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경집전변정 2

시경집전변정 2

심대윤 (지은이), 성원규, 윤은숙, 김형석 (옮긴이)
학자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경집전변정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경집전변정 2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91162472163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1-06-24

책 소개

<시경집전변정>은 심대윤이 주희의 <시경집전(詩經集傳)>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자신의 견해를 제시한 책. 시 311수 전체를 대상으로, 기존 학자들의 주석에 얽매이지 않고 철저하게 재검토하여 일관된 관점에서 시를 이해하였다.

목차

정鄭∙13
치의緇衣∙13
장중자將仲子∙16
숙우전叔于田∙20
대숙우전大叔于田∙23
청인淸人∙27
고구羔裘∙31
준대로遵大路∙34
여왈계명女曰鷄鳴∙36
유녀동거有女同車∙39
산유부소山有扶蘇∙40
탁혜蘀兮∙42
교동狡童∙43
건상褰裳∙44
봉丰∙46
동문지선東門之墠∙48
풍우風雨∙51
자금子衿∙52
양지수揚之水∙55
출기동문出其東門∙58
야유만초野有蔓草∙61
진유溱洧∙63

제齊∙68
계명鷄鳴∙68
선還∙71
저著∙73
동방지일東方之日∙76
동방미명東方未明∙78
남산南山∙80
보전甫田∙83
노령盧令∙86
폐구敝笱∙87
재구載驅∙89
의차猗嗟∙92

위魏∙97
갈구葛屨∙98
분저여汾沮洳∙100
원유도園有桃∙103
척호陟岵∙108
십무지간十畝之間∙110
벌단伐檀∙112
석서碩鼠∙116

당唐∙121
실솔蟋蟀∙121
산유추山有樞∙125
양지수揚之水∙128
초료椒聊∙133
주무綢繆∙135
체두杕杜∙139
고구羔裘∙141
보우鴇羽∙143
무의無衣∙145
유체지두有杕之杜∙151
갈생葛生∙152
채령采苓∙158

진秦∙162
거린車鄰∙165
사철駟驖∙170
소융小戎∙173
겸가蒹葭∙179
종남終南∙182
황조黃鳥∙184
신풍晨風∙186
무의無衣∙189
위양渭陽∙191
권여權輿∙193

진陳∙195
완구宛丘∙196
동문지분東門之枌∙198
횡문衡門∙203
동문지지東門之池∙204
동문지양東門之楊∙206
묘문墓門∙207
방유작소防有鵲巢∙208
월출月出∙210
주림株林∙212
택피澤陂∙213

회檜∙216
고구羔裘∙216
소관素冠∙219
습유장초隰有萇楚∙220
비풍匪風∙222

조曹∙225
부유蜉蝣∙225
후인候人∙227
시구鳲鳩∙230
하천下泉∙233

빈豳∙237
칠월七月∙238
치효鴟鴞∙249
동산東山∙252
파부破斧∙256
벌가伐柯∙259
구역九罭∙260
낭발狼跋∙262

소아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266
녹명鹿鳴∙266
사모四牡∙269
황황자화皇皇者華∙273
상체常棣∙276
벌목伐木∙280
천보天保∙285
채미采薇∙290
출거出車∙294
체두杕杜∙299
남해南陔∙301

백화지십白華之什∙302
백화白華∙302
화서華黍∙302
어리魚麗∙304
유경由庚∙307
남유가어南有嘉魚∙307
숭구崇丘∙310
남산유대南山有臺∙311
유의由儀∙314
육소蓼蕭∙315
잠로湛露∙317

詩經集傳辨正2 校勘ㆍ標點

國風
鄭……325
緇衣……325
將仲子……326
叔于田……328
大叔于田……329
淸人……331
羔裘……333
遵大路……334
女曰鷄鳴……335
有女同車……337
山有扶蘇……338
蘀兮……339

狡童……339
褰裳……340
丰……341
東門之墠……342
風雨……344
子衿……345
揚之水……346
出其東門……347
野有蔓草……348
溱洧……350

齊……352
鷄鳴……352
還……353
著……354
東方之日……356
東方未明……357
南山……358
甫田……359
盧令……360
敝笱……361
載驅……362
猗嗟……364

魏……366
葛屨……366
汾沮洳……367
園有桃……368
陟岵……370
十畝之間……371
伐檀……372
碩鼠……374

唐……376
蟋蟀……376
山有樞……378
揚之水……379
椒聊……381
綢繆……382
杕杜……383
羔裘……384
鴇羽……385
無衣……387
有杕之杜……388
葛生……389
采苓……391

秦……393
車鄰……394
駟驖……396
小戎……397
蒹葭……399
終南……401
黃鳥……402
晨風……403
無衣……405
渭陽……406
權輿……407

陳……408
宛丘……408
東門之枌……409
衡門……411
東門之池……412
東門之楊……413
墓門……413
防有鵲巢……414
月出……415
株林……416
澤陂……417

檜……419
羔裘……419
素冠……420
隰有萇楚……421
匪風……422

曹……424
蜉蝣……424
候人……425
鳲鳩……426
下泉……428

豳……430
七月……430
鴟鴞……434
東山……436
破斧……438
伐柯……440
九罭……440
狼跋……442

小雅
鹿鳴之什………444
鹿鳴……444
四牡……446
皇皇者華……447
常棣……449
伐木……451
天保……453
采薇……455
出車……458
杕杜……460
南陔……461

白華之什……462
白華……462
華黍……462
魚麗……462
由庚……464
南有嘉魚……464
崇丘……465
南山有臺……465
由儀……467
蓼蕭……467
湛露……469

저자소개

심대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06(순조 2)년~1872(고종 9)년. 정약용에 이어 19세기를 대변하는 실학 사상가이다. 자(字)는 진경(晉卿), 백운(白雲)은 그의 호이다. 영의정 심수현(沈壽賢), 부제학 심악(沈)을 배출한 그의 가계는 소론의 명문에 속했으나, 심악이 당화로 억울하게 처형을 당한 이후 폐족 상태에 놓였다. 심악의 증손자로 태어난 그는 평생 경기도 안성에서 살았다. 안성은 당시 상공업의 중심지였던바 이곳에서 생존을 위해 수공업에 종사하고 약국도 경영하면서, 학문 연구에 주력해 독특한 사상을 수립하였다. 인간의 욕망과 이익의 추구를 옹호한 점이 특이한데, 공공성을 아울러 사고했다. 그의 학문은 경학에 중심을 두었고, 사상의 이론적 전개는 주로 산문에서 실현되었다. 그의 사상은 다가오는 시대에 대응하는 논리로서 높이 평가할 수 있겠다. 하지만 당대에는 수구적·폐쇄적 정신 풍토에서 제빛을 보지 못해 사장되어야만 했고,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비로소 <심대윤 전집>이 발간되기에 이르렀다. <심대윤 전집>은 영인본으로 한문 원전 그대로인데, 지금 이 <백운집>은 그의 삶의 고뇌와 함께 사상의 정수가 담긴 내용으로 현대 독자들이 읽기 쉽게 번역하고 주석을 붙인 것이다.
펼치기
성원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단국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 석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고전번역교육원 연수부 과정을 졸업하고, 현재 해동경사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윤은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7년 인천에서 태어났다. 덕성여대 경영학과와 방송통신대 중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연수부와 일반연구부 과정을 마치고 현재 해동경사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자치통감강목(4-14)〉(공역)이 있다.
펼치기
김형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전자공학과 중어중문학을 공부하였고, 한국고전번역원 연수부를 졸업하였다. 현재 해동경사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시경집전변정(詩經集傳辨正)》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