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62445587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0-09-0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찾아보기
1. 음운과 음운 변동에 대한 Q & A
1.1. 이중모음은 왜 음운이 아닌가요?
1.2. 현대국어의 비분절음은 장단뿐인가요?
1.3. ‘읊다’에 어떤 음운 변동이 어떻게 적용되어 [읍따]가 되었나요?
1.4. ‘예삿일[예산닐]’은 사잇소리 현상인가요, /ㄴ/ 첨가인가요?
1.5. ‘갈등[갈뜽]’과 ‘갈대[갈때]’의 경음화는 같은 것인가요?
1.6. ‘꽃잎이[꼰니피]’에서 음운 변동의 적용 순서는 어떻게 되나요?
1.7. ‘담력[담녁]’은 왜 비음동화가 아닌가요?
1.8. ‘묻혀[무처]’는 어떤 음운 변동이 일어났나요?
1.9. ‘개어 → 개’는 어미 ‘-어’가 탈락한 것인가요?
1.10. ‘보아 → 봐’는 음운의 개수가 그대로인데 왜 모음 축약인가요?
1.11. ‘놓다’의 활용형 ‘놔라[놔:라]’는 왜 규칙 활용인가요?
1.12. ‘놓는다[논는다]’에서는 /ㅎ/이 바로 /ㄴ/으로 바뀐 건가요?
1.13. ‘많소[만쏘]’는 /ㅎ/ 탈락 후 경음화가 일어난 건가요?
1.14. ‘독도[독또]’는 왜 동화가 아닌가요?
1.15. 구개음화는 왜 조음 방법 동화가 아닌가요?
1.16. 왜 같은 ‘-음’이 결합했는데 명사형은 ‘욺’이고, 명사는 ‘울음’인가요?
2. 형태소와 단어, 품사에 대한 Q & A
2.1. ‘개살구’의 ‘개’가 형식 형태소가 맞나요?
2.2. ‘웃음’의 ‘-음’과 ‘더하기’의 ‘-기’는 이형태인가요?
2.3. ‘무덤’은 몇 개의 형태소인가요?
2.4. ‘덮밥’은 왜 비통사적 합성어인가요?
2.5. ‘새신랑’은 파생어인가요, 합성어인가요?
2.6. ‘새파랗게’에서 어간과 어근은 같은가요?
2.7. ‘맛있다’가 융합 합성어인가요?
2.8. ‘가늘어지다’는 단어인가요, 구인가요?
2.9. 조사 ‘로’와 ‘부터’가 결합하여 형성된 ‘로부터’는 왜 합성어가 아닌가요?
2.10. 왜 ‘소고기’를 ‘쇠고기’라고도 하나요?
2.11. ‘집에 갔다’에서 동사는 ‘갔다’인가요, ‘가-’인가요?
2.12. ‘만큼’은 왜 보조사가 아니라 격 조사인가요?
2.13. ‘은/는’은 왜 주격 조사가 아닌가요?
2.14. 서술격 조사는 조사 맞나요?
2.15. 조사가 단어인데 왜 조사가 결합한 단어는 없나요?
2.16. ‘잠을 잠이 좋겠다’에서 명사는 몇 개인가요?
2.17. 관형사는 혼자 쓰이지 못하는데도 왜 단어인가요?
2.18.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품사 통용은 어떻게 다른가요?
2.19. 불규칙은 왜 불규칙이고 불규칙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3. 활용과 곡용, 문장에 대한 Q & A
3.1. ‘제가 경솔했습니다.’는 두 번 높인 건가요?
3.2. ‘할아버지 연세가 많으시구나!’는 직접 높임인가요?
3.3. ‘좋은 추억을 품고 산다.’에서 어말어미는 몇 개인가요?
3.4. ‘그는 밥을 먹지를 않는다.’에서 ‘먹지를’의 ‘를’은 목적격 조사인가요?
3.5. ‘전기가 끊어지게 되다.’는 왜 적절하지 않나요?
3.6. ‘한 문장으로 쓰시오.’라고 할 때, ‘한 문장’의 정의는?
3.7. ‘너 두고 보자’에서 ‘보자’는 본용언인가요, 보조용언인가요?
3.8. ‘코끼리가 코가 길다.’는 왜 겹문장인가요?
3.9. ‘나는 영화가 슬퍼서 울었다.’는 서술절을 안은문장인가요?
3.10. ‘행복하세요.’가 맞는 표현인가요?
3.11. ‘그건 내가 알 바 아니야.’는 관형사절을 안은문장인가요?
3.12. ‘별이는 내가 다니던 학교에 다닌다.’에서
‘내가 다니던’은 ‘학교에’를 수식하나요, ‘학교’를 수식하나요? 323
3.13. ‘너와 나는 학생이다.’는 홑문장인가요, 겹문장인가요?
3.14. ‘엄마가 살을 빼기는 쉽지 않다.’는 어떻게 분석되나요?
3.15. ‘나는 나이지 네가 아니다.’는 대등하게 이어진문장 맞나요?
4. 반의어와 중의성에 대한 Q & A
4.1. ‘위:아래’는 상보 반의어인가요, 정도 반의어인가요?
4.2. ‘문제집을 풀고 있다.’는 왜 중의적인가요?
5. 훈민정음과 국어사에 대한 Q & A
5.1. 훈민정음 제자 원리 중에서 ‘합성’과 ‘합용’은 어떻게 다른가요?
5.2. 훈민정음의 이체자 ‘ㆁ, ㅿ, ㄹ’가 가획의 원리를 따른 자인가요?
5.3. 훈민정음에서 ‘ㆁ(옛이응)’과 ‘ㅇ’은 어떻게 다른가요?
5.4. 중세국어의 초성 ‘ㅺ’은 자음군인가요?
5.5. 향찰, 구결, 이두는 어떻게 구분되나요?
5.6. ‘제 ᄠᅳ들 시러 펴디’에서 ‘제’는 대명사인가요?
5.7. [낻까]의 표기가 왜 ‘낻가’가 아니고 ‘냇가’인가요?
5.8. 움라우트와 전설모음화는 같은 것인가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