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말 사대부 27인의 편지, 우경 안정구 선생 간찰집

조선말 사대부 27인의 편지, 우경 안정구 선생 간찰집

안필형, 안재식 (엮은이), 박상수 (역주)
학자원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0,000원 -0% 0원
2,500원
47,500원 >
5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5,000원
4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5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말 사대부 27인의 편지, 우경 안정구 선생 간찰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말 사대부 27인의 편지, 우경 안정구 선생 간찰집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62472859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3-01-10

책 소개

안재식 작가의 증조부 우경 안정구 선생이 충주영장(1879~1880)을 지낼 때, 조선말 국정에 참여한 주요인물 27명에게서 받은 32통의 친필 편지를 한데 모아 엮은 간찰집이다. 더욱이 이름만 대면 대뜸 알 수 있는 역사상 저명인사 다수의 간찰을 한꺼번에 출간한다는 것은 매우 희귀한 일로 이례적이다.

목차

-간행사(이 책을 펴내며) ..005
-헌시 ..008
-축간사(발간을 축하하며) ..011
-간찰집 수록 인물 색인표 ..014
-우경 안정구 선생의 생애 ..017
-종환 안필형 선생의 생애 ..029
*간찰문 발신인
-김병국 金炳國 ..039
-민겸호 閔謙鎬 ..053
-민태호 閔台鎬 ..065
-이재면 李載冕 ..071
-김병주 金炳㴤 ..077
-○수종 ○壽鍾 ..083
-민영익 閔泳翊 ..089
-홍재현 洪在鉉 ..095
-김흥균 金興均 ..101
-김경균 金敬均 ..107
-조용훈 趙龍鑂 ..113
-조신희 趙臣熙 ..119
-이태용 李泰容 ..125
-민영환 閔泳煥 ..137
-민영준 閔泳駿 ..143
-이경하 李景夏 ..149
-김기석 金箕錫 ..155
-허습 許熠 ..161
-이봉의 李鳳儀 ..167
-박장하 朴長夏 ..173
-심상기 沈相耆 ..179
-김제봉 金濟鳳 ..195
-이명현 李明鉉 ..207
-이두현 李斗鉉 ..215
-심능호 沈能灝 ..221
-정약풍 丁若豊 ..227
-심윤택 沈胤澤 ..233
-부록〈죽산안씨대교공파종중〉 ..240
숭조비・세장비・유사비・공덕비・설단 분포도
용인 선영 세장비문 해설, 항렬표, 역대 족보 등
-안재식 작가 프로필 ..261
참고문헌

저자소개

안재식 (엮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이 죽산(신)이고, 호는 소정(小亭)이다. 충주영장(忠淸道後營將), 삭주부사(朔州都護府使)를 지낸 우경 안정구(禹卿 安珽求)의 증손이며, 종환 안필형(鍾煥 安珌炯)의 아들이다. 시인・작가・작사가로 (사)한국녹색교육협회 이사장, 한국녹색문학회 회장으로 1981년부터 30여 년간 전국학생 독후감공모대회를 개최하였고, 한국녹색문학상을 제정하여 시상하는 등 환경운동과 독서교육에 매진하였다. 중랑문화원 중랑문학대학 부학장 겸 지도교수로 수백 명의 문인들을 문단에 배출한 교육자며, 현재도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문인이다. 한국문인협회 편집위원, 국제PEN한국본부 자문위원, 「소정문학」동인이다. 시가곡으로 〈그리운 사람에게〉등 20여 곡이 있고, 저서로는 《야누스의 두 얼굴》, 《설화의 고향, 중랑》, 《설화에게 길을 묻는다》 등 20여 권이 있다.
펼치기
안필형 (엮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이 죽산(신)이고, 호는 종환(鍾煥)이다. 충주영장(忠淸道後營將), 삭주부사(朔州都護府使)를 지낸 우경 안정구(禹卿 安珽求)의 장손이다. 창씨개명(創氏改名)을 하지 않은 민족주의자며, 한학자로서 여러 권의 시문집과 묵첩, 연구서 등을 저술했다.
펼치기
박상수 (역주)    정보 더보기
주요 학력 단국대학교 한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한국고전번역원 연수부 및 일반연구부 수료 국사편찬위원회 초서 기초과정 및 고급과정 수료 溫知書堂 한문 수학 주요 경력 단국대학교 한문교육과 강사(前)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전문위원(前) 한국한문학회 출판이사(前)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사무국장(前) 전통문화연구회 연구위원(前) 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번역연구실 책임연구원·실장(現) 저 역 서 《간찰, 선비의 일상》, 《고시문집古詩文集》, 《다천유고茶泉遺稿》, 《붓 끝에 담긴 향기》, 《구소수간歐蘇手簡》, 《동국명현유묵東國名賢遺墨》, 《동작금석문집銅雀金石文集》, 《미국 와이즈만 미술관 한국 문화재 도록》, 《사문수간師門手簡》, 《사상세고沙上世稿》, 《서포일기西浦日記》, 《아언각비雅言覺非》, 《습재집習齋集》, 《오가보첩吾家寶帖》, 《왕양명 집안 편지》, 《율곡 친필 격몽요결》, 《주자, 스승 이통과 학문을 논하다》, 《초간독草簡牘》, 《퇴계 편지 백 편》, 《항전척독杭傳尺牘》, 《한문독해첩경-문학편》, 《한문독해첩경-사학편》, 《한문독해첩경-철학편》, 《중국의 음식디미방》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왕조의 몰락과 한일합병, 일제강점기, 광복과 분단, 한국동란 등등... 격변의 시절을 지내며 144년간이나 서첩을 원형(原形) 그대로 보존하여 대(代)를 이어 전승하고, 출간까지 한다는 것은 가문의 긍지와 지극한 정성이 아니면 불가능한 일이다.


간찰문을 살펴보면, 우경 안정구 선생이 큰아들(安東璨)의 장래를 염려하여 길을 터주려는 가슴 찡한 부성애가 편지 곳곳에 나온다. 그리고 당시 이조참판 민태호는 ‘상제(喪制)를 당하여 애통한 마음이 더욱 절실하지만 죽은 사람을 따라가지 못하는 슬픔’을 하소연하는가 하면, 금군별장(종2품, 경호실장급) 허습은 ‘상주인 처지에 완악한 목숨을 구차하게 보존하고 있지만 초(燭)를 구하기가 매우 어려우니 급히 은혜를 베풀어 달라.’고 딱한 사정을 전한다.


형조판서 홍재현은 ‘왕대비를 10여 년간 모시며 명을 전달하던 정지사가 아랫사람에게 치욕을 당했으니 그 분함을 풀어달라.’ 그리고 포도대장 김기석은 ‘이웃 마을 임상서 어른의 집안 사정을 전하며 독촉을 늦추어 체면을 살려달라.’는 청탁도 나온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