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취업/진로/유망직업 > 해외취업/이민/유학.연수
· ISBN : 9791162620656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5-08-12
책 소개
목차
발간사 4
미래를 향한 새로운 항로를 열며
한규섭
책을 엮으며 7
선택의 순간, 여러분은 혼자가 아닙니다
염선영
제1부
태평양을 건넌 의사들이
태평양을 건널 의사들에게
미국 진출을 꿈꾸는 당신에게 주는 선배들의 진솔한 조언
진정한 나로 살아가기 21
오무연 | 재활의학과 전문의, 병원 경영자, 전 의학교육자
속도가 아닌 방향, 스펙이 아닌 나 27
천효림 | 내과 전문의, 의학 교육자
미국 개원의의 현실 38
이도은 | 내분비내과 전문의, 개원의
한 의사의 솔직한 이민 이야기 43
익명 | 감염내과 전문의
꿈을 향한 도전의 여정 50
박종철 | 종양내과 전문의
연구와 임상 사이, 미국 의학계 진출을 위한 현실적 조언 56
김태곤 | 종양내과 전문의
낯선 땅에서 꺼낸 가장 깊은 나 69
박은경 | 핵의학과 전문의
중년의 새로운 도전, 한국 전문의의 미국 의사 생활 84
이정림 | 소아마취과 전문의
어둠 속에서도 길을 찾아서 90
익명 | 내과 교수
두려움을 넘어서 98
곽호중 | 기초의학 교수
열정과 공감 104
채영광 | 종양내과 전문의
다시 시작하는 용기, 두 번째 전공의 109
이주영 | 한·미 소아정신과 전문의, 대학병원 임상강사
캐나다에서 의사로 살아보니 123
김태경 | 영상의학 전문의
제2부
미국 의사 시험 및 ECFMG Certificate
염선영
개요 145
시험 지원 148
USMLE Step 1 152
USMLE Step 2 CK(Clinical Knowledge) 165
OET Medicine 175
Pathway 1 and ECFMG Certification 185
USMLE Step3 190
제3부
미국 전공의 지원 가이드
(감수: 오무연)
미국 전공의 지원 시스템 안내 205
염선영, 천효림
ERAS 서류의 유기적 연결: 완벽한 마케팅 전략 219
염선영
이력서의 진짜 역할: 당신의 업무 능력을 예측하는 도구 233
염선영, 천효림
추천서의 진짜 역할: 인격 보증서 242
염선영
인터뷰의 본질: 함께 일할 수 있는 사람인지 확인하는 것 251
염선영, 천효림
제4부
Personal Statement는
자기소개서?
지원 동기 및 목표 진술서(Personal Statement) 265
이주영
PS가 당신의 인생을 바꾼다 273
염선영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 289
염선영
그것이 알고 싶다 1
나도 할 수 있을까?’ 298
자기 평가와 준비 전략
그것이 알고 싶다 2
미국 비자와 영주권 304
이주영
부록
후배가 묻고
선배가 답하다
후배가 묻고 선배가 답하다 1
공통 관심사 Q&A 315
후배가 묻고 선배가 답하다 2
전공의 지원 관련 Q&A 322
저자소개
책속에서
작년 한 해 동안 100명이 넘는 후배들의 문의를 받으면서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들의 ‘족보’에 USMLE 시험 정보는 최신 트렌드를 잘 반영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쉽게 접할 수 있는 여러 지원 경험담과 정착 후기는 대부분 막 지원에 성공했거나 정착한 지 얼마 안 된 따끈따끈한 당사자들의 경험담이었습니다. 지원자의 시각에서 쓰인 이런 후기들을 그대로 따라했는데 실패했다는 경험담도 많았습니다.
정작 뽑는 사람들은 무엇을 보고 있을까요? 전공의 이후 교육자, 관리자, 경영인으로 연륜이 쌓인 선배들이 되돌아보니 이제서야 보이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놓쳤던 부분들, 때로는 오해하고 있었던 부분들. 오랜 시간 미국에서 전공의를 선발하고 교육해온 선배들의 시각은 어떨까요?
정말 멋진 Korean American이 되셔요. 시간이 지날수록 한국에서 배운 문화, 지식 등등이 정말 좋은 것이 많고, 여기에서 일하는 동료들, 환자들 그리고 커뮤니티에 알려주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드실 겁니다. 특히 남에 대한 배려(I am not saying that you become a ‘door mat’!), 따뜻한 말 한마디, 미소 띤 얼굴-이 작은 것들이 절대 작지 않습니다.
내 마음에 조금 여유가 있어야 자연스럽게 배려가 생기니까 너무 목표에만 집중하다가 매일의 삶의 보석 같은 순간들을 놓치지 않았으면 합니다.