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1369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9-12-26
책 소개
목차
서문
약어
서 론 여러 면모를 지닌 유대인 바울
제1장 바울이 이해한 유대교에서의 구원
제2장 바울은 이방인의 사도이자 유대인의 사도인가?
제3장 침공 이야기: 갈라디아서에 대한 묵시적·구속사적 재해석
제4장 안디옥 사건(갈 2:11-14): 바울 신학의 시작
제5장 사도 바울과 로마 제국
참고문헌
저자 색인
성구 및 고대 문헌 색인
책속에서
나의 목표는 어떻게 해서 바울이 철저한 유대인이면서도 유대인 동포들 사이에서 악명 높은 문제 인물이 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나의 대답은 간단히 말해서 바울은 특이한 유대인(an anomalous Jew)으로서 유대교의 일반적인 신념과 논란이 될 만한 신념을 모두 갖고 있던 기이한 인물이었고, 이로 인해 그를 둘러싼 사회종교적 배경과 충돌을 빚었다는 것이다.
_ “서문” 중에서
나는 “특이한 유대인”의 관점이 가장 유용하다고 본다. 다만 나는 바클레이와는 달리 바울이 지닌 특이성의 본질은 디아스포라 헬레니즘 내에서 자신의 방식을 실현하고자 하는 그의 시도와 관련된 역설(逆說)이 아니라, 보다 적절하게는 그의 메시아적 종말론, 즉 하나님을 예배하는 유대 그리스도인과 이방인 그리스도인으로 이루어진 연합체를 위해 사회적 공간을 창출하고자 하는 그의 시도에서 나온 부수적인 사회적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요컨대, 하나님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열어놓으셨고, 이는 새 창조의 시작과 이스라엘의 회복을 의미하는데, 거기서 바울이 세운 교회들이 그 선봉에 서 있었다.
_ “서론: 여러 면모들 지닌 유대인 바울” 중에서
하지만 유대교가 이방인을 구원에서 배제한 것만이 바울이 유대교에 가한 비판의 전부라고 볼 수는 없다. 물론 바울은 이방인이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는 유대교로 개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자민족중심주의적 토라 해석을 실제로 거부하기도 했고(갈 2:11-15; 롬 3:21-31), 자신의 이방인 선교를 유대인들이 방해한 사실에 대해서도 언급한 적이 있다(살전 2:15). 학자들은 바울의 보편주의 대 유대교의 특수주의라는 개념을 가볍게 취급하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보다 적절하게 말하자면 바울은 유대인과 이방인 간의 사회종교적 연대가 민족적인 것이 아닌 새롭게 창안해낸 것 이어야 한다고 믿었다. 복음으로 말미암아 유대교의 세계관을 재해석할 수 있는 내러티브가 제공되었고, 이방인을 이방인으로서 유대교 회중 안에 포함시키는 등 연속적이면서도 새로운 내러티브가 가능하게 되었다.
_ 제1장 “바울이 이해한 유대교에서의 구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