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651309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7-10-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서문
서론
1장 모세율법의 십일조
2장 아브라함의 십일조
3장 말라기의 십일조
4장 십일조의 분량
5장 책망받은 바리새인의 십일조
6장 모세율법의 십일조와 신약교회 헌금의 불연속성
7장 모세율법의 십일조와 신약교회 헌금의 연속성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의 소산물을 여호와 하나님께 조공으로 바침으로써, 그 가나안 땅과 모든 소산물이 여호와 하나님께 절대적으로 속한 것임을 나타냈습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것이 ‘곡물의 십일조’(레 27:30)든, ‘가축의 십일조’(레 27:32)든, 십일조의 품목은 철저히 ‘땅의 소산’으로 국한되었습니다. 유대교는 팔레스타인 밖에 사는 유대인들에게는 십일조의 의무가 없는 것으로 여겼는데, 그 이유는 이처럼 십일조가 ‘가나안 땅’과 깊이 관련되었기 때문입니다. _ “모세율법의 십일조”
아브라함이 고대근동의 관습을 따라서 십일조를 드린 것으로 볼 때, 아브라함의 십일조를 ‘신약시대에 그리스도인들이 본받아야 할 십일조의 전형’으로 가르쳐서는 안 됩니다. 그런데도 만약 아브라함의 십일조를 ‘그리스도인을 위한 모델’로 삼고자 한다면, 그것은 머레이(Murray)의 제안처럼, 단지 “비통상적인 소득에서 드린 임시적인 십일조”일 뿐입니다. 또는 J. D. 퀴글의 제안처럼, 아브라함이 그의 정규적인 소득이 아닌 보너스(전쟁의 전리품)에서 십일조를 드렸으므로, 만약 아브라함의 십일조를 그리스도인의 모델로 삼는다면 우리는 보너스 소득을 얻었을 때 십일조를 드려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브라함의 십일조를 신약시대에 우리 그리스도인이 따라야 할 모범으로 삼을 수 없습니다. _ “아브라함의 십일조”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사람이 어찌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하겠느냐?”(8절)라는 말씀에서 하나님께서 책망하신 것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이스라엘의 언약적 불신실성’을 책망하신 것이었습니다. ‘땅’과 ‘성전’에 대한 그들의 언약적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을 책망하신 것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말라기의 요구는 단지 ‘십일조를 다시 드려라’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언약적 불신실성을 돌이키라’라는 것이었습니다. _ “말라기의 십일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