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행정법
· ISBN : 9791161800301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18-02-05
책 소개
목차
제1편 행정법관계
제1장 행정 3
제1절? 개 설 3
Ⅰ. 행정의 관념 3
Ⅱ. 형식적 의미의 행정 3
Ⅲ. 실질적 의미의 행정 4
제2절? 행정의 종류와 분류 6
Ⅰ. 주체에 의한 분류 6
Ⅱ. 임무 또는 목적에 의한 분류 6
Ⅲ. 법적 효과에 의한 분류 7
Ⅳ. 법적 기속에 따른 분류 8
제2장 행정법 9
제1절? 행정법의 성립과 유형 9
Ⅰ. 행정법의 성립의 전제 9
Ⅱ. 행정법의 발전과 행정제도 10
제2절? 행정법의 의의 10
Ⅰ. 개설 10
Ⅱ. 행정법의 개념 10
제3절? 행정법의 특수성 11
Ⅰ. 규정 내용상의 특수성 11
Ⅱ. 규정 형식상의 특수성 12
Ⅲ. 규정 성질상의 특수성 13
제4절? 행정법의 기본원리 13
Ⅰ. 법치국가의 원리 13
Ⅱ. 민주국가의 원리 18
Ⅲ. 사회국가의 원리 18
제5절? 행정법의 일반원칙 19
Ⅰ. 개설 19
Ⅱ. 비례의 원칙 19
Ⅲ. 신뢰보호의 원칙 21
Ⅳ. 평등의 원칙 27
Ⅴ. 신의성실 및 권리남용금지의 원칙 27
Ⅵ.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28
제6절? 행정법의 법원 29
Ⅰ. 개설 29
Ⅱ. 행정법의 성문법원 30
Ⅲ. 행정법의 불문법원 31
제3장 행정상의 법률관계 34
제1절?공법과 사법 34
Ⅰ. 개설 34
Ⅱ. 공법과 사법의 구별 34
Ⅲ. 구체적 문제의 해결 36
제2절? 행정상 법률관계의 종류 38
Ⅰ. 행정조직법적 관계 38
Ⅱ. 행정작용법적 관계 39
제3절? 행정법관계의 당사자 40
Ⅰ. 개설 40
Ⅱ. 행정주체 40
Ⅲ. 행정객체 43
제4절? 공권과 공의무 43
Ⅰ. 공권의 개념 43
Ⅱ. 공권의 특성 43
Ⅲ. 공권의 성립요건과 확대화 경향 44
Ⅳ. 개인적 공권과 기본권 46
Ⅴ. 기타 개인적 공권 47
제5절? 특별권력신분관계 51
Ⅰ. 전통적 특별권력관계이론 51
Ⅱ. 특별행정법관계의 성립, 종류 54
Ⅲ. 특별행정법관계와 법치주의 55
제6절? 행정과 통치행위 56
Ⅰ. 개설 56
Ⅱ. 통치행위론의 이론적 근거 57
제2편 행정행위
제1장 행정행위의 의의와 처분성 63
제1절? 행정작용의 분류 63
Ⅰ. 행정행위의 개념성립의 기초 63
Ⅱ. 행정행위의 개념정립의 실익 64
제2절? 행정행위의 개념 64
Ⅰ. 학문적 의미의 행정행위의 개념 64
Ⅱ. 행정쟁송법상 처분의 개념 64
Ⅲ. 학문적 의미의 행정행위와 쟁송법상의 처분개념 65
제3절? 행정행위의 개념적 요소 68
Ⅰ. 행정청 68
Ⅱ. 구체적 사실 68
Ⅲ. 규율 68
Ⅳ. 대외적인 행위 71
Ⅴ. 공권력의 발동으로 행하는 일방적 공법행위 72
제2장 행정행위의 특수성 72
제1절? 법적합성 72
제2절? 공정력 72
Ⅰ. 이론적 근거 72
Ⅱ. 실정법적 근거 73
제3절? 존속력 73
제4절? 강제력 73
제5절? 구제제도의 특수성 74
제3장 행정행위의 종류 74
제1절? 법률행위적 행정행위와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74
제2절? 기속행위와 재량행위 75
Ⅰ. 개설 75
Ⅱ. 개념 75
Ⅲ. 기속행위와 재량행위의 구별 76
Ⅳ. 재량의 한계 79
Ⅴ. 재량통제 82
Ⅵ. 불확정법개념과 판단여지 82
Ⅶ. 판례 86
제3절? 수익적?부담적 행정행위 88
Ⅰ. 수익적 행정행위와 부담적 행정행위 88
Ⅱ. 복효적 행정행위 88
제4절? 대인적?대물적 행정행위 91
Ⅰ. 대인적 행정행위 91
Ⅱ. 대물적 행정행위 91
Ⅲ. 혼합적 행정행위 92
제5절? 행정행위의 다양성 92
Ⅰ. 행정상의 확약 92
Ⅱ. 교시 95
Ⅲ. 사전결정 96
Ⅳ. 부분허가 97
Ⅴ. 잠정적 행정행위 98
제4장 행정행위의 내용 101
제1절? 명령적 행위 101
Ⅰ. 하명 102
Ⅱ. 허가 103
Ⅲ. 면제 110
제2절? 형성적 행위 110
Ⅰ. 특허 110
Ⅱ. 인가 112
Ⅲ. 대리 115
Ⅳ. 신고 115
제3절? 확인적 행위 116
제4절? 기타의 행정행위유형 116
Ⅰ. 공증 116
Ⅱ. 통지 118
Ⅲ. 수리 118
제5장 행정행위의 부관 119
제1절? 개설 119
Ⅰ. 행정행위의 부관의 개념 119
Ⅱ. 행정행위의 부관의 기능 120
제2절? 부관의 종류 120
Ⅰ. 조건 120
Ⅱ. 기한 121
Ⅲ. 철회권의 유보 121
Ⅳ. 부담 121
V. 기부채납 122
Ⅵ. 행정행위의 사후변경유보?부담유보 124
Ⅶ. 법률효과의 일부배제 124
제3절? 부관의 가능성과 한계 124
Ⅰ. 부관의 가능성 124
Ⅱ. 사후부관의 가능성 126
Ⅲ. 부관의 한계 126
제4절? 부관의 흠과 행정쟁송 127
Ⅰ. 흠 있는 부관의 효력 127
Ⅱ. 무효인 부관이 붙은 행정행위의 효력 128
Ⅲ. 흠 있는 부관에 대한 행정쟁송 128
제6장 행정행위의 성립 및 효력발생요건 132
제1절? 행정행위의 성립요건과 적법요건 132
Ⅰ. 주체에 관한 요건 132
Ⅱ. 절차에 관한 요건 132
Ⅲ. 형식에 관한 요건 132
Ⅳ. 내용에 관한 요건 132
제2절? 행정행위의 효력발생요건 133
Ⅰ. 송달 133
Ⅱ. 공고 또는 고시 134
제7장 행정행위의 효력 및 구속력 135
제1절? 개설 135
제2절? 행정행위의 구속력 135
Ⅰ. 내용적 구속력 135
Ⅱ. 공정력 135
Ⅲ. 구성요건적 효력 138
Ⅳ. 존속력 141
Ⅴ. 집행력 145
제8장 행정행위의 흠 146
제1절? 개설 146
제2절? 행정행위의 흠의 유형 146
Ⅰ. 무효원인인 흠 146
Ⅱ. 취소원인인 흠 146
Ⅲ. 무효나 취소의 원인이 되지 않는 흠 146
Ⅳ. 행정행위의 부존재 147
Ⅴ. 행정행위의 부존재와 무효의 구별실익 147
제3절? 행정행위의 무효와 취소의 구별 148
Ⅰ. 무효?취소의 의의 148
Ⅱ. 구별의 실익 148
Ⅲ. 구별에 관한 학설 150
제4절? 행정행위의 흠의 구체적 유형 152
Ⅰ. 주체에 관한 흠 152
Ⅱ. 내용에 관한 흠 154
Ⅲ. 절차에 관한 흠 156
Ⅳ. 형식에 관한 흠 158
제5절? 흠 있는 행정행위의 치유와 전환 159
Ⅰ. 개설 159
Ⅱ. 흠 있는 행정행위의 치유 159
Ⅲ. 흠 있는 행정행위의 전환 161
제6절? 행정행위의 흠의 승계 163
Ⅰ. 개념 163
Ⅱ. 논의의 의미 163
Ⅲ. 흠의 승계에 관한 학설과 판례 163
제9장 행정행위의 취소 169
제1절? 직권취소의 의의 169
제2절? 직권취소의 취소권자와 취소권의 근거 169
Ⅰ. 처분청 169
Ⅱ. 감독청 169
제3절? 취소사유 170
제4절? 취소권의 제한 170
Ⅰ. 부담적 행정행위의 취소 171
Ⅱ. 수익적 행정행위의 취소 171
제5절? 취소의 절차 172
제6절? 취소의 효과 172
제7절? 취소의 취소 173
Ⅰ. 학설 173
Ⅱ. 판례 174
제10장 행정행위의 철회 175
제1절? 철회의 의의 175
Ⅰ. 의의 175
Ⅱ. 취소와의 구별 175
제2절? 철회권자 175
제3절? 법적근거 175
제4절? 철회사유 176
제5절? 철회권의 제한 177
제6절? 철회의 절차와 효과 177
제7절? 복수허가의 일부철회 가능성 178
제11장 행정행위의 실효 179
제1절? 실효의 의의 179
제2절? 실효의 사유 179
Ⅰ. 행정행위의 대상의 소멸 179
Ⅱ. 해제조건의 성취, 종기의 도래 179
Ⅲ. 목적의 달성 180
제3절? 실효의 효과 180
제4절? 권리구제수단 180
제3편 행정작용의 확대
제1장 행정계획 183
제1절? 행정계획의 의의 183
제2절? 행정계획의 종류 184
Ⅰ. 대상에 의한 분류 184
Ⅱ. 대상지역에 의한 분류 184
Ⅲ. 계획기간에 의한 분류 184
Ⅳ. 책정수준에 의한 분류 184
Ⅴ. 구체화의 정도에 의한 분류 184
Ⅵ. 대상범위에 따른 분류 184
Ⅶ. 구속력에 의한 분류 185
제3절? 행정계획의 법적 성질 185
Ⅰ. 개념 185
Ⅱ. 학설 186
Ⅲ. 판례 186
Ⅳ. 소결 186
제4절? 행정계획의 적법 요건 187
Ⅰ. 주체 및 절차 187
Ⅱ. 내용에 관한 요건 188
Ⅲ. 형식과 고시 188
Ⅳ. 효력발생 188
제5절?계획재량과 형량명령 189
Ⅰ. 통상적인 행정재량과 계획재량의 구별 189
Ⅱ. 형량명령 191
제6절? 행정계획과 권리보호 192
Ⅰ. 행정쟁송 192
Ⅱ. 행정상 손실보상 192
제7절? 계획보장청구권 193
Ⅰ. 계획존속청구권 194
Ⅱ. 계획실행청구권 194
Ⅲ. 손실보상청구권 194
Ⅳ. 경과조치청구권 194
Ⅴ. 계획변경청구권 195
제2장 공법상 계약 196
제1절? 공법계약의 위치 196
Ⅰ. 공법계약의 유용성 196
Ⅱ. 공법계약의 가능성과 자유성 196
제2절? 공법계약의 의의 196
제3절? 다른 행위형식과의 구별 197
Ⅰ. 공법계약의 특성 197
Ⅱ. 행정계약과의 구별 197
Ⅲ. 행정행위와의 구별 198
Ⅳ. 공법상 합동행위와의 구별 198
제4절? 공법계약의 특수성 199
Ⅰ. 실체법적 특수성 199
Ⅱ. 절차법적 특수성 199
제3장 행정상 사실행위 201
제1절? 집합개념으로서의 사실행위 201
Ⅰ. 개념 201
Ⅱ. 종류 201
Ⅲ. 적법성의 요건 203
Ⅳ. 권리구제 204
제2절? 행정상 사실행위의 범주 204
제3절? 비공식적 행정작용 205
Ⅰ. 비공식적 행정작용 일반론 205
Ⅱ. 공법상의 경고?권고?정보제공 208
Ⅲ. 비공식적 행정작용으로서의 협상 209
제4절? 행정지도 211
Ⅰ. 의의 211
Ⅱ. 다른 행정작용 형식과의 구별 211
Ⅲ. 행정지도의 존재 이유 및 문제점 212
Ⅳ. 행정지도의 종류 212
Ⅴ. 행정지도의 실효성확보 214
Ⅵ. 행정지도의 법적 근거와 한계 214
Ⅶ. 행정지도와 행정구제 215
제4장 행정의 자동화작용 217
제1절? 행정의 자동화작용의 의의 217
Ⅰ. 의의 217
Ⅱ. 문제점 217
제2절? 행정자동결정의 법적 성질 217
Ⅰ. 논의의 필요성 217
Ⅱ. 행정행위설 218
제3절? 행정자동결정과 행정절차 218
제4절? 행정자동결정의 흠과 권리구제 219
Ⅰ. 행정자동결정의 흠 219
Ⅱ. 위법한 행정자동결정과 권리구제 219
제5절? 전자행정행위 220
Ⅰ. 의의 220
Ⅱ. 절차와 효과 220
제4편 행정입법
제1장 법규명령 225
제1절? 법규명령의 개념 225
제2절? 법규명령의 종류 226
Ⅰ. 효력 및 내용에 따른 분류 226
Ⅱ. 권한의 소재에 따른 분류 227
Ⅲ. 관련문제 228
제3절? 법규명령의 적법요건 229
Ⅰ. 주체 229
Ⅱ. 절차 229
Ⅲ. 형식 230
Ⅳ. 근거 및 내용 230
Ⅴ. 공포 230
Ⅵ. 효력발생 231
제4절? 법규명령의 근거와 한계 231
Ⅰ. 위임명령의 근거와 한계 231
Ⅱ. 집행명령의 근거와 한계 235
제5절? 법규명령의 흠과 그 효력 235
제6절? 법규명령의 소멸 235
Ⅰ. 폐지 235
Ⅱ. 종기의 도래, 해제조건의 성취 236
Ⅲ. 근거법령의 소멸 236
제7절? 법규명령의 통제 236
Ⅰ. 서설 236
Ⅱ. 국회에 의한 통제 237
Ⅲ. 행정적 통제 237
Ⅳ. 사법적 통제 238
제2장 행정규칙 241
제1절? 행정규칙의 의의 241
제2절? 행정규칙의 적법요건 241
Ⅰ. 주체 241
Ⅱ. 내용 241
Ⅲ. 절차 241
Ⅳ. 형식 241
Ⅴ. 공포 242
제3절? 행정규칙의 유형 242
Ⅰ. 내용에 따른 분류 242
Ⅱ. 형식에 따른 분류 243
제4절? 행정규칙의 성질 245
Ⅰ. 법률유보원칙 245
Ⅱ. 규율의 대상, 범위 245
Ⅲ. 재판규범성 245
Ⅳ. 행정규칙 위반의 효과 246
Ⅴ. 행정규칙의 법규성의 문제 246
Ⅵ. 규범구체화행정규칙에 관한 법리 248
Ⅶ. 우리나라에서 규범구체화행정규칙의 인정여부 249
제5절? 행정규칙형식의 법규명령?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 250
Ⅰ. 행정규칙형식의 법규명령 250
Ⅱ. 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 251
Ⅲ. 고시의 법적 성질 255
제5편 행정절차와 행정공개
제1장 행정절차 261
제1절? 행정절차의 개념 261
Ⅰ. 광의의 행정절차 261
Ⅱ. 협의의 행정절차 261
Ⅲ. 최협의의 행정절차 261
제2절?우리나라의 ?행정절차법? 262
제3절? 행정절차의 이념과 기능 262
Ⅰ. 민주주의의 실현 262
Ⅱ. 법치주의의 관철 262
Ⅲ. 행정의 능률화 263
Ⅳ. 재판적 통제의 보완 263
제4절? 행정절차의 기본적 요소 263
Ⅰ. 사전통지 263
Ⅱ. 청문 263
Ⅲ. 문서열람?정보공개 264
Ⅳ. 결정 및 결정이유의 제시 264
Ⅴ. 처분기준의 설정?공표 264
제5절? 행정절차의 헌법적 근거 264
Ⅰ. 학설 265
Ⅱ. 판례의 경향 265
Ⅲ. 소결 268
제6절? 현행 ?행정절차법?의 내용 268
Ⅰ. ?행정절차법?의 구조 및 특징 268
Ⅱ. 통칙적 규정 269
Ⅲ. 처분절차 274
Ⅳ. 신고 286
Ⅴ. 행정상 입법예고 287
Ⅵ. 행정예고 289
Ⅶ. 행정지도 290
제7절? 행정절차의 흠 291
Ⅰ. 절차에 흠 있는 행정처분의 효력 291
Ⅱ. 행정절차 흠의 치유가능성 293
제2장 행정공개 297
제1절? 개설 297
제2절? 정보공개 297
Ⅰ. 정보공개?문서열람권의 보장의 필요성 297
Ⅱ. 정보공개?문서열람권의 근거 297
Ⅲ.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의 내용 301
제3장 행정조사 315
제1절? 개설 315
제2절? 행정조사의 의의 315
Ⅰ. 개념 315
Ⅱ. 즉시강제와의 구별 315
제3절? 행정조사의 종류 316
Ⅰ. 대인적 조사 316
Ⅱ. 대물적 조사 317
Ⅲ. 대가택 조사 317
제4절? 행정조사의 법적 문제 317
Ⅰ. 법률유보와의 관계 317
Ⅱ. 절차적 요건 318
Ⅲ. 위법한 조사의 문제 318
Ⅳ. 행정조사의 수단의 문제 319
제5절? 행정조사에 대한 권리구제 320
Ⅰ. 적법한 행정조사에 대한 권리구제 320
Ⅱ. 위법한 행정조사에 대한 권리구제 320
제6편 행정강제와 행정벌
제1장 행정상의 강제집행 323
제1절? 행정상 강제집행의 의의 및 특색 323
Ⅰ. 의의 323
Ⅱ. 특색 323
제2절? 행정상 강제집행의 근거 324
Ⅰ. 이론상 근거 324
Ⅱ. 실체법적 근거 324
제3절? 행정상 강제집행의 수단 324
Ⅰ. 대집행 325
Ⅱ. 이행강제금 329
Ⅲ. 직접강제 330
Ⅳ. 행정상 강제징수 331
제2장 행정상의 즉시강제 334
제1절? 행정상 즉시강제의 의미와 근거 334
Ⅰ. 행정상 즉시강제의 의의 334
Ⅱ. 행정상 즉시강제의 근거 334
제2절? 행정상의 즉시강제의 종류 335
Ⅰ. 대인적 강제 335
Ⅱ. 대물적 강제 335
Ⅲ. 대가택강제 336
제3절? 행정상 즉시강제의 한계 337
Ⅰ. 실체법적 한계 337
Ⅱ. 절차법적 한계 337
제4절? 행정상 즉시강제에 대한 권리구제 339
Ⅰ. 적법한 행정상의 즉시강제에 대한 구제 339
Ⅱ. 위법한 행정상의 즉시강제에 대한 구제 339
제3장 행정벌 341
제1절? 행정벌의 의의 및 성질 341
Ⅰ. 의의 341
Ⅱ. 행정벌의 성질 341
제2절? 행정벌의 근거 및 종류 342
Ⅰ. 행정벌의 근거 342
Ⅱ. 종류 342
제3절? 과벌절차 344
Ⅰ. 행정형벌의 과벌절차 344
Ⅱ. 행정질서벌의 과벌절차 345
제4장 행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그 밖의 수단 347
Ⅰ. 가산금?가산세 347
Ⅱ. 과징금 347
Ⅲ. 공급거부 348
Ⅳ. 인?허가의 제한 349
Ⅴ. 공표 350
제7편 행정상 손해보전
제1장 행정상 손해배상 355
제1절? 개 설 355
Ⅰ. 손해배상의 의의 및 손실보상과의 관계 355
Ⅱ. 우리나라의 행정상 손해배상제도 356
제2절?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배상책임 361
Ⅰ. 배상책임의 요건 361
Ⅱ. 배상의 범위 374
Ⅲ. 배상책임 376
Ⅳ. 공무원의 배상책임과 구상 379
Ⅴ. 양도 등의 금지 383
Ⅵ. 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383
제3절? 공공시설 등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383
Ⅰ. 개설 383
Ⅱ. 배상책임의 요건 383
Ⅲ. 배상책임자 387
제4절? 행정상 손해배상의 청구절차 388
Ⅰ. 행정절차에 의한 배상청구 388
Ⅱ. 사법절차에 의한 배상청구 390
제2장 행정상 손실보상 391
제1절? 개설 391
Ⅰ. 행정상 손실보상의 의의 391
Ⅱ. 행정상 손실보상의 근거와 변천 392
Ⅲ. 공용침해조항의 법적 효력과 청구권의 성질 394
제2절? 손실보상의 요건 403
Ⅰ. 개설 403
Ⅱ. 구체적 요건 403
Ⅲ. 손실보상의 대상 410
Ⅳ. 손실보상의 기준과 내용 411
Ⅴ. 손실보상에 대한 불복 413
제3절? 손해전보를 위한 그 밖의 제도 414
Ⅰ. 개설 414
Ⅱ. 수용유사 및 수용적 침해에 대한 보상 414
Ⅲ. 비재산적 법익침해에 대한 보상 418
Ⅳ. 행정상의 결과제거청구 419
Ⅴ. 행정법상의 채권관계 421
제8편 행정쟁송과 행정심판
제1장 행정쟁송 총설 429
Ⅰ. 행정쟁송의 개요 429
Ⅱ. 행정쟁송의 종류 430
제2장 행정심판 432
제1절? 행정심판의 개관 432
Ⅰ. 행정심판의 의의 432
Ⅱ. 행정심판의 대상 436
제2절? 행정심판의 종류 437
Ⅰ. 취소심판 437
Ⅱ. 무효등확인심판 438
Ⅲ. 의무이행심판 439
Ⅳ. 특별행정심판 신설 등을 위한 협의 의무화 439
제3절? 행정심판의 당사자?관계인 440
Ⅰ. 행정심판의 당사자 440
Ⅱ. 행정심판의 관계인 442
제4절? 행정심판기관 443
Ⅰ. 개설 443
Ⅱ. 행정심판위원회 443
Ⅲ. 행정심판위원회의 구성 447
제5절? 행정심판의 청구 449
Ⅰ. 행정심판청구의 방식 449
Ⅱ. 심판청구기간 451
Ⅲ. 심판청구의 변경 취하 453
Ⅳ. 행정심판청구의 효과 455
제6절? 행정심판의 심리 458
Ⅰ. 개설 458
Ⅱ. 심리의 내용과 범위 458
Ⅲ. 심리의 절차 460
제7절? 행정심판의 재결 463
Ⅰ. 재결의 의의 463
Ⅱ. 재결의 절차와 형식 463
Ⅲ. 재결의 종류 464
Ⅳ. 재결의 효력 467
Ⅴ. 위원회의 직접처분과 간접강제 470
Ⅵ. 재결에 대한 불복 471
제8절? 행정심판의 조정 472
제9절? 행정심판의 불복고지 473
Ⅰ. 개설 473
Ⅱ. 불복고지의 종류 473
Ⅲ. 고지의무 위반의 효과 475
제9편 행정소송
제1장 개설 479
Ⅰ. 행정소송의 의의 479
Ⅱ. 행정소송의 기능 480
Ⅲ. 우리나라 행정소송제도의 연혁 481
Ⅳ. 행정소송의 특수성 482
Ⅴ. 행정소송의 한계 483
Ⅵ. 행정소송의 종류 488
제2장 항고소송 491
Ⅰ. 취소소송 491
Ⅱ. 취소소송의 제기 517
Ⅲ. 소의 변경 525
Ⅳ. 소제기의 효과 528
Ⅴ. 취소소송과 가구제 528
Ⅵ. 취소소송의 심리 535
Ⅶ. 취소소송의 판결 543
Ⅷ. 판결에 의하지 않는 취소소송의 종료 552
Ⅸ. 상고 및 제3자의 재심청구 553
Ⅹ. 소송비용 554
제3장 무효등확인소송 555
Ⅰ. 의의 및 성질 555
Ⅱ. 소송요건 556
Ⅲ. 소제기의 효과 558
Ⅳ. 소송의 심리 558
Ⅴ. 소송의 종료 560
제4장 부작위위법확인소송 562
Ⅰ. 개요 562
Ⅱ. 적용법규 562
Ⅲ.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제기요건 563
Ⅳ. 소송의 심리 566
Ⅴ. 소송의 종료 568
제5장 당사자소송 570
Ⅰ. 개설 570
Ⅱ. 당사자소송의 종류 572
Ⅲ. 소송요건 및 절차 575
Ⅳ. 소송의 종료 578
제6장 새로운 유형의 행정소송 581
Ⅰ. 의무이행소송 581
Ⅱ. 예방적 부작위청구소송 585
제7장 객관소송 589
Ⅰ. 객관소송의 의의 589
Ⅱ. 민중소송 589
Ⅲ. 기관소송 593
Ⅳ. 감독처분에 대한 소송 596
제8장 행정구제수단으로서의 헌법소원 598
Ⅰ. 개설 598
Ⅱ. 헌법소원 598
Ⅲ. 행정소송과 헌법소원의 관계 599
제9장 대체적 분쟁해결수단 601
Ⅰ. 개설 601
Ⅱ.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의 종류 602
Ⅲ. 행정법 영역에서의 대체적 분쟁해결수단 603
찾아보기 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