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지방자치
· ISBN : 9791161727110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8-03-31
책 소개
목차
1 참여와 거버넌스
국민주권을 강화시키는 참여와 거버넌스_14
1 주민참여예산제의 실질적 운영╻서울 은평구, 시흥시, 인천 동구, 서울 성북구_19
2 주민참여체계도와 주민결정 행정 시스템╻울산 북구, 광주 남구_23
3 주민회의 정례화와 동장 추천제, 공익활동지원센터╻광주 광산구_25
4 주민참여의 일상화, 협치 시스템 구축╻서울 도봉구·서대문구_28
5 주민이 기획하고 집행하는 동 특성화사업, 마을총회╻서울 금천구_30
6 주민자치회, 마을만들기의 새로운 활력을 만들다╻서울 은평구_32
7 지역문제 해결은 주민 스스로, ‘통두레 운동’╻인천 남구_33
8 시민참여를 통한 도시계획 수립╻수원시_34
9 주민 스스로 만드는 읍·면 장기발전계획╻완주군, 양평군, 시흥시_37
10 전문가와 주민참여로 공공갈등 조정╻인천 부평구, 서울시, 성남시, 광주 남구, 전주시, 서울 금천구_40
11 시민이 갈등을 조정하는 시민배심원제╻수원시, 부산 해운대구_44
12 주민자치와 참여를 종합 지원하는 서울혁신파크╻서울시_47
13 복지소비자를 복지공동체의 주체로 바꾼 더불어락(樂)╻광주 광산구_49
14 민·관 협치를 통한 마을공동체 공간 탄생 ‘은행나루’╻서울 도봉구_51
15 입주민과 경비원이 상생하는 아파트 동행(同幸) 프로젝트╻서울 성북구_52
16 일상의 행복감을 주는 공공정책 추진을 위한 ‘행복드림프로젝트’╻서울 종로구_53
17 주민참여로 만든 ‘구산동도서관마을’╻서울 은평구_55
18 아이들이 만든 ‘기적의 놀이터’╻순천시_56
2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자원과 혁신으로 일구는 지역경제 활성화_60
1 포도를 활용한 6차 산업 육성과 관광 활성화╻영동군_65
2 차별화 전략으로 승부한 여성 축구 리그전과 대추축제╻보은군_67
3 수요자 필요에 부응한 농업인 월급제╻화성시_69
4 협업으로 명품 수제화를 만들다╻서울 성동구_71
5 대한민국 제1호 국가정원을 탄생시킨 순천만 습지╻순천시_72
6 한옥마을과 남부시장이 만난 야시장╻전주시_74
7 나무와 숲의 재탄생╻서울 강서구·노원구, 양평군_75
8 폐광을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광명시_79
9 발 빠른 대응도 홍보전략, 포켓몬고 잡기╻속초시_80
10 해조류의 메카에서 싱싱 광어 택배까지╻완도군_82
3 사회적 경제
제도적 확산 10년! 함께 만들어가야 할 새로운 10년!_88
1 농촌형 커뮤니티비즈니스 모델╻완주군_95
2 영세 중소농을 위한 농업회생전략, 로컬푸드╻완주군, 순천시_97
3 주민소통과 나눔으로 도시공동체를 살려가는 도시농업╻서울 강동구·도봉구·종로구·관악구·양천구_99
4 공공 서비스를 사회적 경제 영역으로╻성남시_104
5 중간지원조직의 설립과 통합╻서울 성북구·강동구, 수원시, 전주시_105
6 사회적 경제 제품 우선 구매, 사회책임조달제도 도입╻서울 성북구·서대문구, 인천 남구_108
4 도시재생·마을만들기
지속가능한 도시를 향한 전환, 도시재생·마을만들기_112
1 마을만들기 메카의 첫 걸음 ‘그린빌리지’╻진안군_118
2 마을 아카데미를 통한 공동체 회복╻서울 금천구·성북구_120
3 두꺼비하우징과 산새마을 프로젝트╻서울 은평구_122
4 지역공간의 재구성으로 사회혁신 선도╻서울 성동구, 대전 유성구, 울산 북구_124
5 역사·문화유산을 되살리는 도시재생╻대구 중구, 서울 도봉구·종로구, 광주 남구_127
6 애물단지를 주민쉼터로 바꾼 아뜨렛길╻인천 동구_132
7 철거 대신 보행길로 재탄생한 서울로 7017╻서울시_134
8 도시시설물 비우기╻서울 종로구_136
9 고시촌 단편영화제와 셰어어스╻서울 관악구_137
10 젠트리피케이션 극복을 위한 상생협약╻서울 성동구_139
11 문화예술 도시재생 테스트베드╻전주시_142
12 “순천부읍성 성돌을 찾습니다”╻순천시_143
5 사회복지
자치분권이 가져온 지방정부 복지정책의 혁신과 도전_148
1 복지허브동(洞),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서울 서대문구·노원구, 서울시_154
2 수요자 맞춤형 찾아가는 복지╻고흥군, 속초시, 서울 양천구·서대문구, 광주 서구_158
3 주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공공의료원, 건강체력센터╻성남시, 광주 서구_163
4 복지와 나눔을 실천하는 공동체, 지역재단╻광주 광산구, 성남시, 인천 남구_165
5 시민의 발, 버스 완전공영제와 마중버스 마중택시╻신안군, 아산시, 완주군_167
6 어린이나라, 어린이천국╻서울 구로구·동작구·양천구_169
7 어르신 공동주거 공동체╻서울 금천구, 당진시, 순천시_172
8 저소득층 복지 모델 : ‘엄마의 밥상’, ‘주택화재보험’╻전주시, 보은군_174
6 교육혁신·평생교육
삶의 의미를 깨우쳐가는 교육혁신, 평생교육_178
1 혁신교육과 평생교육의 융합╻오산시, 화성시_183
2 드림학교와 등대학교╻서울 금천구_187
3 ‘마을 속 즐거운 학교’╻서울 은평구_190
4 방과후학교의 다양한 진화╻아산시, 서울 도봉구_191
5 마을-학교-지역사회를 잇는 교육혁신과 ‘엉뚱’ 프로젝트╻광주 광산구_193
6 학교 밖 교육: 175교육지원센터, 싱글벙글교육센터╻서울 관악구_196
7 지역자원을 활용한 꿈나무과학멘토╻대전 유성구_197
8 도서관의 혁신╻서울 관악구, 대전 유성구, 시흥시_198
9 누구나 가르치고 배우는 학교, 평생학습 마을╻수원시, 인천 남구_201
10 지방자치 실현을 위한 가치 모내기 ‘시흥아카데미’╻시흥시_205
7 문화예술·축제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문화예술·축제_208
1 교육과 결합한 문화예술도시로 거듭나기╻서울 금천구, 부천시_215
2 시민과 함께하는 평화문화도시 조성╻김포시_217
3 국악·전통문화를 지역발전의 동력으로╻영동군_220
4 장례문화의 혁신╻남해군_221
5 잊지 않겠습니다!(세월호의 아픔을 기록하고 기억하다)╻안산시_222
6 특화자원 구절초를 활용한 명품축제╻정읍시_223
7 낭만 밤바다에 불 밝히는 버스킹 축제╻여수시_225
8 문화예술종합 축제, 스스로 축제, 청년축제학교╻서울 서대문구·성북구, 시흥시_226
8 지속가능발전
현 세대와 미래 세대의 공존을 향한 패러다임의 전환, 지속가능발전_230
1 지속가능발전 비전과 이행 체계╻인천 부평구, 충청남도_237
2 개발이 아닌 생태도시로╻순천시, 시흥시_239
3 탄소제로, 로컬에너지 모델╻서울 노원구, 완주군_241
4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을 귀농귀촌 1번지로╻고창군_245
5 숲의 도시╻안산시_247
6 생태섬 만들기와 슬로시티╻신안군_249
7 미세먼지·석탄화력발전 NO!, 친환경에너지 전환 YES!╻당진시_250
8 지역자원을 활용한 고흥만 솔라단지╻고흥군_252
9 주민참여로 도심 실개천 살리기╻부천시, 아산시_254
10 착한 도시, 착한 교통체계 실험╻수원시_257
9 인권과 안전
지역에서 실현하는 보편적·세계적 개념의 인권_260
1 인권의 지역화: 인권도시헌장, 인권 조례╻서울시, 서울 성북구, 광주시, 울산 동구_266
2 생활임금제 도입과 비정규직 노동자 인권 증진╻서울시, 서울 성북구, 광주 광산구, 인천 남동구, 울산 동구_269
3 아동·여성 친화도시╻서울 성북구·도봉구·강동구·구로구, 인천 부평구, 성남시_273
4 어린이 안전 및 안전·재난교육╻서울 구로구, 오산시, 속초시_279
5 범죄예방과 재난대책을 통한 안전도시 만들기╻인천 부평구, 광주 광산구, 성남시, 서울 동대문구·노원구_280
6 자살예방 및 위기대응 사업╻서울 노원구·성북구·구로구_284
10 청(소)년
지방정부가 청년과 함께 만드는 N개의 삶_290
1 청년배당, 청년수당╻성남시, 서울시_296
2 청년기본조례, 청년 주체의 발굴╻서울시, 시흥시, 수원시, 당진시_300
3 전통시장 활성화에 나선 청년들╻전주시, 인천 부평구·남구, 서울 서대문구, 광주 광산구_303
4 청년 주거와 활동공간 지원 정책╻서울시, 서울 성북구, 순천시, 완주군_307
5 청소년과 함께 만들어가는 청년정책╻오산시, 화성시_310
6 지역특화 청년 일자리 정책╻광주시, 안산시_312
11 행정혁신
인사와 감사제도의 개혁으로 일구는 행정혁신_316
1 혁신적 인사 평가 시스템 도입╻서울 도봉구, 대전 유성구_320
2 희망부서신청제도╻고양시_322
3 재정 위기 극복과 합리적인 중기재정계획 수립╻성남시, 화성시, 수원시, 시흥시_324
4 재정 진단과 주민세 인상╻정읍시_327
5 청렴 행정과 감사제도 혁신╻서울 성동구 및 동북4구(성북구·강북구·도봉구·노원구)_329
6 사관제도 운영╻수원시, 성남시, 서울시_331
7 지방옴부즈만 제도 활성화와 주민권익 신장╻서울 구로구, 시흥시, 화성시_333
8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민 맞춤형 행정╻광주 광산구, 서울시_335
9 기술혁신과 행정의 만남╻서울 강서구·구로구·은평구·양천구, 광주 서구_338
10 인근 시·군·구 간의 통합행정을 통한 상생╻영동군·금산군·무주군, 서울 동북4구(성북구·도봉구·노원구·강북구), 정읍시·고창군·부안군, 아산시·당진시·홍성군_341
11 나눔과 공유로 만들어가는 공동체╻서울 은평구, 인천 남구_344
12 발상의 전환으로 풀어가는 환경문제╻오산시, 제천시_347
13 지방자치헌법 기능의 기본조례 제정╻서울 종로구_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