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법하고 싶은 문법

문법하고 싶은 문법

(국어 교사와 예비 교사를 위한 국어 문법 즉문즉답)

신승용, 안윤주 (지은이)
역락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320원 -7% 0원
720원
2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000원 -10% 1200원 20,400원 >

책 이미지

문법하고 싶은 문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법하고 싶은 문법 (국어 교사와 예비 교사를 위한 국어 문법 즉문즉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62445587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0-09-04

책 소개

문법서이긴 하지만, 기존의 문법 개론서들과는 다른 책이다. 국어학의 위계와 체계라는 형식에 치우치지 않고, 질문과 이에 대한 설명 형식의 옴니버스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문법 체계를 파악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목차

머리말
찾아보기

1. 음운과 음운 변동에 대한 Q & A

1.1. 이중모음은 왜 음운이 아닌가요?
1.2. 현대국어의 비분절음은 장단뿐인가요?
1.3. ‘읊다’에 어떤 음운 변동이 어떻게 적용되어 [읍따]가 되었나요?
1.4. ‘예삿일[예산닐]’은 사잇소리 현상인가요, /ㄴ/ 첨가인가요?
1.5. ‘갈등[갈뜽]’과 ‘갈대[갈때]’의 경음화는 같은 것인가요?
1.6. ‘꽃잎이[꼰니피]’에서 음운 변동의 적용 순서는 어떻게 되나요?
1.7. ‘담력[담녁]’은 왜 비음동화가 아닌가요?
1.8. ‘묻혀[무처]’는 어떤 음운 변동이 일어났나요?
1.9. ‘개어 → 개’는 어미 ‘-어’가 탈락한 것인가요?
1.10. ‘보아 → 봐’는 음운의 개수가 그대로인데 왜 모음 축약인가요?
1.11. ‘놓다’의 활용형 ‘놔라[놔:라]’는 왜 규칙 활용인가요?
1.12. ‘놓는다[논는다]’에서는 /ㅎ/이 바로 /ㄴ/으로 바뀐 건가요?
1.13. ‘많소[만쏘]’는 /ㅎ/ 탈락 후 경음화가 일어난 건가요?
1.14. ‘독도[독또]’는 왜 동화가 아닌가요?
1.15. 구개음화는 왜 조음 방법 동화가 아닌가요?
1.16. 왜 같은 ‘-음’이 결합했는데 명사형은 ‘욺’이고, 명사는 ‘울음’인가요?

2. 형태소와 단어, 품사에 대한 Q & A

2.1. ‘개살구’의 ‘개’가 형식 형태소가 맞나요?
2.2. ‘웃음’의 ‘-음’과 ‘더하기’의 ‘-기’는 이형태인가요?
2.3. ‘무덤’은 몇 개의 형태소인가요?
2.4. ‘덮밥’은 왜 비통사적 합성어인가요?
2.5. ‘새신랑’은 파생어인가요, 합성어인가요?
2.6. ‘새파랗게’에서 어간과 어근은 같은가요?
2.7. ‘맛있다’가 융합 합성어인가요?
2.8. ‘가늘어지다’는 단어인가요, 구인가요?
2.9. 조사 ‘로’와 ‘부터’가 결합하여 형성된 ‘로부터’는 왜 합성어가 아닌가요?
2.10. 왜 ‘소고기’를 ‘쇠고기’라고도 하나요?
2.11. ‘집에 갔다’에서 동사는 ‘갔다’인가요, ‘가-’인가요?
2.12. ‘만큼’은 왜 보조사가 아니라 격 조사인가요?
2.13. ‘은/는’은 왜 주격 조사가 아닌가요?
2.14. 서술격 조사는 조사 맞나요?
2.15. 조사가 단어인데 왜 조사가 결합한 단어는 없나요?
2.16. ‘잠을 잠이 좋겠다’에서 명사는 몇 개인가요?
2.17. 관형사는 혼자 쓰이지 못하는데도 왜 단어인가요?
2.18.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품사 통용은 어떻게 다른가요?
2.19. 불규칙은 왜 불규칙이고 불규칙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3. 활용과 곡용, 문장에 대한 Q & A

3.1. ‘제가 경솔했습니다.’는 두 번 높인 건가요?
3.2. ‘할아버지 연세가 많으시구나!’는 직접 높임인가요?
3.3. ‘좋은 추억을 품고 산다.’에서 어말어미는 몇 개인가요?
3.4. ‘그는 밥을 먹지를 않는다.’에서 ‘먹지를’의 ‘를’은 목적격 조사인가요?
3.5. ‘전기가 끊어지게 되다.’는 왜 적절하지 않나요?
3.6. ‘한 문장으로 쓰시오.’라고 할 때, ‘한 문장’의 정의는?
3.7. ‘너 두고 보자’에서 ‘보자’는 본용언인가요, 보조용언인가요?
3.8. ‘코끼리가 코가 길다.’는 왜 겹문장인가요?
3.9. ‘나는 영화가 슬퍼서 울었다.’는 서술절을 안은문장인가요?
3.10. ‘행복하세요.’가 맞는 표현인가요?
3.11. ‘그건 내가 알 바 아니야.’는 관형사절을 안은문장인가요?
3.12. ‘별이는 내가 다니던 학교에 다닌다.’에서
‘내가 다니던’은 ‘학교에’를 수식하나요, ‘학교’를 수식하나요? 323
3.13. ‘너와 나는 학생이다.’는 홑문장인가요, 겹문장인가요?
3.14. ‘엄마가 살을 빼기는 쉽지 않다.’는 어떻게 분석되나요?
3.15. ‘나는 나이지 네가 아니다.’는 대등하게 이어진문장 맞나요?

4. 반의어와 중의성에 대한 Q & A

4.1. ‘위:아래’는 상보 반의어인가요, 정도 반의어인가요?
4.2. ‘문제집을 풀고 있다.’는 왜 중의적인가요?

5. 훈민정음과 국어사에 대한 Q & A

5.1. 훈민정음 제자 원리 중에서 ‘합성’과 ‘합용’은 어떻게 다른가요?
5.2. 훈민정음의 이체자 ‘ㆁ, ㅿ, ㄹ’가 가획의 원리를 따른 자인가요?
5.3. 훈민정음에서 ‘ㆁ(옛이응)’과 ‘ㅇ’은 어떻게 다른가요?
5.4. 중세국어의 초성 ‘ㅺ’은 자음군인가요?
5.5. 향찰, 구결, 이두는 어떻게 구분되나요?
5.6. ‘제 ᄠᅳ들 시러 펴디’에서 ‘제’는 대명사인가요?
5.7. [낻까]의 표기가 왜 ‘낻가’가 아니고 ‘냇가’인가요?
5.8. 움라우트와 전설모음화는 같은 것인가요?

참고문헌

저자소개

신승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영천 출생 서강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 2004~현재까지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재직 『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태학사), 『학교문법 산책』(태학사), 『국어학 개론』(공저, 태학사), 『국어 음운론』(역락), 『문법하고 싶은 문법』(역락), 『쉽게 풀어 쓴 국어사 개론』(집문당) 등 다수 저서 출판.
펼치기
안윤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 국어 교사, (사)미래교실네트워크 이사 영남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문법교육전공) 미래엔 국어 교과서 교사용 자료집 집필(2017-2020) 대구 거꾸로교실 전문학습공동체 운영위원(2016-2022) 대구중등협력학습지원단(2017-2021) 주요 저서: 문법하고 싶은 문법(2020, 공저), 더 문법하고 싶은 문법(2021, 공저), 맞춤법하고 싶은 맞춤법(2022, 공저)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7421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