영역을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목회자-신학자의 소명을 다룬 3부작 중 마지막인 이 책 『들음과 행함』에서 케빈 밴후저는 교회가 기독교적 대항문화를 유지하고 참된 제자를 길러 내기 위해 성경을 신학적으로 읽어야 함을 강조한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이해를 이야기하는 믿음』『교리의 드라마』(부흥과개혁사), 『제일신학』『이 텍스트에 의미가 있는가?』(IVP), 『목회자란 무엇인가』(포이에마) 등이 있다.
펼치기
피터 엔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펜실베이니아주 세인트데이브즈 소재 이스턴 대학교의 에이브람 S. 클레멘스(Abram S. CLemens) 성서학 교수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 풀러 신학교, 프린스턴 신학교 등 몇몇 다른 기관에서도 여러 과목을 가르쳤다. 엔스는 저널들과 백과사전들에 많은 글을 기고했으며, 『성육신의 관점에서 본 성경 영감설』(Inspiration and Incarnation , 기독교문서선교회 역간)과 『아담의 진화』(The Evolution of Adam, 기독교문서선교회 역간)를 저술했다. 인기 있는 그의 블로그를 patheos.com/blogs/peterenns에서 접할 수 있다.
펼치기
R. 알버트 몰러 주니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남침례교 신학대학원 총장이며 기독교신학 교수다. Words from the Fire: Hearing the Voice of God in the Ten Commandments 등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피터 엔즈(Peter E. Enns)는 성서학자로서 미국 이스턴 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Exodus (NIV Application Commentary), Inspiration and Incarnation: Evangelicals and the Problem of the Old Testament 등의 저술이 있다. 마이클 버드(Michael F. Bird)는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 대학교 신학과 조교수다. Jesus and the Origins of the Gentile Mission과 The Saving Righteousness of God: Studies on Paul, Justification, and the New Perspective를 저술했다. 케빈 밴후저(Kevin J. Vanhoozer)는 미국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교 조직신학 교수다. The Drama of Doctrine과 Remythologizing Theology: Divine Action, Passion, and Authorship 등 여러 권의 저술을 발표했다. 존 프랭키(John R. Franke)는 미국 몬태나 주의 옐로스톤 신학교에서 선교신학을 가르치는 교수다. Beyond Foundationalism: Shaping Theology in a Postmodern Context; Manifold Witness: The Plurality of Truth 등을 썼고 Missional Theology: Reforming Christianity for the Sake of the World가 베이커 출판사에서 곧 출간될 예정이다.
펼치기
마이클 F. 버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 리들리대학의 부학장이고 강의도 맡고 있다. 신약성서와 신약신학에 대한 다수의 학술서와 대중서를 집필했다. A Bird-Eye View of Luke and Acts, Evangelical Theology, Jesus among the Gods를 냈고, 『신약성경과 그 세계(The New Testament in Its World)』(비아토르)를 톰 라이트와 공저했다.
펼치기
존 R. 프랭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제임스 메릭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애리조나 주 그랜드캐니언 대학교의 신학 조교수다. 스코틀랜드의 러더포드 하우스 산하 신학연구소 소장으로 일한 바 있다. 스티븐 개릿(Stephen M. Garrett)은 리투아니아 빌니우스에 있는 리투아니아 교육과학대학교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소에서 공공신학과 종교철학을 가르치는 부교수다. God’s Beauty-in-Act: Participating in God’s Suffering Glory의 저자다.
펼치기
방정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 과정을 마쳤다. 그 후 미국 일리노이 주(州) 디어필드(Deerfield, IL)에 소재한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원(TEDS)에서 선지서와 시편 연구로 저명한 벤게메렌(Willem VanGemeren) 교수의 지도하에 구약학 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주로 역사서, 시가서, 소예언서, 구약해석학에 관심을 두고 연구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저자는 현재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겸임교수)과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외래교수)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으며, 행복을전하는교회의 협동목사로 동역하고 있다. 저서로는 『새로운 시편 연구: 실패한 인간-왕에서 신실하신 하나님-왕을 향하여』(새물결플러스, 2018)가 있고, 역서로는 『죽어가는 구약성경』(대서, 2019), 『성경신학적 구약개론: 약속된 복음』(부흥과 개혁사, 2018, 공역), 『토라로서의 시편: 윤리적 차원에서 시편 읽기』(대서, 2017), 『성경 무오성 논쟁』(새물결플러스, 2016), 『발람, 참 예언자인가?』(성서유니온, 2015), 『시편으로의 초대』(대서, 2014, 공역), 『예언자와 그의 메시지』(대서, 2013,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시카고 성경무오선언서(Chicago Statement on Biblical Inerrancy)와 같은 무오성에 관한 핵심 정의들은 무오성이 기독교적 확신에서 자유로이 떠다니는 개별적 개념이 아니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오히려 무오성은 적어도 하나님의 속성(특히 진실하신 속성)에 관한 확신뿐만 아니라 성경의 영감, 신빙성, 권위에 관한 확신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시카고 성경무오선언서는 무오성이 “성경이 말할 때 이는 곧 하나님이 말씀하는 것”이라는 복음주의적 확신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무오성 자체가 하나님의 말씀하심에 관해 반드시 무엇인가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무오성은 성경을 기록한 인간 저자들이 매우 세심했거나 운이 좋았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 게다가 성경의 신적 저작권은 이런 복음주의적 확신이 시사하는 것보다 더 복잡하다. 왜냐하면 신적 발화와 인간 저자들의 발화 사이의 관계가 설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적어도 축자 완전 영감(verbal plenary inspiration)이 왜 복음주의 내에서 무오성과 연관되어왔는지가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무오성이 작용하기 전에 설명되어야 할 복잡한 쟁점들이 놓여 있으므로 다음 단락에서는 무오성이 등장하는 교리적 연결 고리들을 개략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무오성은 성경 교리 내에 위치한다. 무오성은 성경의 본질과 기능에 관한 다양한 주장들 한가운데서 등장하는데 이 주장에는 성경의 충족성, 성경의 권위, 성경의 수위성(首位性)이 포함되어 있다. 이런 주장들은 성경 영감설이 먼저 논의된 후에야 가능하며, 따라서 무오성의 권위는 영감설로부터 주어진다. 물론 성경 교리 자체는 계시 교리의 하위 영역에 위치해 있고, 계시 교리는 성령론, 기독론, 궁극적으로 하나님에 관한 삼위일체 교리에 종속되어 있다. 나아가 우리는 구원, 그리스도, 죄, 인간, 창조 교리들로 구성되는 계시의 수용도 고찰해야 한다. (서론 중에서)

우리는 성경의 진리에 대한 믿음은 고백하지만 그 진리를 행하거나 참고 견디는 것은 꺼리는 “싸구려 무오성”을 경계해야 한다. 무오성 교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아직 반쪽짜리 진리다. 무오성에 대한 나의 정의 속에는 다음과 같은 점이 함축되어 있다. 즉 우리는 성경 저자가 제안하는 명제가 무엇인지(문자적 의미), 그 명제에 어떤 종류의 관심이 요구되는지(문학적 감수성)를 제대로 이해하는 문해에 정통한 해석자가 되어야 할 뿐 아니라, 성경에 있는 각각의 의사전달 행위에 올바르게 반응하는 바른 마음과 심장(성령으로부터 주어진 문해력)을 지닌 독자가 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무오성에 대한 정통한 접근 방식은, 성경해석자들의 공동체가 진리를 이해하고 사랑하며 거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이어야 한다(엡 4장)는 요구를 구성하고 있다. 심오한 성경적?언약적 의미에서 진리를 안다는 것은 언어와 진리의 상응을 지적으로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과 진리를 적극적으로 일치시키고 거기에 반응하는 것도 의미한다. 우리는 열정적으로 진리를 추구하고 증거하고 행하며 진리를 위해 고난 받아야 한다. 성경의 진리를 진실하게 증거하는 해석자들은 적어도 그것에 따르는 어려움을 인내한다. (4장 중에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로서 대화를 통한 타자와의 만남은 특수한 성향, 즉 기독교적 덕목과 그리스도가 타자를 어떻게 대했는지에 대한 고찰로 특징지어지는 성향을 분명하게 보여주어야 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무오성 교리에 대한 대화를 위해 대화의 원칙이 중요해진다. 앞에서 논의한 무오성의 윤리에 관해서는 분명한 함축이 보이는 것 같다. 이 주제에 관한 대화는 묘사와 분석, 객관성과 숙달을 핵심으로 간주하는 나-그것의 관계 안에 있는가? 확실히, 개념에 관한 논쟁과 여러 아이디어는 묘사와 분석과 분명한 추론과 관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문은, 나-너 관계 속에서 타자를 향한 방향 전환, 즉 이해를 받기 전에 먼저 이해하고자 하는 태도로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가 하는 것이다. 이렇게 타자를 향해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인내와 겸손과 자비와 같은 기독교적 덕목의 수행이 필수적이다. 그렇게 할 때 인간의 연약함과 유한성과 타락이 자인되고, 문제를 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들이 열리며, 성령의 권능을 통해 세상에서 작용하고 있는 그리스도의 사랑에 대한 참된 증거가 계시된다. (결론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