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재난고의 풍경과 서정

이재난고의 풍경과 서정

이상봉 (지은이)
학자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재난고의 풍경과 서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재난고의 풍경과 서정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91162472781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22-08-31

목차

책을 펴내며/5
일러두기/8

제1부 길 위를 떠돌던 시골 천재
제1장 천재 소년의 포부 17
세상에 도움이 되겠다는 포부 18
과거 시험에 대한 갈등과 반성 35

제2장 노론의 큰 어른 김원행의 제자가 되다 46
첫 번째 만남, 윗세대의 인연을 강조 47
두 번째 만남, 자기 PR과 진정성의 부각 56
세 번째 만남, 김원행과 사제관계를 맺다 61

제3장 인맥을 위해 민어를 주고받다 65
<이재난고>에 나타난 민어 수수의 양상 66
민어를 왜 주고 받았을까? 68
1. 스승에게 드리는 예물 68
2. 고마움에 대한 사례 70
3. 문벌가문 출신 지인과 교유를 위한 선물 72
4. 공적인 추천을 부탁하는 선물 80

제4장 현감: 봉양과 입신을 위하여 86
치국治國과 봉양을 위한 최선의 선택 88
목천과 전의의 현감이 되다: 현감이 된 기쁨과 성찰 96
현감 파직 이후: 감사와 경계 100

제5장 공직에 남을까? 집으로 돌아갈까? 110
공적인 생활 자세 유지 111
집착의 제거와 삶에 대한 여유 118
끝없는 노력과 초심의 회복 123

제6장 「월주가」에 담은 가족사랑 131
객客으로서의 삶과 부모님 132
친구 같은 남동생과 가련한 누이들 141
헌신적인 아내와 사랑스런 자식들 146

제7장 평생의 후원자였던 고마운 아내 156
혼례 무렵의 정황과 아내를 노래한 시 158
세상을 떠난 아내에 대한 추모 163
소실에 대한 애정과 고마움 168

제2부 한시에 나타난 아쉬움과 그리움
제1장 문학적 환경과 시론詩論 177
황윤석의 문학적 환경 178
「고주집서」에 나타난 문학관 185

제2장 풍신의 의미는 무엇일까? 190
풍신에 대한 기존의 해석들 191
‘풍신’을 이용한 비평 양상: 호응린과 이익의 경우 198

제3장 흥상의 의미는 무엇일까? 212
흥상에 대한 기존의 해석들 213
흥상: 시상詩想의 끝없는 광대함 219

제4장 황윤석의 풍신·흥상 활용법 230
황윤석 한시의 풍신 활용양상 230
1. 문학 작품의 내적·외적인 요소가 잘 어우러진 경우 232
2. 작가의 정신이나 기질이 작품 속으로 들어간 경우 239
황윤석 한시의 흥상 활용양상 245
1.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묘사 245
2. 나그네의 먼 길을 묘사 247
3. 지인知人에 대한 걱정과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 249

제5장 황윤석의 두보시어 활용법 253
두보시어의 범위 254
1. 상용어 255
2. 두보가 사용한 전고 256
3. 두보가 창작한 시어 259
황윤석 한시의 두보시어 활용 263

제6장 황윤석 한시에 나타난 ‘객客’의 이미지 284
한시 속 ‘객客’의 용례 285
1. <시경>의 경우: 손님 285
2. <초사>의 경우: 임금과 떨어져 있음 288
3. <당시삼백수>의 경우: 고향 떠난 나그네·손님·사람 289
4. <동문선>의 경우: 고향 떠난 나그네·손님·사람·별이름 290
황윤석의 ‘객客’ 이미지 활용양상 292

제7장 ‘사絲’자로 묘사한 늙음과 그리움 309
주요서적 속 ‘사絲’ 이미지의 의미 310
<동문선>에서 쓰인 ‘사絲’ 이미지의 의미 313
1. 하얗게 센 귀밑머리를 비유 314
2. 현악기를 비유 315
3. 버드나무 가지를 비유 316
4. 임금의 조칙을 비유 317
5. 빗줄기·낚싯줄의 비유 319
황윤석의 ‘사絲’ 이미지 활용양상 321
1. 전대의 비유방식을 그대로 계승한 경우 321
2. 앞선 시대의 방식에 변화를 주거나 독창성을 발휘한 경우 327

참고문헌/336

저자소개

이상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쳤다. 석사 과정 중에 이재난고 역주사업단에서 일하면서 호남 지식인 황윤석을 처음 알게 되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황윤석의 한시를 대상으로 석·박사 논문을 썼다. 이후에도 황윤석을 비롯해 부산 지역 한시·《시경》 등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저역서에 《역주 이재난고》(전20권, 공저, 2015), 《이재난고의 풍경과 서정》(2022), 《이재 시선 1》(2022) 등이 있고, 주요 논문에 〈청년 황윤석의 한시에 나타난 경세(經世) 포부와 자기반성〉(2014), 〈황윤석 한시에 나타난 가족애의 양상−〈월주가〉를 중심으로〉(2015), 〈황윤석과 민어(民魚), 그 수수(授受)의 의미〉(2015), 〈이재 황윤석 한시의 두보 시어 활용 양상〉(2015), 〈이재 황윤석의 아내와 소실(小室)에 대한 사랑〉(2016), 〈이재 황윤석 한시의 ‘사(絲)’ 의상(意象) 운용 양상〉(2017), 〈흥상(興象)의 구체적 의미에 대한 연구〉(2018), 〈‘풍신(風神)’의 용례에 대한 일고(一考)〉(2020), 〈〈관저(關雎)〉의 수용 양상과 주요 논의에 관하여〉(2020), 〈〈녹명(鹿鳴)〉의 수용 양상과 주요 논의에 관하여〉(2020), 〈해운대의 추억−한시에 형상화된 해운대〉(2021), 〈현감직에 대한 황윤석의 갈망과 소회〉(2022), 〈부산 동래의 기억−정추의 동래 회고(東萊懷古)에 대하여〉(2022), 〈《시경(詩經)》·〈종사(螽斯)〉의 활용 양상에 대해서〉(2023) 등이 있다. 현재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과 한문학과에서 교양과 전공 강의를 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