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공 법사의 금강경 강의 절요

정공 법사의 금강경 강의 절요

(반야의 바른 지혜로 번뇌를 깨뜨리는 금강경의 핵심 가르침)

정공 (지은이), 양관 (옮긴이)
담앤북스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6개 10,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공 법사의 금강경 강의 절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공 법사의 금강경 강의 절요 (반야의 바른 지혜로 번뇌를 깨뜨리는 금강경의 핵심 가르침)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62010709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8-02-22

책 소개

금강경은 반야심경과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통되고 있는 경전으로 반야계 경전의 대표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대승불교 초기인 2세기 무렵 성립된 금강경은 600부 대품반야경의 정수를 한 권에 압축하여 담고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_ 4
일러두기 _ 20


금강경 강의 절요 권1 _ 21

강요綱要 _ 22
경의 제목 _ 23
체를 나타냄(顯體) _ 24
종을 밝힘(明宗) _ 25
작용을 분별함(辨用) _ 26
교를 판별함(判敎) _ 28
번역자: 요진 삼장법사 구마라집 역 _ 29
담허 법사 虛法師가 이 경의 대지大旨를 보이다 _ 30


금강경 강의 절요 권2 _ 21

【서분】
제1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_ 34
1. 증신서證信序 _ 35
2. 발기서發起序 _ 37

【정종분】
제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_ 40
3. 근기에 맞게 예의를 다하여 청함. 예로써 찬탄하고 위의를 갖춤 _ 41
4. 칭찬함 _ 41
5. 법을 청함 _ 42
6. 여래가 찬탄하고 허락함. 찬탄하고 인정함 _ 44
7. 허락하고 설함. 총체적으로 보임. 듣기를 권하고 종을 표함 _ 44
8. 뜻에 계합하여 상세히 청함 _ 45

제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_ 46
9. 상세히 말함. 경계를 잡아 무주를 밝혀 반야의 올바른 지혜를 나타냄. 무주로써 믿음을 냄을 적실하게 보임. 표하여 보임 _ 47
10. 바로 밝힘 _ 48
11. 묻고 해석함 _ 52

제4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_ 55
12. 상에 머무르지 않았기에 이것이 바른 머무름이라는 것을 밝힘. 바로 무주를 밝힘. 표하여 보임 _ 56
13. 가리켜 해석함 _ 58
14. 결론을 이룸 _ 59
15. 그 까닭을 나타내고 해석함. 묻고 해석함 _ 61
16. 비유로 밝힘 _ 62
17. 법에 합함 _ 63
18. 결론적으로 바른 머무름을 보임 _ 63

제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_ 65
19. 다시 까닭을 밝힘. 문답으로 해석해 밝힘 _ 66
20. 답. 쌍으로 밝힘 _ 67
21. 해석을 이룸 _ 67
22. 뜻을 열어 인정하고 허락함. 성은 본래 상이 아님을 밝힘 _ 68
23. 상에 의거해 성을 봄을 밝힘 _ 69

제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_ 71
24. 믿음을 냄. 근기를 가려서 보임. 질문 _ 72
25. 답. 능히 믿는 근기를 가려냄 _ 73
26. 오래된 근기의 두터움을 보임 _ 74
27. 그 복덕을 밝힘. 바로 그 복을 밝힘 _ 76
28. 그 까닭을 해석해 나타냄. 바로 해석함 _ 77
29. 반대로 나타냄 _ 78
30. 결론적으로 중도를 나타냄. 쌍으로 여읨으로써 결론을 이룸 _ 79
31. 뗏목의 비유를 이끌어 뜻을 나타냄 _ 80

제7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_ 83
32. 묻고 해석하여 증득을 이룸. 여래의 과덕을 들어 물음 _ 84
33. 법으로써 가히 집착하지 말 것을 해석함. 결정된 법이 없음을 밝힘 _ 84
34. 응당히 쌍비雙非임을 해석함 _ 85
35. 일체 무위를 끌어와 증명함 _ 87

제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_ 88
36. 수승함을 비교함. 보시의 복이 많음. 일을 들어 질문함 _ 89
37. 까닭을 답하고 해석함 _ 90
38. 경을 믿는 것이 수승함 _ 91
39. 경의 공을 해석해 이룸 _ 92
40. 상을 여읨을 귀결함 _ 93


금강경 강의 절요 권3 _ 95

제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_ 96
41. 머무름 없음을 미루어 열어 이해하게 함. 과를 잡아 자세히 밝힘. 사과를 총론하다. 초과에서 상을 여읨을 밝힘 _ 97
42. 이과에서 상을 여읨을 밝힘 _ 98
43. 삼과에서 상을 여읨을 밝힘 _ 99
44. 사과에서 상을 여읨을 밝힘 _ 100
45. 스승과 제자가 증득함을 이룸. 해당하는 근기를 잡아 증득을 얻음이 없음. 부처님의 말씀을 끌어옴 _ 100
46. 상을 여읨을 진술함 _ 102
47. 까닭을 해석함. 반대로 나타냄 _ 102
48. 바로 밝힘 _ 103

제10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_ 104
49. 옛날의 인을 잡아 얻음 없음을 증명함 _ 105
50. 인을 잡아 상세히 나타냄. 인의 마음을 잡아 바로 나타냄. 먼저 장엄한 국토에 머무르지 않음을 밝힘 _ 106
51. 머무름 없는 마음 발함을 드러냄 _ 107
52. 보신은 머무르지 않음을 증명함 _ 111

제11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_ 113
53. 경을 잡아 공을 비교하여 나타냄. 복덕이 수승함을 나타냄. 항하사의 비유를 이끌어 옴 _ 114
54. 실다운 보시의 복을 밝힘 _ 114
55. 경을 지니는 것이 수승함을 나타냄 _ 115

제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_ 117
56. 수승한 까닭을 나타냄. 설함을 따라서 복을 밝힘 _ 118
57. 다 지니는 복을 밝힘. 바로 다 지님을 밝힘 _ 119
58. 까닭을 바로 밝힘. 성취를 잡아 바로 나타냄 _ 120
59. 훈습을 잡아 결론을 이룸 _ 121

제13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_ 122
60. 이름 지닐 것을 청하고 보여 줌. 청함 _ 123
61. 이름 지님을 총체적으로 보임. 능단의 이름을 보임 _ 127
62. 경을 지니는 법을 보임 _ 127
63. 까닭을 상세히 밝힘. 총체적으로 표함 _ 128
64. 따로 상세히 함. 성체로 회귀함을 보임. 응당히 명자상을 여의고 지녀야 함을 보임 _ 129
65. 응당히 언설상을 여의고 지녀야 함을 보임 _ 130
66. 가명을 무너뜨리지 않음. 경계의 상에 집착하지 않고 지님을 보임 _ 135
67. 바로 보임. 미세한 상에 집착하지 않음 _ 136
68. 광대한 상에 집착하지 않음 _ 137
69. 신상에 집착하지 않고 지님을 보임 _ 137
70. 지니는 복을 결론적으로 나타냄. 목숨을 잡아 보시를 비교함 _ 142
71. 지니는 복이 많음을 밝힘 _ 143

제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_ 144
72. 해혜를 성취함. 근기에 맞추어 찬탄하고 권함. 이해함을 표함 _ 147
73. 찬탄하고 공경함을 진술함 _ 149
74. 믿고 이해하기를 권함. 현전을 잡아 권함. 성취를 밝힘 _ 150
75. 실상을 밝힘 _ 154
76. 당래를 잡아 권함. 지금을 경사스러워하고 뒤를 권함. 스스로 경사스러워함 _ 159
77. 널리 권함 _ 160
78. 그 까닭을 해석해 나타냄. 바로 유에 집착하지 않음을 나타냄 _ 161
79. 공에 집착하지 말아야 함을 전전히 나타냄 _ 162
80. 이름이 제불임을 결론적으로 나타냄 _ 163
81. 여래가 인가하고 뜻을 천명함. 인가 _ 164
82. 뜻을 천명함. 관행과 상을 여읜 뜻을 열어 밝힘. 반야를 잡아 밝힘 _ 165
83. 나머지 바라밀을 잡아 밝힘. 바로 밝힘 _ 167
84. 이끌어 와서 증명함. 본겁의 일을 이끌어 옴 _ 169
85. 다생의 일을 이끌어 옴 _ 175
86. 법을 설하는 진실한 뜻을 열어 밝힘. 앞의 글을 총결함. 머무름 없는 발심의 결론을 이룸. 결론을 표함 _ 176
87. 해석을 이룸 _ 177
88. 반대로 나타냄 _ 179
89. 머무름 없는 보시의 결론을 이룸. 불응不應을 결론 냄 _ 185
90. 응應의 결론을 이룸. 총체적으로 표함 _ 186
91. 각각 밝힘 _ 188
92. 바로 진실을 밝힘. 진실을 설명함 _ 192
93. 법의 진실을 밝힘 _ 193
94. 거듭 비유로써 밝힘. 법에 머무는 허물을 비유함 _ 195
95. 머무름이 없는 공을 비유함 _ 196
96. 결론을 이룸 _ 197

제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_ 199
97. 경의 공덕을 지극히 나타냄. 복을 내는 것을 잡아 나타냄. 비유를 세움 _ 200
98. 수승함을 나타냄. 복을 잡아 총체적으로 보임. 듣고 믿은즉 수승함 _ 202
99. 지니고 설함은 더욱 수승함 _ 202
100. 요점을 들어 각각 밝힘. 교의 뜻을 잡아 밝힘 _ 205
101. 연기를 잡아 밝힘 _ 206
102. 짊어짐을 잡아 밝힘. 바로 나타냄 _ 207
103. 반대로 나타냄 _ 209
104. 경의 수승함을 결론하여 나타냄 _ 211

제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_ 214
105. 죄를 멸함을 잡아 나타냄. 가볍게 여기는 인을 표함 _ 215
106. 죄를 멸해 얻는 복을 밝힘 _ 217
107. 부처님께 공양함을 잡아 나타냄. 부처님께 공양함을 밝힘 _ 219
108. 경을 지님을 나타냄 _ 220
109. 경의 공덕의 결론을 이룸. 갖추어 설하기 어려움을 밝힘 _ 222
110. 부사의함을 밝힘 _ 223


금강경 강의 절요 권4 _ 225

제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_ 228
111. 마음을 잡아 머무름 없음을 밝힘으로써 반야의 이체를 나타냄. 깊이 머무름 없음을 관함으로써 나아가 닦음. 마음을 발하나 법이 없음. 거듭 청함 _ 231
112. 가르침을 보임 _ 232
113. 묻고 해석함 _ 233
114. 결론을 이룸 _ 234
115. 과를 들어 인을 밝힘. 상세히 밝힘. 과를 밝힘. 얻음 없이 얻음을 밝힘. 물음 _ 235
116. 답하고 해석함 _ 236
117. 인정을 이룸. 여래가 인정하고 허락함 _ 237
118. 반대로 그리고 바로 해석함. 반대로 해석함 _ 238
119. 바로 해석함 _ 238
120. 법과 법이 다 진여임을 밝힘. 명호를 잡아 진여를 밝힘 _ 242
121. 과덕을 잡아 진여를 밝힘. 무법을 밝힘 _ 244
122. 일여를 밝힘 _ 244
123. 제법을 잡아 진여를 밝힘. 일체법에 즉함을 밝힘 _ 246
124. 일체상을 여읨을 밝힘 _ 247
125. 보신을 잡아 진여를 밝힘 _ 249
126. 인을 밝힘. 바로 법집을 보냄. 중생을 제도함을 잡아 보냄. 보냄을 표함 _ 250
127. 물어 해석함. 무법을 해석함 _ 252
128. 무아를 해석함 _ 253
129. 국토를 장엄함을 잡아 보냄. 보냄을 표함 _ 254
130. 묻고 해석함 _ 255
131. 무아를 통달하게 함. 통달을 표시 _ 256

제18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_ 259
132. 불지견을 엶. 원만한 견을 밝힘. 같은 데 집착하지 않음을 밝힘 _ 260
133. 다른 데 집착하지 않음을 밝힘 _ 263
134. 바로 앎을 밝힘. 마음으로 행하여도 얻기 어려움을 밝힘. 비유로 대중이 분명히 알게 함. 비유를 이끌어 옴 _ 266
135. 다 앎 _ 267
136. 마음이 아님을 해석해 밝힘 _ 269
137. 얻기 어려운 것을 결론지음 _ 271
138. 모든 법은 인연으로 생함을 밝힘. 복보를 잡아 무성을 밝힘. 법보시를 잡아 체가 공함을 밝힘 _ 274

제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_ 278
138. 복덕을 밝힘. 복덕의 인연을 밝힘 _ 279
139. 인연이 모인즉 생함을 밝힘 _ 279

제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_ 282
140. 보신을 밝힘. 색신은 성이 아님을 밝힘 _ 283
141. 상호는 성이 아님을 밝힘 _ 285
142. 법보시를 잡아 체가 공함을 밝힘. 가히 설할 법이 없음을 밝힘. 듣는 자의 성품이 공함을 밝힘. 가히 얻을 법이 없음을 밝힘 _ 287

제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_ 290
142. 법 가히 설할 법이 없음을 밝힘. 근기에 대하여 곧 설함. 법은 무념임을 보여 설함 _ 291
143. 염이 있으면 곧 집착임을 해석함 _ 291
144. 본래 가히 설할 수 없음 _ 294
145. 듣는 자의 성품이 공함을 밝힘 _ 295
145. 듣는 자의 성품이 공함을 밝힘. 물음을 청함 _ 297
146. 집착을 보냄 _ 298
147. 해석을 이룸 _ 298

제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_ 300
148. 법 가히 얻을 것이 없음을 밝힘. 깨달음을 진술함 _ 301
149. 인가하고 해석함 _ 301

제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_ 303
150. 결론을 보임. 바로 성체를 보임 _ 304
151. 수행의 공을 바로 보임 _ 305
152. 능과 소가 없음을 결론지음 _ 307

제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_ 309
153. 수승함을 나타내고 방편을 맺음.비유를 이끌어 나타냄 _ 310
154. 바로 방편을 맺음 _ 310


금강경 강의 절요 권5 _ 313

155. 구경에 머무름 없음으로써 증득을 이룸. 평등법계를 밝힘. 제법의 공한 상을 밝힘 _ 314

제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_ 315
155. 중생을 제도함을 잡아 성범聖凡이 없음을 밝힘. 제도하되 제도한다는 염이 없음을 밝힘. 표해 보임 _ 316
156. 해석을 이룸 _ 317
157. 본래 범성이 없음을 밝힘 _ 318

제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_ 320
158. 성과 상을 잡아 같지도 다르지도 않음을 밝힘. 총히 진여의 뜻을 밝힘 _ 321
159. 달리 정에 집착함을 보냄. 상을 취함을 보내어 같지 않음을 밝힘. 알음알이를 파하고 보냄을 보임 _ 322
160. 게를 설하여 결론을 이룸 _ 324

제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_ 326
161. 멸상을 보내어 다름이 아님을 밝힘. 간절히 경계를 표시함 _ 327
162. 바른 뜻을 결론지어 나타냄 _ 330

제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_ 335
163. 복덕을 받지 않는 것을 잡아 무아를 결론 냄. 무아를 결론 냄. 무아의 공이 수승함을 밝힘. 일을 이끌어 옴 _ 336
164. 수승함을 비교함 _ 336
165. 그 받지 않는 연유를 밝힘 _ 338
166. 집착하지 않음을 밝힘. 그 뜻을 청하여 밝힘 _ 339
167. 집착하지 않음을 해석해 밝힘 _ 339
168. 제법공상을 밝혀 법이 생하지 않는 결론을 이룸 _ 340

제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_ 343
168. 상을 민절하고 체에 들어감. 성스러운 이름을 잡아서 오고 감이 여의었음을 밝힘. 범부의 정을 물리침 _ 344
169. 바른 뜻을 해석함 _ 345

제30 일합이상분一合理相分 _ 347
170. 티끌 세계를 잡아 많고 적음을 여의었음을 밝힘. 미진이 많지 않음을 밝힘. 미진이 많은가를 물음 _ 348
171. 많은즉 많음이 아님을 밝힘 _ 348
172. 그 까닭을 해석함 _ 350
173. 세계가 같지 않음을 밝힘. 세계가 아니고 이 이름이 세계임을 밝힘 _ 350
174. 하나는 즉 하나가 아님을 해석함 _ 351
175. 근본은 언설을 여의었음을 보임 _ 352

제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_ 355
176. 아견을 잡아 여읨도 또한 여의었음을 밝힘. 문답으로 뜻을 밝힘 _ 356
177. 그 까닭을 해석해 이룸 _ 357
178. 생하지 않는 결론을 이룸. 바로 생하지 않음을 밝힘 _ 363
179. 생하지 않음도 또한 없음 _ 365

【유통분】
제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_ 367
180. 유통분. 유통하기를 보이고 권함. 유통의 이익을 보임. 재시를 이끌어 옴 _ 368
181. 법시를 밝힘 _ 368
182. 유통의 법을 보임. 바로 본성을 가리킴 _ 370
183. 법이 인연으로 생함을 관함 _ 376
184. 바로 유통을 결론 내림 _ 386

저자소개

정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토불교를 전수 홍양하는 단체인 정종학회의 정신적 지도자. 1959년 출가한 후 대승불법의 부흥을 위해 60년 이상 화엄경 금강경 법화경 무량수경 등 대승경전을 널리 대중을 위해 강설한 후 2022년 입적하였다. 《요범사훈》에 큰 영향을 받아 자주 독송하여 강설하였다. 세계 각국이 요동치면서 인과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요범사훈》을 인과교육의 교재로 삼아 널리 유통하였다. 1978년 대만 화장대학에서 총 30회, 1990년 대만 화장도서관 총 15회, 1999년 호주 정종학회에서 총7회, 2001년 중국에서 총 20회 강연하면서 사회풍토의 개선을 꾀하였다.
펼치기
양관 (옮긴이)    정보 더보기
통도사에서 청하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통도사 강원, 동국대 불교학과, 선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조계종 종립 은해사 승가대학원을 졸업하고 통도사 강원 강사, 동국대학교 선학과 외래 강사, 동화사 승가대학 강주, 통도사 포교국장 소임을 거쳐 현재는 울산 동축사 주지와 조계종 초심호계위원 소임을 맡고 있다. 번역서로는 『동산양개화상 어록』과 『강미농의 금강경 강의』, 『정공淨空 법사의 금강경 강의 절요』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03 지자 대사는 ‘실상의 지혜와 상이 없는 보시를 수행하는 것’을 본경의 종의宗義로 삼았다.
04 강미농 거사 주해에서는 ‘일체 상을 여의고 일체 선을 닦는 것’을 본경의 체에 의지하여 수행을 일으키는 묘종妙宗으로 삼았다.
05 본경에 종을 닦는 것은 ‘무주無住’ 두 글자에 있다. 경 전체의 관문觀門과 행문行門이 다 그 가운데에 있다.


01 결론적으로 머물지 않음(不住)이 곧 바른 머무름(正住)임에 이르러 마땅히 머무는 바 없어야 함을 가리킨 것이다. 또 응당히 어떻게 머물러야 하는가에 답하기를, 다만 내가 가르친 바의 이변에 머무르지 않는 것에 의지하여 수행하라는 뜻으로 말씀하신 것이다. 본래 머물지 않음(不住)으로써 주를 삼았으니, 그렇지 않다면 대승의 불법이 아니다.
02 항복과 머무르지 않는 두 일은 즉 하나의 일이다. 수행의 시작은 곧 이 하나의 버릴 ‘사捨’ 자이다. 사捨는 즉 아집을 깨뜨리는 것이다. 끝까지 버려야 아집이 바야흐로 깨뜨려 다해진다.


03 ‘어떻게 끊는다고 하는가?’에서 끊는 것은 아견我見을 끊는 것이다. 아견은 망상의 다른 이름이다. 망상은 원래 이 진심眞心이 변한 것으로 본래는 능히 끊지 못한다. 이른바 끊는다는 것은 그것을 깨뜨리는 것을 말할 뿐이다.
04 어떻게 능히 깨뜨릴 수 있는가? 이해함을 열 뿐이다. 아견을 끊는 것 외에 아울러 별다른 법이 없다. 오직 철저하게 이치를 밝혀야 한다. 또한 철저하게 이해를 열어 우주 인생의 진실상을 목격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