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목재 홍여하의 창작공간과 서정

목재 홍여하의 창작공간과 서정

최금자 (지은이)
학자원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목재 홍여하의 창작공간과 서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목재 홍여하의 창작공간과 서정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91162473450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한 사람이 일평생 품고 살아온 뜻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는 것 가운데 하나가 재호이며, 중요한 작품의 창작 공간이 된다. 목재는 인생 역정을 따라가며 ‘계곡谿谷’, ‘목재木齋’, ‘산택재山澤齋’, ‘존성재尊性齋’ 등 몇 차례 거처에 재호를 걸었다.

목차

책을 펴내며 / 5

제1장 서론 :문제제기―17세기 상주사족의 프리즘, 목재 홍여하 13
1. 연구 목표와 성과 검토 13
2. 연구 대상과 서술 방향 23

제2장 지역사족으로서의 위상과 지향 31
1. 상주尙州의 지역적 특징과 목재 31
2. 가학과 사승師承, 그리고 교유交遊46
1) 가학46
2) 사승師承55
3) 교유交遊72
3. 재호齋號의 전변轉變과 지향의 변화 87

제3장 삶의 지향에 따른 시세계 추이 103
1. 계곡谿谷의 시기: 지식인으로의 성장과 세태 비판 105
1) 다독多讀, 적독積讀과 학문에 대한 의지105
2) 세태 비판과 지식인으로의 자세122
2. 목재木齋의 시기: 환로의 참여와 내적 검속의 표출 139
1) 동료에 대한 그리움과 참여의 의지140
2) 환로의 좌절과 내적 검속의 표출158
3. 산택재山澤齋의 시기: 고향으로의 회귀와 사람에 대한 관심 169
1) 교우交友와의 소통과 결속 의식 170
2) 서원과 강학을 통한 학풍 진작振作184
4. 존성재尊性齋의 시기: 전원에서의 한적閑寂과 안분安分203
1) 전원의 일상에서 한적閑寂의 정취203
2) 만년의 반성과 안분安分의 정서 215

제4장 시세계의 특징적 국면과 의미 225
1. 도학적 사유와 실천적 수양의 추구 225
2. 자연에 대한 완상을 통한 치유의 모색 242
3. 탁행卓行에 대한 공론화와 현세적 구현 의지 253
4. 산문적 리듬에 의지한 상실감의 서사화 268

제5장 결론: 상주 한문학의 이해를 위하여 285

제6장 부록 295

1. 조선시대 시화집 소재 퇴계 시 비평 연구 295
1) 머리말 295
2) 시화집에 수록된 퇴계 시 비평297
3) 퇴계 시 비평의 양상303
4) 시화집 속 퇴계 시 비평의 특징314
5) 맺음말 317
2. 상주尙州 경천대擎天臺와 시적 공간으로서의 의미 318
1) 들어가며 318
2) 경천대: 채득기와의 만남320
3) 선유船遊에의 염원과 연대적 소통의 공간 328
4) 기억으로 소환된 우담雩潭과 은일의 공간 335
5) 맺음말을 대신하여-유흥幽興을 너머를 상상하다 340
3. 예천읍지 [축산승람竺山勝覽]에 소재한 한시漢詩와 그 성격 358
1) 들어가며 358
2) [축산승람]의 간행과 구성360
3) [축산승람]의 구성 및 내용365
4) [축산승람]의 한시 수록 현황 369
5) [축산승람]소재한 한시의 성격374
6) 나가며 392
4. 가암可庵 전익구全翼耈의 삶과 시세계 394
1) 들어가며 394
2) 전익구의 가계와 생애 396
3) 전익구의 시세계400
4) 나가며 423

참고문헌 / 426

저자소개

최금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에서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7세기 영남 지역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공부하고 있으며 1차적으로 지역 고전 가운데 상주, 문경 지역 한문학의 전개 양상과 의미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지금은 경북 포항에서 시우고전연구회를 운영하고 있다. 역서로 《목재 시선(木齋詩選)》, 《가암 시집(可庵詩集)》(공)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목재 홍여하의 한시 연구〉, 〈목재 홍여하의 〈술회(述懷)〉 시에 반영된 사회 현실〉, 〈조선 시대 시화집 소재 퇴계 시 비평 연구〉, 〈목재 홍여하의 교유 양상 연구〉, 〈상주 경천대와 시적 공간으로서의 의미〉, 〈가암 전익구의 삶과 시 세계〉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