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더 문법하고 싶은 문법

더 문법하고 싶은 문법

(국어 교사와 예비 교사를 위한 국어 문법 즉문즉답)

신승용, 안윤주 (지은이)
역락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600원 -7% 0원
6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더 문법하고 싶은 문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더 문법하고 싶은 문법 (국어 교사와 예비 교사를 위한 국어 문법 즉문즉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62445648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1-06-10

책 소개

문법은 사실을 밝히는 과정이기 때문에 당연히 학문적으로 이견이 있고, 논쟁이 있다. 그렇기에 가르치는 사람은 이견이 되는, 논쟁이 되는 지점 자체를 이해하고서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견이 있고, 논쟁이 되는 지점 자체를 이해하고 해당 내용을 가르칠 때, 학생들로 하여금 문법에 흥미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목차

음운과 음운 변동에 대한 Q&A
1.1. /ㅎ/은 거센소리인가요, 예사소리인가요?
1.2.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평파열음화가 같은 것인가요?
1.3. ‘괴’와 ‘궤’는 다른데 왜 발음이 같은가요?
1.4. 도대체 ‘교체’는 뭐고 ‘대치’는 또 무엇인가요?
1.5. ‘선릉’은 왜 [선능], [설릉] 두 가지 모두로 발음되나요?
1.6. 왜 ‘잣을’은 [자슬]로 발음하고, ‘잣알’은 [자달]로 발음하나요?
1.7. ‘내가 만들 빵은~’의 ‘만들[만들]’에서는 무엇이 탈락했나요?
1.8. ‘깻잎[깬닙]’에 ‘사잇소리 첨가’가 있지 않나요?

형태소와 단어에 대한 Q&A
2.1. ‘갔다’를 형태소 분석하면 ‘가+ㅆ+다’인가요, ‘가+았+다’인가요?
2.2. ‘공부시키다’가 사전에 없는데, 그러면 단어가 아닌가요?
2.3. 사동사는 모두 타동사이고, 피동사는 모두 자동사인가요?
2.4. ‘주세요’의 ‘요’가 보조사인데 어떻게 ‘-세요’가 어미일 수 있나요?
2.5. ‘착하다’의 어근 ‘착’을 사전에서 찾으면 ‘품사 없음’이라고 나오는데, 이게 무슨 말인가요?
2.6. ‘이게 뭐야’에서 ‘뭐’는 준말인데 왜 ‘이게’는 준말이 아닌가요?
2.7. 명사, 동사라고 하면 되지 왜 쓸데없이 체언, 용언이라고도 하나요?
2.8. 동사 ‘감다’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데 왜 가변어인가요?
2.9. ‘먹지 못하다’와 ‘옳지 못하다’의 ‘못하다’는 같은 ‘못하다’인데,
왜 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로 품사가 서로 다른가요?
2.10. ‘크다’는 품사 통용인데 왜 ‘높이’는 품사 통용이 아닌가요?
2.11. 두 어근이 ‘동사+형용사’인 합성어는 없나요?

활용과 곡용, 문장 구조에 대한 Q&A
3.1. 마침표가 없으면 문장이 아닌 건가요?
3.2. ‘부사어’는 없어도 되는데 ‘필수적 부사어’는 왜 꼭 있어야 하나요?
3.3. ‘넌 이제 큰일 났다.’는 미래 시제인가요, 과거 시제인가요?
3.4. “너 뭐 해?”는 설명 의문문인가요, 판정 의문문인가요?
3.5. ‘비가 소리도 없이 내린다.’는 부사절을 안은 안은문장인가요?
3.6. ‘오늘 날씨가 좋다.’는 홑문장인가요, 겹문장인가요?
3.7. ‘나는 네가 늘 건강하기를 원해.’에서 목적어는 무엇인가요?
3.8. ‘나는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한다.’는 명사절을 안은 안은문장인가요,
관형사절을 안은 안은문장인가요?
3.9. ‘나는 신발을 신고 밖에 나갔다.’는 이어진문장인가요, 안은문장인가요?
3.10. ‘곰과 호랑이가 손을 잡고 걸어간다.’에서
주격 조사 ‘가’는 ‘곰과 호랑이’에 결합한 거 맞나요?

의미에 대한 Q&A
4.1. ‘장끼’는 ‘꿩’을 전제하나요, 함의하나요?

국어사에 대한 Q&A
5.1. 8자가족용법은 소리대로 적은 표기법이 아니라는데, 왜 그런가요?
5.2. ‘놉ᄒᆞᆫ’은 재음소화가 아니라 단지 오분석한 오표기의 하나일 뿐이라고 하는데,
이게 무슨 말인가요?
5.3. 왜 ‘암병아리’가 아니고 ‘암평아리’인가요?
5.4. 중세국어에서는 주격 조사가 ‘이 ~ ㅣ ~ ø’ 세 개였나요?
5.5. 의도법 어미와 대상법 어미는 같은 건가요, 다른 건가요?
5.6. ‘王이 니ᄅᆞ샤ᄃᆡ’에서의 ‘샤’와 ‘海東六龍이 ᄂᆞᄅᆞ샤’에서의 ‘샤’는 같은 것인가요?
5.7. ‘가던 새 본다’(「청산별곡」)가 왜 의문문인가요?
5.8. ‘그는 그것은 소문이라고 말했다.’에서 ‘소문이다’가 왜 ‘소문이라’로 바뀌었나요?
5.9. ‘나의 살던 고향’에서 ‘살다’의 주어가 ‘내가’ 아니라 왜 ‘나의’인가요?

저자소개

신승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영천 출생 서강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 2004~현재까지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재직 『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태학사), 『학교문법 산책』(태학사), 『국어학 개론』(공저, 태학사), 『국어 음운론』(역락), 『문법하고 싶은 문법』(역락), 『쉽게 풀어 쓴 국어사 개론』(집문당) 등 다수 저서 출판.
펼치기
안윤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 국어 교사, (사)미래교실네트워크 이사 영남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문법교육전공) 미래엔 국어 교과서 교사용 자료집 집필(2017-2020) 대구 거꾸로교실 전문학습공동체 운영위원(2016-2022) 대구중등협력학습지원단(2017-2021) 주요 저서: 문법하고 싶은 문법(2020, 공저), 더 문법하고 싶은 문법(2021, 공저), 맞춤법하고 싶은 맞춤법(2022, 공저)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7425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