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91162473450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 5
제1장 서론 :문제제기―17세기 상주사족의 프리즘, 목재 홍여하 13
1. 연구 목표와 성과 검토 13
2. 연구 대상과 서술 방향 23
제2장 지역사족으로서의 위상과 지향 31
1. 상주尙州의 지역적 특징과 목재 31
2. 가학과 사승師承, 그리고 교유交遊46
1) 가학46
2) 사승師承55
3) 교유交遊72
3. 재호齋號의 전변轉變과 지향의 변화 87
제3장 삶의 지향에 따른 시세계 추이 103
1. 계곡谿谷의 시기: 지식인으로의 성장과 세태 비판 105
1) 다독多讀, 적독積讀과 학문에 대한 의지105
2) 세태 비판과 지식인으로의 자세122
2. 목재木齋의 시기: 환로의 참여와 내적 검속의 표출 139
1) 동료에 대한 그리움과 참여의 의지140
2) 환로의 좌절과 내적 검속의 표출158
3. 산택재山澤齋의 시기: 고향으로의 회귀와 사람에 대한 관심 169
1) 교우交友와의 소통과 결속 의식 170
2) 서원과 강학을 통한 학풍 진작振作184
4. 존성재尊性齋의 시기: 전원에서의 한적閑寂과 안분安分203
1) 전원의 일상에서 한적閑寂의 정취203
2) 만년의 반성과 안분安分의 정서 215
제4장 시세계의 특징적 국면과 의미 225
1. 도학적 사유와 실천적 수양의 추구 225
2. 자연에 대한 완상을 통한 치유의 모색 242
3. 탁행卓行에 대한 공론화와 현세적 구현 의지 253
4. 산문적 리듬에 의지한 상실감의 서사화 268
제5장 결론: 상주 한문학의 이해를 위하여 285
제6장 부록 295
1. 조선시대 시화집 소재 퇴계 시 비평 연구 295
1) 머리말 295
2) 시화집에 수록된 퇴계 시 비평297
3) 퇴계 시 비평의 양상303
4) 시화집 속 퇴계 시 비평의 특징314
5) 맺음말 317
2. 상주尙州 경천대擎天臺와 시적 공간으로서의 의미 318
1) 들어가며 318
2) 경천대: 채득기와의 만남320
3) 선유船遊에의 염원과 연대적 소통의 공간 328
4) 기억으로 소환된 우담雩潭과 은일의 공간 335
5) 맺음말을 대신하여-유흥幽興을 너머를 상상하다 340
3. 예천읍지 [축산승람竺山勝覽]에 소재한 한시漢詩와 그 성격 358
1) 들어가며 358
2) [축산승람]의 간행과 구성360
3) [축산승람]의 구성 및 내용365
4) [축산승람]의 한시 수록 현황 369
5) [축산승람]소재한 한시의 성격374
6) 나가며 392
4. 가암可庵 전익구全翼耈의 삶과 시세계 394
1) 들어가며 394
2) 전익구의 가계와 생애 396
3) 전익구의 시세계400
4) 나가며 423
참고문헌 / 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