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교회개척/성장론
· ISBN : 9791161662190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3-09-19
책 소개
목차
발간사 … 6
서문 … 8
추천사 … 11
데이터 자료 해석 방법 … 13
I. 문제의식
문제의식: “어떻게 개척 및 소형교회들이 사역해나가야 할 것인가?” … 18
II. 한국장로교 역사 속 미조직교회·개척교회 그리고 목회자들의 삶
1. 1. 한국장로교 역사 속 미조직교회와 개척교회: “고신총회를 중심으로”… 24
2. 개척교회 및 소형교회 목회자의 삶 … 29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 52
2. 설문 내용 … 54
3. 분석 방법 … 55
IV. 데이터 분석하기
1. 교회 개척 준비 사항 … 60
2. 개척재정 규모와 조달 방법 … 64
3. 교회의 특성 … 67
4. 목회 사역 … 83
5. 개척교회를 위한 지원 요구도 … 90
6. 개척교회가 성장하지 않는 요인 … 148
7. 개척교회 목회자들의 ‘일상생활, 목회활동, 경건생활 전반의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분석 … 151
V. 정책적 시사점
정책적 시사점: 개척교회를 위한 정책 방향 … 154
부록 1. … 163
부록 2. … 165
개척교회
저자소개
책속에서
먼저 개척교회지원 전략 구성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현장맞춤형’ 기초 자료 도출의 측면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데이터와 자료들은 개척교회 목회자에 대한 전방위적인 지원 방안 및 전략 구성을 위한 핵심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특별히 개척교회 현장 목회자들의 요구도 분석은 개척교회 목회자들의 시각과 인식에 기반한 개척교회 지원 모델 구성의 가능성을 열어
주어 고도화된 정책 및 전략 수립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개척교회 및 개척교회 사역자들에 대한 관심 증대와 연구기반 확충이다. 본서의 문제의식에서도 다루겠지만 그동안 학계와 교계의 관심은 중대형교회의 사역과 활동에 집중되고 있었으며, 상당수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소형교회와 해당 교회의 사역자들에 대한 관심은 미미한 것이 사실이 었다. 이번 작업은 포스트코로나 상황 속에서 개척교회와 목회자들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확인해줌으로써 관련 주제에 대한 관심과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별히 이번 작업은 개척교회와 관련된 총회기관-연구기관-사역기관 등 다양한 기관들이 협력하여 추진함으로써 향후 관련 분야의 담론 형성과 후속 작업을 기대케 하고 있다.
교회 개척 사역 중 가장 힘든 점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 개척 중 가장 힘든 점 1순위에는 생활고 및 경제적 요건(생계유지)가 43.6%로 가장 놓았고, 다음으로 교회 성장에 대한 부담감(18.0%), 목회자 자신의 능력 부족(9.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회권역별로 살펴보면, 모든 지역에서 생활고 및 경제적 요건(생계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교회 성장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노회 행정구역별로 살펴보면, 모든 지역에서 생활고 및 경제적 요건(생계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도시를 제외하고 그다음으로 교회 성장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대도시는 그다음으로 목회자 자신의 능력 부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회 개척 중 가장 힘든 점 2순위에는 교회 성장에 대한 부담감이 26.7%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생활고 및 경제적 요건(생계유지)(19.9%), 목회자 자신의 능력 부족(1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회권역별로 살펴보면, 동남권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교회 성장에 대한 부담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남권은 생활고 및 경제적 요건(생계유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회 행정구역별로 살펴보면, 대도시와 농어촌은 동남권은 생활고 및 경제적 요건(생계유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0만 이상 중소도시와 50만 미만 중소도시는 교회 성장에 대한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