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62544075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목차
저자의 글 | 잠자고 있는 나의 연금을 깨워야 할 때
준비 운동 | 연금, 얼마나 알고 있나요?
제1장 노후 준비, 한 살이라도 일찍 시작할수록 좋다
직장인 N년 차, 나의 현재 자산은 얼마인가?
국가는 당신의 노후를 책임지지 않는다
안정적 노후는 연금에 달려 있다
‘연금 계산기’로 노후자산 점검하기
Q&A | 직장인들이 가장 알고 싶어하는 투자 지식 15가지
제2장 알고 시작하면 수익률이 2배가 되는 연금투자 필수 지식
노후를 바꾸는 3층 연금 시스템
1층 기초생활을 보장하는 국민연금
2층 안정적인 생활을 책임지는 퇴직연금
3층 여유로운 노후를 위한 개인연금
다양한 연금 선택지, 무엇이 나에게 맞을까?
3층 연금을 쌓아야 노후가 편하다
퇴직연금 투자의 3대 원칙 : 장기투자, 복리, 분산투자
Q&A | 직장인들이 연금제도에 대해 가장 궁금해하는 29가지
제3장 노후도 준비하고 자산도 늘리는 연금 투자 따라하기
세상의 모든 투자, 대신 시뮬레이션 해본다면?
연금 계좌로 ETF 투자가 가능하다!
ETF 200% 활용법
실전! 퇴직연금 계좌 개설하기 1 은행 앱 편
실전! 연금저축 계좌 개설하기 2 로보어드바이저 앱 편
Q&A | 연금 투자자들이 직접투자할 때 가장 알고 싶어하는 13가지
제4장 누구보다 현명하게! 효과적인 분산투자 전략
수익률 높이는 자산배분의 원칙
안정적인 수익이 중요한 이들을 위한 자산배분 전략
Q&A | 연금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헷갈리는 투자 지식 11가지
제5장 연금에 꼭 필요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이해하기
검증된 자산배분 전략을 찾아서
클래식한 투자를 원한다면 전통적 자산배분
자산을 삼등분하는 ‘유대인 삼분법’ 포트폴리오
경제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퍼머넌트’ 포트폴리오
성장 잠재력을 강화한 ‘골든 버터플라이’ 포트폴리오
사막에서도 살아남는 지혜 ‘데저트’ 포트폴리오
폭풍우에도 끄떡없는 ‘올웨더’ 포트폴리오
주식시장의 성장을 믿는 ‘워런 버핏의 9:1’ 포트폴리오
거주 국가별 경제 상황을 반영한 ‘예일대 기금형’ 포트폴리오
리스크를 낮추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리스크패리티 동적자산배분
Q&A | 연금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가장 궁금해하는 5가지
제6장 검증된 전략으로 안정적인 수익 만드는 AI 자동투자
초보투자자가 시장을 이기는 가장 확실한 방법
연금 투자의 대안, AI·퀀트 투자 이해하기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한 나만의 투자 포트폴리오 만들기
Q&A | 연금 투자자들이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해 가장 많이 묻는 11가지
에필로그 | 퇴직연금은 우리의 유일한 희망이다
참고 자료
리뷰
책속에서
노후 준비를 시작하는 첫걸음은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수치화하는 것이다. “나는 지금 얼마나 준비가 되어 있을까?”라는 물음은 곧 “노후를 위해 얼마의 종잣돈이 필요하며, 목표 금액을 달성하기 위해 매달 얼마나 납입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이를 돕기 위해 ‘연금 계산기’를 활용해 보자. 이 계산기를 활용하면 현재 노후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한 금액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오른쪽 QR 코드로 들어가
‘연금계산기’를 찾아 사용하면 된다.
연금계산기는 DC형, IRP, 연금저축, 국민연금을 포함한 총 연금 예상 수령액을 계산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연금계좌의 잔고 추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은퇴 이후 계좌 고갈 시점과 희망 고갈 시점을 비교하고, 목표 금액 달성을 위한 연간 납입금도 산출할 수 있다.
_제1장 노후 준비, 한 살이라도 일찍 시작할수록 좋다
한국의 공적연금 소득 대체율은 31.2% 정도다. 스웨덴 같은 복지 강국의 62.3%의 비율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게다가 OECD 가입국 평균 소득 대체율인 50.7%에 크게 못 미친다.
(...) 우리는 이제 미래를 위해서 눈앞의 달콤한 사탕을 참고 내일을 준비해야 할 때다. 퇴직금 계좌를 인출 없이 지속적으로 운영하면서 여유자금이 생길 때마다 추가로 납입해서 최대한 두둑하게 만들어 두고, 낮은 국민연금 퇴직연금 보험료율을 감안해 개인연금인 연금저축에 추가 적립을 통해 자금 규모를 늘리며, 공무원들처럼 적립비중을 늘려 노후 연금을 좀 더 든든하게 채울 수 있도록 애써야 하는 것이다.
_제2장 알고 시작하면 수익률이 2배가 되는 연금투자 필수 지식
시계열 장기 데이터를 통해 우리는 또 하나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현금성 자산이나 채권, 주식 중 어느 자산이 훨씬 투자가치가 있는가 하는 점이다. 즉 수익률과 리스크 두 가지 측면에서 승자는 어느 쪽인가?
먼저, 데이터를 살펴보자. 오른쪽 도표는 장기 시계열 데이터에서 도출된 각 자산군의 수익률이다. 평균을 중심으로 96년간 장기 데이터의 연간 최대 수익률과 최소 수익률을 살펴보면, 주식은 단연코 평균도 높고 변동성도 높다. 전형적인 고위험 고수익 상품인 것이다.
지난 96년간 주식은 연평균 9.8% 상승했지만 하락이 심한 해에 -43.84%의 손실을 내기도 했다. 전체에서 27%(26회)에 해당하는 기간에 손실을 기록했고 연간 -10% 이상의 손실이 발생한 해도 12회, -20% 이상의 손실이 발생한 해도 6회나 된다.
반면, 채권(10년 만기 국채)은 평균 수익률이 4.57%이고 최대로 떨어진 해에도 손실이 -17.83%에 불과하다. 전체에서 19회 손실이 발생했지만 연간 -10%를 넘는 손실이 발생한 해는 단 2회뿐이다.
현금성 자산도 마찬가지다. 평균 수익률은 3.3%에 불과하지만, 연간 손실이 마이너스인 해는 단 1회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 결과야말로 우리가 꼭 참고해야 할 자산배분의 교훈이다.
_제4장 누구보다 현명하게! 효과적인 분산투자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